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禮敎의 가늠자: 조선시대 경상도 지역 지리지 ‘風俗’조의 검토 = The Standard of Neo-Confucian Enlightment: A Reading “Customs” chapters of Local Gazetteers of Gyeongsang-do Province in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431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지리지 서술 내용의 변화를 통해 조선시대 지배 또는 통치, 정치, 治에 대한 관점의 변화와 조선적 문화 형성의 경로를 읽어내려는 시론적 작업이다. 본격적인 분석 대상은 지리지의...

      이 글은 지리지 서술 내용의 변화를 통해 조선시대 지배 또는 통치, 정치, 治에 대한 관점의 변화와 조선적 문화 형성의 경로를 읽어내려는 시론적 작업이다. 본격적인 분석 대상은 지리지의 여러 항목 중 ‘풍속’조이다. 풍속 항목은 조선시대 지리지 편찬자들이 의도적으로 삽입시킨 것이며, 삽입된 뒤에도 기술 내용이 고정되지 않고 상당한 변화를 보였다.
      1425년 『경상도지리지』에는 풍속 항목이 없지만, 그 서두에서 경상도 66개 군현 풍속을 기술하였다. 이 최초의 풍속 기술은 조선후기인들의 진술을 통해 우리가 알고 있는 내용과 크게 달랐다. 문풍이 드높고 순후한 풍속을 가진 고을이라는 조선후기적 이미지와 달리, 상당수 고을이 무예를 중시하며 강하고 사납거나 싸우고 다투기를 좋아하는 것으로 그려졌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경상도 지역 44개 고을의 풍속만 기술하였지만, 풍속 기술에는 변화가 나타났다. 이 때 관찰한 고을의 풍속은 고을 고유의 민속이라기보다는 고을 전체가 가진, 타고나거나 자연스럽게 배어들어 있는 문화적 취향이나 품성이었다.
      이후 전국지리지나 고을 읍지들에서도 풍속 기술들이 수정되어갔다. 지방지의 편찬자들은 개인의 생존을 위해 싸우고 다투며 살아가는 태도를 비판하고 더불어 살아가고자 하는 풍조를 격려하며 풍속 항목을 기술했다. 신유학의 인간과 사회, 정치를 바라보는 관점이 고을의 풍속을 바라볼 때 투영되었고, 일정한 문화적 기준 “검소하고 예의, 의리를 알고 학문을 알며 다투지 않는 문화”의 성취 여부가 풍속조 서술의 기준이 되었다. 다스림[治]은 단순한 관료 행정이 아니라 포괄적 교육으로서의 예교였고, 고을 풍속은 다스림의 방향을 가늠하고 성취를 평가하는 지표로 여겨졌다. 지역인들도 사욕보다는 인간 관계 속에서의 올바름[道義]을 중시하며 살아간다는 점을 인정받고자 했다. 17세기 지역인에 의해 작성된 읍지에서는 이러한 신유학적 문명론의 기준에서 벗어난 기왕의 고을 풍속 기술에 노골적으로 문제를 제기했다. 고을 풍속을 바꾸는 경쟁은 전 도에 걸쳐서 일어났다.
      각 지역 읍지의 풍속 항목은 예교주의적 노력들의 성취 정도와 지속 가능 여부를 가늠하는 잣대였다. 조선은 중앙정부, 지방정부, 지방 사 모두 나라가 존속하는 마지막까지 고을의 풍속을 고을의 ‘治’의 방향과 방법을 결정하는데 있어 꼭 필요한 지표라는 관점을 버리지 않고 예교의 가늠자로서 풍속 항목을 서술하였다. 19세기 초반에 이르면 경상도 거의 모든 지역의 풍속 항목에서 사납고 다투는 이미지는 사라졌다. 각 고을들은 조선의 문명적 표준을 내면화했고, 자기 정체성의 일부로 삼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인원, "조선초기 지리지 연구-동국여지승람을 중심으로" 혜안 2002

      2 박주, "조선시대 읍지와 유교문화" 국학자료원 2016

      3 양보경, "조선시대 사찬읍지 편찬에 대한 연구" 81 : 1987

      4 노영구, "임진왜란 초기 경상우도 의병의 성립과 활동 영역 - 김면(金沔) 의병부대를 중심으로 -" 한국역사연구회 (64) : 33-64, 2007

      5 김호, "일기를 통해 본 양반들의 일상세계" 새물결 2017

      6 "高靈邑誌 (奎4157)"

      7 "金海府邑誌 (奎17442)"

      8 "金山郡邑誌 (想白古 915.15-G336)"

      9 "輿地圖書"

      10 "竹溪志"

      1 서인원, "조선초기 지리지 연구-동국여지승람을 중심으로" 혜안 2002

      2 박주, "조선시대 읍지와 유교문화" 국학자료원 2016

      3 양보경, "조선시대 사찬읍지 편찬에 대한 연구" 81 : 1987

      4 노영구, "임진왜란 초기 경상우도 의병의 성립과 활동 영역 - 김면(金沔) 의병부대를 중심으로 -" 한국역사연구회 (64) : 33-64, 2007

      5 김호, "일기를 통해 본 양반들의 일상세계" 새물결 2017

      6 "高靈邑誌 (奎4157)"

      7 "金海府邑誌 (奎17442)"

      8 "金山郡邑誌 (想白古 915.15-G336)"

      9 "輿地圖書"

      10 "竹溪志"

      11 "河東郡邑誌 (奎10854)"

      12 "東萊府誌 (奎11904)"

      13 "朝鮮王朝實錄"

      14 楊普景, "朝鮮時代 邑誌의 性格과 地理的 認識에 관한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87

      15 "晉陽志 (古 4790-17)"

      16 "日省錄"

      17 "新增東國輿地勝覽"

      18 "慶尙道邑誌 (奎666)"

      19 "慶尙道續撰地理志 (奎 10008)"

      20 "慶尙道地理志 (奎 10007)"

      21 "弘齋全書"

      22 "平壤志 (古 4790-2)"

      23 "嶺南邑誌 (奎12174)"

      24 "安義邑誌 (奎10853)"

      25 "基川誌 (古4799-5)"

      26 "咸州誌 (奎 12249)"

      27 "三嘉邑誌 (奎21846)"

      28 "一善誌 (奎 15484)"

      29 김태웅, "『新增東國輿地勝覽』과 『輿地圖書』의 邑史 資料 비교, 활용 - 전라도를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1) : 63-104, 2017

      30 Joseph Dennis, "Writing, Publishing, and Reading Local Gazetters in Imperial China, 1100-1700" Havard University Asia Center 2015

      31 Peter K. Bol, "The Rise of Local History: History, Geography, and Culture in Southern Song and Yuan Wuzhou" 61 (61): 2001

      32 양진석, "18세기말 전국 지리지 『해동여지통재(海東輿地通載)』의 추적"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3) : 31-71, 2013

      33 배우성, "18세기 全國地理志 편찬과 지리지 인식의 변화" 85 :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연구소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5 1.856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