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목은 이색의 차 정신 = A Study on The Philosophy of Lee Sack through His Tea Poe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233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려 말 목은 이색은 위대한 문인이며 정치가였다. 동시에 한국의 대표적 茶人이기도 하다. 그는 학자이며 대 사상가로서 차를 사랑하였으나, 차 정신을 정립한 다인으로서는 조명을 받지 ...

      고려 말 목은 이색은 위대한 문인이며 정치가였다. 동시에 한국의 대표적 茶人이기도 하다. 그는 학자이며 대 사상가로서 차를 사랑하였으나, 차 정신을 정립한 다인으로서는 조명을 받지 못했다. 그의 시대는 종교적으로 불교였으며, 학문적으로는 성리학의 도입과 성숙기였다. 그는 舊체제를 옹호함으로 인한 정치적인 실패를 자연주의적 탐미로서 극복하려 하였다. 고려 말 정치상황의 소용돌이 속에서 그의 삶과 정신은 그의 다시 속에 잘 나타나 있으며, 그의 다시를 살펴보면 그는 차를 통하여 修身을 하였고, 차를 통하여 삿됨을 멀리하였으며(無邪), 차를 통하여 세속에 대한 욕심을 버렸음(無慾)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차 정신을 찾는데 이색의 차 정신이 공헌하는 바는 매우 크다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ee-Sack's thought is a mixing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So his thought of tea can also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ose. Even though he was a great confucian scholar, it can not be denied that he liked honorable monks, and that he env...

      Lee-Sack's thought is a mixing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So his thought of tea can also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ose. Even though he was a great confucian scholar, it can not be denied that he liked honorable monks, and that he envied a Taoist hermit. His many poems, especially tea-poems show these. This thesis focused to take the evidences that he was a man of tea.
      In regard with confucianism, he believed dualism of reason(理) and energy(氣). It is that reason and energy are dualistic, and reason takes precedence over the energy. Lee Sack thought that a human being and all creations principally have the unchangeable nature(性) of reason. He preferred a man's moral training to a reform of social system Lee Sack had an affirmative attitude to the monks, even though he attacked the apostasy of buddhism in those days. He thought the essence of buddhism desirable and he respected high priests. In his later years he was fascinated with Taoism, so he yearned Taoist hermit and being free from conventionality.
      His thought of tea is expressed in this ground. These are moral training(修身), without wickedness(無邪), without desire(無慾) These are simply 'tea-meditation is the same'(茶禪一如) philosophy. Through this study we can know that Lee Sack was really a man of t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牧隱 李穡의 생애
      • Ⅲ. 茶詩속에 나타난 牧隱 이색의 차 정신
      • Ⅳ. 결론
      • Ⅰ. 서론
      • Ⅱ. 牧隱 李穡의 생애
      • Ⅲ. 茶詩속에 나타난 牧隱 이색의 차 정신
      • Ⅳ. 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