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시대 사료 기반 역사콘텐츠의 현대적 재현과 제작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48023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2020. 2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306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Modern reproduction and production of historical contents based on the Joseon dynasty

      • 형태사항

        [viii], 198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한국외국어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이종오
        참고문헌: p. 186-194

      • UCI식별코드

        I804:11059-200000296015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조선시대 사료 기반의 역사콘텐츠를 현대적으로 재현하고 제작하는 방안을 찾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문화콘텐츠학과 역사학은 접목과 융합을 통해 많은 결과물을 만들...

      본고는 조선시대 사료 기반의 역사콘텐츠를 현대적으로 재현하고 제작하는 방안을 찾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문화콘텐츠학과 역사학은 접목과 융합을 통해 많은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는 학문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많은 대학들의 역사학 전공 과정에 문화콘텐츠학 관련 수업들이 개설되고 있는 상황은 두 학문 분야의 관계성을 잘 설명해주는 현상이다. 그런데 두 학문 분야를 융합하는 것은 결코 쉬운 작업이 아니다. 겹치는 부분이 많을 것처럼 보여도 실제의 연구 영역은 차별되는 지점이 많기 때문이다.
      역사학은 오랜 기간 동안 운영했던 전공 교육 과정을 통해 많은 성과를 도출했다. 하지만 시대적 요구에 따라 전공 교육 과정을 변화시킬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역사학 전공의 문제의식은 대학의 역사학 전공 교육 과정에 문화콘텐츠 관련 수업이 개설되거나 학과의 명칭에 ‘콘텐츠’라는 용어가 포함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문제의식에도 불구하고 역사학 전공 교육 과정 안에서 문화콘텐츠와 관련된 교육 과정을 새로 만드는 것은 쉽지 않았다. 두 학문의 연구 방법과 목표에 차이가 많았기 때문이다.
      역사학과 문화콘텐츠학은 바로 결합시기 어렵기 때문에 중간자 역할을 할 수 있는 역사콘텐츠학이 필요하다. 역사학과 문화콘텐츠학 전공 안에 역사콘텐츠라는 분야를 접합시킬 수 있다면 연구 분야를 확장하는 동시에 새로운 전공 교육 과정을 만드는 것은 가능하다. 이는 관련 분야의 전공 학생들이 다양한 진로를 찾는 일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문화콘텐츠학 전공자들은 역사 자료를 다루는 방법에 대한 교육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역사학 분야의 활동이 어렵다. 반면 역사학 전공자는 문화콘텐츠학의 영역에서 활동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쉽다. 문화콘텐츠학은 자신의 기술을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두 전공 학문의 융합을 위해서 우선 역사학의 기초가 되는 사료를 활용해 콘텐츠를 생산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고는 연구를 통해 조선시대 역사자료를 분석하면서 관련 콘텐츠를 재현·제작하는 방안을 제시해 보겠다. 이를 통해 역사콘텐츠학이 역사학과 문화콘텐츠학의 가교 역할을 수행하고 새로운 연구 분야가 개척되기를 기대한다.
      인문학의 위기나 역사학의 위기는 결국 학생들이 자신의 전공 분야를 통해 사회로 진출할 수 있는 방법이 제한되기 때문에 계속 언급되고 있는 현상이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공 교육이 피교육자를 관련 분야에서 보다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방법이 필요하다. 아울러 역사학과 문화콘텐츠학을 접목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한 새로운 연구가 필요한 이유를 설명해 준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콘텐츠 생산자나 대중들에게 접근성이 떨어지는 사료의 활용 방안과 새로운 역사콘텐츠의 재현과 제작을 위한 방법을 제시해 보겠다. 이와 함께 역사 속의 소재들을 활용해 역사콘텐츠를 생산하는 방법 등을 제안해 보겠다. 물론 역사 속의 소재를 활용해 콘텐츠를 생산하는 작업이 사료를 기반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사료의 분석을 통해 역사 연구를 진행하는 것만이 아니라 역사콘텐츠를 재현·제작하는 작업에 참고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들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역사자료를 활용하고, 이미 생산된 역사콘텐츠를 분석하거나 역사 속 소재를 활용해 새로운 역사콘텐츠를 만드는 작업은 앞으로 계속될 수밖에 없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다만 한국사 분야의 모든 시대를 연구주제로 삼기에는 범위가 너무 넓어 이번 연구에서는 조선시대를 집중적인 연구 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조선시대는 한국사 연구 분야 중 전근대 시기와 관련된 가장 많은 역사자료가 남아 있는 시기이다. 지금까지 제작된 역사드라마나 역사 영화 등의 역사콘텐츠들은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것이 많았다. 더욱이 한국의 중심이 되는 수도 서울에는 고궁과 성곽, 한옥마을 등을 비롯해 조선시대의 역사를 보여주는 유적지와 공간 등이 현재까지 잘 남아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선시대 사료와 콘텐츠 재현과 제작에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겠다.
      역사자료와 디지털 역사콘텐츠 분석, 조선 시대 강무(講武)에 대한 역사적 조사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콘텐츠의 현대적 재현·제작, GIS를 활용해 역사 공간과 콘텐츠를 기획·활용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겠다. 해당 연구를 통해 역사학과 문화콘텐츠학을 결합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동시에 역사자료와 관련 소재를 기획해서 활용하는 방법들을 설명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to find a plan to reproduce and produce historical contents based on feed of Joseon Dynasty. Cultural contents department and history studies have academic characteristics that can produce many results through grafting an...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to find a plan to reproduce and produce historical contents based on feed of Joseon Dynasty. Cultural contents department and history studies have academic characteristics that can produce many results through grafting and fusion. Many universities offer cultural contents classes in the history majors, which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disciplines. But merging the two disciplines is no easy task. Although there may seem to be many overlaps, the actual research area has many different points.
      History has produced many achievements through major courses that have been in operation for a long time.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the history major was found in the way that cultural contents related classes were established in the history major courses of universities, or the term 'content' was included in the department's name. Despite the problem consciousness, it was not easy to create a new curriculum related to cultural contents within the history major curriculum. This is because the research methods and goals of the two disciplines were different.
      Since history and cultural contents studies are difficult to combine, history contents studies that can act as an intermediary are needed. If you can combine the field of historical contents within the history and cultural contents majors,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research field and create a new major curriculum. This will help students in the related fields find a variety of careers.
      Cultural contents majors are difficult to work in the field of history because they have not been educated on how to deal with historical materials. On the other hand, history majors are relatively easy to work in the area of cultural contents. This is because cultural contents studies is an area in which one's skills can be utilized in various ways. Then, for the convergence of the two major disciplines, first, a study on the method of producing contents using the feed, which is the basis of history, is necessary.
      Therefore, this paper will suggest ways to reproduce and produce related contents while analyzing Joseon Dynasty historical data. Through this, I hope that historical contents studies will play a role of bridge between history and cultural contents studies and open up new research fields.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and the crisis of history are constantly mentioned because of the limited ways students can enter society through their fields of stud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ere is a need for a major education program that will allow the trainee to do more activities in the relevant field. It also explains why new research is needed to find a way to combine history and cultural content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I will suggest ways to use feed that is inaccessible to content producers and the public, and to reproduce and produce new historical contents. In addition, I will suggest ways to produce historical contents using materials in history. Of course, the production of content using the materials of history is not only based on feed. Nevertheless, the analysis of feed could suggest new methods that can be used for not only conducting historical research but also reproducing and producing historical contents. This is because the use of historical data, analysis of already produced historical contents, or the creation of new historical contents using historical materials are inevitable.
      However, the scope is too wide for all the ages of Korean history to be the subject of study. This study intends to focus on the Joseon Dynasty. The Joseon Dynasty is the period when most historical data related to the pre-modern era remain in the Korean history field. Historical contents such as historical dramas and historical films produced so far were often set in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Seoul, the capital of Korea, still has many palaces, castles, hanok villages, and historical sites and spaces showing th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Therefore,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contents related to the reproduction and production of feed and contents of the Joseon Dynasty.
      Historical data and digital historical content analysis, modern production of new content based on historical research on the Joseon Dynasty. We will present ways to plan and utilize historical spaces and contents using GIS. This study will show how to combine history and cultural contents, and explain how to plan and utilize historical materials and related materia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 배경 1
      • 2) 연구 목적 3
      • 제2절 연구 범위와 방법 9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 배경 1
      • 2) 연구 목적 3
      • 제2절 연구 범위와 방법 9
      • 제3절 선행연구와 연구 성과 분석 19
      • 1) 선행연구 검토 19
      • 2) 연구 성과 분석 27
      • 제4절 연구콘텐츠의 개념과 특징 34
      • 1) 역사콘텐츠의 개념 34
      • 2) 역사콘텐츠의 특징 38
      • 제2장 역사학 전공 교육 과정의 변화와 사료 기반 역사콘텐츠 제작의 필요성 41
      • 제1절 역사학 전공 속 콘텐츠 관련 강좌 개설 현황 검토 41
      • 제2절 사료(史料)의 활용과 역사콘텐츠 50
      • 제3절 역사콘텐츠 제작을 위한 연구자·제작자의 상호 이해 56
      • 제3장 디지털 역사콘텐츠의 성과와 한계 분석 64
      • 제1절 한국국학진흥원 스토리테마파크의 역사 자료 활용 방법 66
      • 제2절 안동 전통문화콘텐츠박물관의 전시콘텐츠 소개 79
      • 제3절 전통문화콘텐츠박물관 전시콘텐츠의 역사성 분석과 보완점 86
      • 제4장 조선시대 사료 분석을 통한 강무(講武) 콘텐츠의 제작과 현대적 활용 94
      • 제1절 조선시대 강무의 위상과 인식 변화 96
      • 제2절 조선시대의 메가이벤트 ‘강무’ 108
      • 제3절 강무 관련 역사 자료의 분석과 콘텐츠화 방안 118
      • 제4절 역사 자료를 통한 강무콘텐츠 제작과 현대사회의 활용 방안 127
      • 제5장 역사콘텐츠 재현을 위한 공간활용 방안 145
      • 제1절 서울의 역사성과 역사콘텐츠 재현 : 조선 국왕의 ‘행차’와 백성의 ‘직소’ 149
      • 제2절 서울시의 역사문화유적과 오버투어리즘 154
      • 제3절 ‘스마트서울맵’을 이용한 서울시 중요 역사문화유적의 분포도 분석과 공간활용 163
      • 제6장 결론 179
      • 참고문헌 186
      • ABSTRACT 195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인문콘텐츠학회, "문화콘텐츠 입문", 북코리아, 2006

      2 박원호, "明初朝鮮關係史硏究", 一潮閣, 2002

      3 안창현, 정지훈, 임동욱, 이건웅, 유제상, "새로운 문화콘텐츠학", 커뮤니케이션북, 2017

      4 임대근, "「문화콘텐츠 개념 再論」", 글로컬 창의 문화연구 4, 2014

      5 남의현, "明代遼東支配政策硏究", 강원대학교출판부, 2008

      6 최연구, "문화콘텐츠란 무엇인가", 살림, 2006

      7 김진형, "문화콘텐츠의 비판적 인식", 북코리아, 2018

      8 박원호, "「鐵嶺衛의 位置에 관한 再考」", 동북아역사논총 13, 2006

      9 김웅호, "「조선초기 중앙군 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7

      10 김기봉, "「팩션(faction)으로서 역사서술」", 역사와 경계 63, 2007

      1 인문콘텐츠학회, "문화콘텐츠 입문", 북코리아, 2006

      2 박원호, "明初朝鮮關係史硏究", 一潮閣, 2002

      3 안창현, 정지훈, 임동욱, 이건웅, 유제상, "새로운 문화콘텐츠학", 커뮤니케이션북, 2017

      4 임대근, "「문화콘텐츠 개념 再論」", 글로컬 창의 문화연구 4, 2014

      5 남의현, "明代遼東支配政策硏究", 강원대학교출판부, 2008

      6 최연구, "문화콘텐츠란 무엇인가", 살림, 2006

      7 김진형, "문화콘텐츠의 비판적 인식", 북코리아, 2018

      8 박원호, "「鐵嶺衛의 位置에 관한 再考」", 동북아역사논총 13, 2006

      9 김웅호, "「조선초기 중앙군 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7

      10 김기봉, "「팩션(faction)으로서 역사서술」", 역사와 경계 63, 2007

      11 이기상, "「문화콘텐츠 학의 이념과 방향」", 인문콘텐츠 23, 2011

      12 김지영, "「조선후기 국왕 행차와 거둥길」", 서울학연구 30, 2008

      13 최형국, "「TV 역사물의 考證한계와 그 대안」", 史學硏究 114, 2014

      14 박도식, "「朝鮮初期 講武制에 관한 一考察」", 慶熙史學 朴性鳳敎授回甲紀念論叢, 1987

      15 강민희, "「천안의 역사문화자원 활용 방안」", 한국문화기술 6, 2013

      16 김동진, "「朝鮮前期 講武의 施行과 捕虎政策」", 朝鮮時代史學報 40, 2007

      17 정요근, "「GIS 기반 고려시대 역사지도의 제작」", 한국중세사연구 37, 2013

      18 형기주, "「일제하 서울근대화의 식민지적 성격」", 응용지리 20, 1997

      19 주진오, "「한국사 전공교육의 위기와 개혁 방안」", 역사와 현실 52, 2004

      20 배항섭, "「‘근세’ 동아시아의 정치문화와 직소」", 역사비평 117, 2016

      21 박상천, "「‘문화콘텐츠’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 한국언어문화 제33집, 2007

      22 김상헌, 최희수, "「역사교육을 위한 메타버스 콘텐츠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제26 호, 2017

      23 이현수, "「조선중기 講武 施行事例와 軍事的 기능」", 軍史 제45호, 2002

      24 정요근, "「GIS 기법의 활용을 통한 조선후기의 복원」", 歷史學報 제224집, 2014

      25 배선학, 정성훈, 이의한, "「년대 제주도의 도로망과 건물 분포 분석」", 한국사진 지리학회지 제22권 제3호, 2012, 1910

      26 김기덕, 이병민, "「문화콘텐츠의 핵심 원천으로서의 역사학」", 歷史學報 224, 2014

      27 박경하, "「한국의 문화원형콘텐츠 개발현황과 과제」", 인문콘텐츠 3, 2004

      28 김선화, 이재근, "「압구정의 역사경관의 문화 콘텐츠적 가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 14 No. 6, 2014

      29 박순준, 하세봉, 최연주, "「역사소비를 위한 역사교육의 프레임 전환」", 역사와 경계  제68집, 2008

      30 조한필, "「태조 왕건의 천안 역사문화콘텐츠화 시론」", 한국중세사연구 48, 2017

      31 박재영, "「디지털박물관 전시콘텐츠 스토리텔링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3

      32 최희수, "「세종시 국난극복사와 역사문화콘텐츠 활용」", 한국학연구 56, 2016

      33 김종혁, "「역사지도 제작을 위한 역사지리환경의 복원」", 한국지도학회지 제13권 2 호, 2013

      34 홍성화, "「충주 지역 역사 콘텐츠의 스토리텔링화 방안」", 스토리&이미지텔링 8, 2014

      35 김상헌, "「회암사지 콘텐츠의 개발과 활용을 위한 고찰」", 글로벌문화콘텐츠 35, 2018

      36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의 왕으로 살아가기: 조선 왕실의 일상. 1", 돌베개, null

      37 전영준, "「제주의 역사문화자원과 문화콘텐츠 기획 방향」", 耽羅文化 49, 2015

      38 김병인, "「왕인문화축제와 왕인, 그리고 콘텐츠화 가능성」", 인문콘텐츠 8, 2006

      39 심승구, "「전북 운봉의 역사문화 자원과 문화콘텐츠 전략」", 한국학논총 41, 2014

      40 신춘호, "「`17C 역사소설 공간` 전자문화지도 구축 방안 시고」", 글로벌문화콘텐츠 20, 2015

      41 김종근, "「식민도시 京城의 이중도시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서울학연구 38, 2010

      42 이상호, "「노상추 일기의 문화산업적 활용 가능성과 그 방법」", 글로벌문화콘텐 츠 37, 2018

      43 정재훈, "「조선시대 국왕의례에 대한 연구-講武를 중심으로-」", 한국사상과 문화 제50호, 2009

      44 김민옥, "「낙안읍성의 역사문화자원과 문화콘텐츠 개발 방안」", 한국외국어대학교 대 학원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박사학위논문, 2012

      45 김종근, "「일제강점 초기 유곽공간의 법적 구성 및 입지 특성」", 한국지리학회지 6 권 2호, 2017

      46 고석규, "「지역문화콘텐츠 개발사례 -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 인문콘텐츠 8, 2006

      47 김경민, 유슬기, "「조선시대 한양도성 안 동부 지역의 상업도시화 과정」", 서울학연 구 67, 2017

      48 배선학, "「년대 지형도를 이용한 근대화 이후의 도시 변화 분석」", 한국지리정보 학회지 10권 3호, 2007, 1910

      49 이규철, "「조선시대 강무(講武)의 역사적 의미와 콘텐츠화 방안」", 동아시아고대학 52, 2018

      50 정은혜, "「도시재생을 통한 도시관광 논의: 서울로 7017을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 회지 제21권 제1호, 2018

      51 김남조, 이남희, "관광지 주민의 혼잡지각이 감정과 대응행동에 미치 는 영향", 관광 연구 제30권 제4호, 2015

      52 전명숙, "정민의, 「서울의 도시관광자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觀光政策學硏究 제9권 제1호, 2003

      53 김종혁, "「디지털시대 인문학의 새 방법론으로서의 전자문화지도」", 국학연구 제12 집, 2008

      54 최종호, "「문화콘텐츠박물관의 정체성과 역할 및 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문화 연구 제3권, 2005

      55 라선정, "「백제 복식의 체험 콘텐츠 현황 및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글로벌문화콘 텐츠 40, 2019

      56 박준모, "「역사자원의 어촌관광 적용방안 연구 - 진도를 중심으로 -」", 해양정책연 구 31(1), 2016

      57 심승구, "「조선시대 사냥의 추이와 특성 - 講武와 捉虎를 중심으로 -」", 역사민속학  제24호, 2007

      58 최희수, "「Current Status and Tasks of Virtual Reality Contents in Korean Ancient History」", 글로벌문화콘텐츠 38, 2019

      59 오종열, 장재일,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해외 도시재생 사례의 문헌적 고 찰”", 不動 産學報 57, 2014

      60 공은숙, "지역 메가이벤트 정책과정에 있어서 정책네트워크 변화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61 강지혜, 임덕환, 신윤재, 서혜영, 노다운, "「동대문 활성화를 위한 지역 역사문화 답사 콘 텐츠 개발 연구」",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제28호 13권 4 호, 2014

      62 김경민, 유슬기, "「일제강점기 한양 도성 안 동북부 지역의 중상류층 지역화 과정」",  서울과 역사 97, 2017

      63 강순화, 황태규, "「역사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관광지 명소화 방안 연구」",  한국비교정부학보 제17권 제2호, 2013

      64 배지혜, "「이지함(李之菡)의 걸인청(乞人廳)을 활용한 ICT 융합콘텐츠 제안」", 한국 사상과 문화 39, 2018

      65 김기봉, "「포스트모던 시대의 역사로서 사극(史劇) ㅡ사극을 위한 역사 이론」", 역사 와 문화 5, 2002

      66 류주희, "「역사학에서 바라본 역사 드라마 -둘의 새로운 관계 설정을 위하여-」", 중 앙사론 17, 2003

      67 태지호, "「‘히스토리텔링’ 개념을 통한 역사문화콘텐츠의 사회문화적 의미」", 글로벌 문화콘텐츠 40, 2019

      68 김지선, 이훈, "「고궁관광 평가요인과 만족도 분석 - 진정성과 HISTOQUAL을 중심 으로 -」", 관광학연구 제33권 제6호, 2009

      69 이규철, 이종오, "「조선시대 강무(講武)의 메가이벤트적 성격과 콘텐츠 제작 활용 방안 」", 글로벌문화콘텐츠 37, 2018

      70 박정희, "「역사문화를 통한 도시 정체성 재구성 - 중국 古都 카이펑을 중심으로 -」", 中國學 57, 2016

      71 홍성욱, "「전주시 역사문화자원의 활용과 도시재생 - 전주 한옥마을을 중심으로 -」", 열상고전연구 48, 2015

      72 최희수, "「체험형 역사콘텐츠와 한국고대사 - 역사적 상상력의 제고를 중심으로 -」", 한국고대사연구 84, 2016

      73 장도영, "「텔레비전의 현실 재구성 – 건군 제 60주년 국군의 날 퍼레이드의 경우 - 」",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74 조미숙, "「드라마 스토리텔링 방식의 특성 -년대 이후 한류 역사드라마를 중심 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제45집, 2014, 2000

      75 양창진, "「역사문화 콘텐츠 육성 정책의 회고와 전망 - 역사분야 국가DB를 중심으로 -」", 인문콘텐츠 35, 2014

      76 전수용, "「TV 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와 이정명의 원작소설: 한류 사극의 세계화 전망」", 문학과 영상 13권 4호, 2012

      77 이현주, "「빅데이터를 활용한 경복궁 방문 경험 분석: Tripadvisor.com 온라인 리뷰 의 활용」", 관광연구 제32권 제2호, 2017

      78 심승구, "「역사 공간의 복원과 재현을 통한 도시 재생의 의미 - 수원 화성을 중심으 로 -」", 인문콘텐츠 25, 2012

      79 신용혜, "「문화유산 재활용을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 방안 연구 - 덕수궁 정관헌을 중심으로 -」", 글로컬 창의 문화연구 4(2), 2015

      80 강영옥, 이주윤, 박예림, 김동은, 김나연, "「소셜 네트워크 데이터를 활용한 서울방문 관광객의 선호 관광지 시공간 특성 분석」", 서울도시연구 제20권 제1호, 2019

      81 박종화, 이권희, "「역사문화콘텐츠가 기능적 공동체 형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도심 사 례를 중심으로」", 국토연구 92, 2017

      82 유동환, "「제4의 공간과 전시스토리텔링 -‘사이버 안동읍성’ 복원콘텐츠 사례를 중심 으로-」", 인문콘텐츠 제31호, 2013

      83 권지혁, 태지호, "「지역 역사 인물의 문화콘텐츠 기획에 관한 연구 – 고헌 박상진 의 사를 중심으로 -」", 문화정책논총 30(1), 2016

      84 이상민, "「한류 드라마의 특성과 경쟁력 ㅡ<사랑이 뭐길래>, <겨울연가>, <대장 금>을 중심으로-」", Comparative Korean Studies 20권 1호, 2012

      85 송희영, "「역사문화공간을 활용한 공연 콘텐츠 기획 사례 연구 - 고궁, 고성, 성곽을 중심으로 -」", 글로벌문화콘텐츠 3, 2009

      86 윤유석, "「스토리텔링을 통한 지역 역사인물의 대중화 -안산 최용신 문화콘텐츠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19, 2010

      87 노태협, 임용한, "「드라마 <허준>의 허구성에 내재한 역사적 실제성 -한류의 개념과 성공요인에 대한 일고찰」", 역사와 실학 54, 2014

      88 김은경, "「역사문화콘텐츠 전공 교육의 현실과 전망-상명대 역사콘텐츠학과의 사례 를 중심으로 -」", 한국문화연구 20, 2011

      89 이서현, "「오버투어리즘(overtourism) 전조 현상과 경계 - 제주언론의 ‘제주사람들의 삶’ 뒤돌아보기 -」", 한국언론정보학보 88, null

      90 박상훈, 손신욱, "이나현, 「오버투어리즘에 따른 정책적 대응과 지속가능한 관광산업 발전에 관한 탐색적 연구」", 관광경영연구 제22권 제4호, 2018

      91 신민식, "「도시재생을 위한 구도심의 역사문화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 대구의 경상 감영을 중심으로 -」", 韓國地籍學會誌 第32卷 第3號, 2016

      92 태지호, "「문화콘텐츠 연구 방법론의 토대에 대한 모색: ‘문화’와 ‘콘텐츠’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인문콘텐츠 41, 2016

      93 김진영, "「역사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철원지역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궁예와 태 봉제를 중심으로 -」", 글로벌문화콘텐츠 3, 2009

      94 강창우, 양승우, "「일제강점기 경성 동북부 도시조직 변화과정연구 – 서울특별시 종 로구 혜화동을 중심으로 -」", 서울학연구 57, 2014

      95 김면, 최단아,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지역관광 활성화 방안 - 송파구 한성백제 역 사문화자원을 중심으로 -」", 문화와 융합 제39권 6호, 2017

      96 이후석, "「관광객의 고유성 인식 수준에 따른 관광체험 차이 연구 - 서울 북촌을 방 문한 외래객을 사례로 -」", 관광학연구 제35권 제2호, 2011

      97 박미현, 윤희정, "「GPS 기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QGIS를 이용한 북촌 도보관광 자의 시 공간 이동밀도 및 체류특성」", 관광학연구 제38권 제9호, 2014

      98 송희영, "「역사야외극에 나타난 기념제적 특성과 신화성 - 프랑스 방데의 역사야외 극 시네세니를 중심으로 -」", 인문콘텐츠 44, 2017

      99 민웅기, "「역사자원의 문화콘텐츠화 과정에 내재된 포스트모던적 의미 - 역사자원과 관광의 관계를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 44, 2012

      100 김희영, 한범수, 박상훈, "「문화관광 콘텐츠의 네트워크를 통한 장소성 강화 – 청계천, 인사동, 북촌, 삼청동 테마거리를 사례로 -」", 서울도시연구 제9권 제4호, 2008

      101 김도영, 이재준, 박상철,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마을만들기 사례분석 연구 - 일본 나오시마와 수원시 행궁동 사례를 중심으로 -」", 국토지리학회지 47, 2013

      102 이규철, "「‘빛과 소리의 쇼’를 통한 역사유적의 장소성 극대화 - 프랑스 ‘송에뤼미에 르’ 콘텐츠의 발전 과정 -」", 글로벌문화콘텐츠 23, 2016

      103 박재영, "「디지털박물관 전시콘텐츠 스토리텔링 연구 –전통문화콘텐츠박물관 전시콘 텐츠 분석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제33호, 2014

      104 곽금선, "「연구자 네트워크 기반 역사콘텐츠 플랫폼의 구축 방안 - 연구자간 소통 확대와 역사대중화를 위한 모색 -」", 인문콘텐츠 52, 2019

      105 박종화, 이권희, "「역사문화 콘텐츠의 활용이 도시민의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 향: 대구 역사문화 콘텐츠 활용의 경험」", 국토연구 86, 2015

      106 김민옥, "「‘스토리테마파크’의 이야기 소재를 활용한 역사 공간 스토리텔링 –경북지역 의 정자(亭子)를 중심으로-」",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춘계학술대회, 2015

      107 김민옥, "「무형문화의 복원과 재현을 통한 문화콘텐츠 개발 방안 연구 - 조선시대의 민의상달제도 신문고를 중심으로 -」", 인문콘텐츠 6, 2005

      108 이호정,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야간축제의 성공요인과 지방자치단체 축제의 방향 성 – ‘정동야행’을 중심으로 –」", 인문사회 21 제9권 1호, 2018

      109 김진영, "「전쟁 안보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지역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철 원군과 영국 Flodden 사례를 중심으로 -」", 글로벌문화콘텐츠 16, 2014

      110 홍명진, "「일본 역사지리정보시스템(HGIS)의 연구현황과 활용에 관한 연구 – 일본 근세 시대 지역공간 복원방법을 사례로 -」", 대한지리학회 52(6), 2017

      111 김은혜, 홍애령, 김지영, "「역사콘텐츠 융합 무용교육 프로그램 실행연구 - 꿈다락 토 요문화학교 ‘춤추는 역사박물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학과 예술 26, 2018

      112 김기덕, "「전통 역사학의 응용적 측면의 새로운 흐름과 과제 - '인문정보학''영상역사 학''문화콘텐츠' 관련 성과를 중심으로 -」", 역사와 현실 58, 2005

      113 박종화, 이권희, "「도심 역사문화 콘텐츠의 도심재생 영향에 대한 시론적 분석 - 대구 도심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한국행정논집 26(4), 2014

      114 오동일, "「충남지역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지역축제 추진 방안 연구: 토정(土亭) 이 지함(李之菡)의 걸인청(乞人廳)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 18 No. 5, 2018

      115 임동욱, "비극적 역사의 동일시와 정체성화를 통한 지역 관광지의 장소성 확보 전략- 프랑스의 옥시타니아 문화부흥 운동을 중심으로 -",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 원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박사학위논문, 2014

      116 박종화, 이권희, "「도심재생 과정에서 역사문화 콘텐츠의 활용과 집합적 행동의 기능 적 상보성 – 대구도심 역사문화 콘텐츠 활용의 경험 -」", 한국행정논집 29(1), 2017

      117 박경환, "「유교넷, 기록유산으로 빚은 유교문화 정보의 큰 그릇 –한국국학진흥원 소 장 기록유산 활용 콘텐츠의 문화산업적 가능성-」",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하계학술대회, 2016

      118 윤설민, "박진아 이충기, 「문화관광자원으로서 고궁의 매력속성과 만족도 및 충성도 간 영향관계 분석 – 경복궁 방문객을 대상으로 -」", 서울도시연구 제13권 제1호, 2012

      119 신춘호, "「‘소현세자빈 강씨’ 역사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소고 - 광명시 영회원 역 사주제공원, ‘강빈 야판전(姜嬪 野坂田)’ 조성 제안 -」", 인문콘텐츠 17, 2010

      120 김기덕, 배상준, "「고려 태조 왕건의 대구 달성군 역사문화콘텐츠화 전략 - 오스트리 아 뒤른슈타인 소재 사자왕 리처드 역사콘텐츠 구축사례를 중심으로 -」",  한국중세사연구 52, 2018

      121 신춘호, "「연행노정 공간의 역사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일고 - <스토리테마파크>의 스토리를 활용한 ‘병자호란 역사관광콘텐츠’ 기획을 중심으로 -」", 漢文古典 硏究 31,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