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식 강사 대상 한식문화콘텐츠 선호유형에 따른 한식교육 특성이 한식가치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Korean cuisine education characteristics on Korean cuisine values based on the format of content on Korean culinary culture preferred by Korean cuisine instruc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48513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淑明女子大學校,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淑明女子大學校 文化藝術大學院 傳統藝術學科 傳統食生活文化專攻 2020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81.7 판사항(6)

      • DDC

        394.12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 55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鄭喜先
        권말부록: 설문지
        참고문헌 수록

      • UCI식별코드

        I804:11043-000000068809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Korean cuisine’s education characteristics on Korean cuisine’s values based on content’s format within Korean culinary culture, such as it is preferred by Korean cuisine instructors. This study anal...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Korean cuisine’s education characteristics on Korean cuisine’s values based on content’s format within Korean culinary culture, such as it is preferred by Korean cuisine instructors. This study analyzes results from 112 respondents of a valid questionnaire that used a survey and model.
      An exploratory caus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preferred types of Korean cuisine’s content classified into four types (preference of trend(s), preference of a “Korean” image, preference of promotional value, preference of historical/cultural value), characteristics of Korean cuisine education classified into two types (identity education, practical education), and Korean cuisine’s values classified into one type. Bootstrapping was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the study’s hypothesis and confirm the mediation effect of Korean cuisine’s education characteristics for the purpose of confi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cuisine’s education characteristics and Korean cuisine’s values based on the format of content on Korean culinary culture preferred by Korean cuisine instructors.
      Study outcomes were as follows for each preference type: preference of historical/cultural valu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both education on identity and practical education, while the preference of promotional valu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identity education. Preference of historical/cultural value had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n Korean cuisine values through identity education. Outcomes of an analysis on the effect of control based on the instructor’s level of professional experience showed that the preference of promotional valu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identity education, while preference of trend(s) had a significant regulating effect on Korean cuisine values. For instructors with less than 10 years of experience, the preference of historical/cultural value had a significant regulating effect on both identity education and practical education, while the preference of promotional value had a significant regulating effect on identity education, identity education on Korean cuisine values, and the preference of trend(s) on Korean cuisine’s values. For instructors with at least 10 years of experience, the preference of historical/cultural value had a significant regulating effect on identity education and Korean cuisine values.
      A need for diverse types of Korean cuisine education has greatly increased in Korea in recent years. Education regarding Korean cuisine available outside of Korea, as well as educational programs that specifically target non-Korean students are also growing increasingly necessary. Accordingly, Korean cuisine instructors must now be equipped with not only the ability to teach the basics of Korean cuisine but also a wide range of pedagogical skills (knowledge of Korean culinary culture, knowledge of nutritional value of Korean foods, foreign language ability, understanding of foreign cultures) in order to be able to offer diverse classes. Content also urgently needs to be diversified so that it can match the educational format’s diversity. Research on Korean cuisine instructors should also be consistently conduc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식 강사의 한식문화콘텐츠 선호유형에 따른 한식교육 특성이 한식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설문과 모형을 토대로 112부의 유효 설문지를 회수 받아 통계분석을 진행하...

      본 연구는 한식 강사의 한식문화콘텐츠 선호유형에 따른 한식교육 특성이 한식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설문과 모형을 토대로 112부의 유효 설문지를 회수 받아 통계분석을 진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한식문화콘텐츠 선호유형을 트렌드 선호유형, 한국적 이미지 선호유형, 홍보기능 선호유형, 역사문화 선호유형 4가지 요인으로, 한식교육 특성을 정체성 교육특성, 실질적 교육특성 2가지 요인으로, 한식가치를 1가지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한식 강사의 한식문화 콘텐츠 선호유형에 따른 한식교육 특성과 한식가치 간의 관계 검증을 위한 기본가설 검증 및 한식교육 특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부트스트래핑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역사문화 콘텐츠 선호유형은 정체성 교육특성, 실질적 교육특성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홍보기능 선호유형은 정체성 교육특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역사문화 콘텐츠 선호유형은 정체성 교육특성을 매개로 한식가치에 유의한 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강의경력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 결과, 홍보기능 선호유형은 정체성 교육특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트렌드 선호유형은 한식가치에 유의한 조절영향은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경력 10년 미만 강사들의 경우, 역사문화 선호유형이 정체성 교육특성과 실질적 교육특성에 모두 유의한 조절영향을 미쳤고, 홍보기능 선호유형은 정체성 교육특성에, 정체성 교육특성은 한식가치에, 트렌드 선호유형은 한식가치에 유의한 조절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 10년 이상 강사들의 경우, 역사문화 선호유형이 정체성 교육특성에, 역사문화 선호유형은 한식가치에 유의적인 조절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국내에서는 다양한 한식 교육에 대한 니즈가 발생하고 있고, 한식의 해외 교육, 외국인 대상 교육이 점점 필요해지는 상황이다. 이에, 한식강사는 기본 한식조리 역량을 넘어 한식문화, 영양적인 측면, 외국어 능력, 타국 문화에 대한 이해 등을 갖추어 다양화된 교육을 진행할 역량을 갖춰야 한다. 또한, 다양화된 교육에 발맞춘 다양한 한식 콘텐츠의 개발이 필요하며, 한식교육의 중심에 있는 한식 강사들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Ⅱ. 이론적 배경 = 3
      • 1. 한식문화 콘텐츠 = 3
      • 2. 한식 교육 = 5
      • Ⅰ. 서론 = 1
      • Ⅱ. 이론적 배경 = 3
      • 1. 한식문화 콘텐츠 = 3
      • 2. 한식 교육 = 5
      • 3. 한식 가치 = 6
      •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 8
      • 1. 연구대상 및 기간 = 8
      • 2. 설문지 구성 = 8
      • 3. 통계처리 방법 및 절차 = 9
      • 4. 연구 모형 및 가설설정 = 10
      • Ⅳ. 결과 및 고찰 = 16
      •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16
      • 2. 기술통계분석 = 17
      • 3. 척도의 타당성 및 신뢰도 분석 = 18
      • 1)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 18
      • 4. 측정모델의 평가 : 신뢰도와 타당도 = 23
      • 5. 구조모델의 평가와 가설 검증 = 26
      • 6. 가설 검증 = 30
      • 1) 기본 가설 검증 결과 = 30
      • 2) 매개효과 검증 결과 = 34
      • 3) 조절효과 검증 결과 = 36
      • 4) 경로 분석 결과 = 38
      • 7. 가설 검증의 결과 논의 = 39
      • Ⅴ. 요약 및 결론 = 4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