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이전복원 된 역사마을의 문화재적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Relocated Historic Villages as Cultural Heritag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4673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attempts to interpret the attributes as a cultural heritage of historic villages that this study deals with, starting from the essence of the heritage’s concept. The concept of cultural heritage is continually expanding and changing, and...

      This thesis attempts to interpret the attributes as a cultural heritage of historic villages that this study deals with, starting from the essence of the heritage’s concept. The concept of cultural heritage is continually expanding and changing, and it has become a complex concept that can no longer be fully grasped by a single and definite principle. Historical villages, which are the subject of this study, have the same context as folk villages and traditional villages that are recognized as existing cultural heritage’s concepts. However, in this study, this study’s target is not a distinctive village that can be designated from a current heritage-related system or see a remarkable past. In this study, the definition of the historical village as the most comprehensive meaning is equipped with the placeness as a built place where people can share their collective lives, the historicity that has its history stemmed from the past and the present life in the community. This study considers the recognition framework for recognizing existing historic villages as a cultural asset on the basis of the criticism for understanding the existing cultural heritages.
      As an extreme situation in which villages with historical backgrounds have the necessity and justification of preservation, this thesis selects submerged villages as an example to find the synchronic and diachronic characteristics of cultural heritage’s perception of historic villages. The study targets two villages. First, it is the case of the disappearance of the Oenae Village by the construction of the Andong Dam in the 1970s as the earliest stage of heritage recognition as a historic village. Secondly, as the most recent case for analyzing the change of heritage perception, this research selects another case that performs the construction of the Yeongju Dam and the relocation of the Geumgang Village due to the major four-river refurbishment project (the Han, Nakdong, Geum and Yeongsan Rivers) in the 2010s. The cultural heritage’s recognition of the existing historic villages in both cases does not cover the whole object called the historic village, and it has a limitation that it is separated and recognized as a new object of cultural heritage that is not identified with the original object.
      As a result, this recognition separates the historic village subjectively, temporally, and semantically from the heritage-making process, and it can be said that this causes the loss of the original way of existence. Therefore, this study argues the introduction of place recognition as a concept of cultural heritage to understand historical villages as a holistic and continuous phenomenon after analyzing the cultural heritage’s perceptions of historical villages in each case. The place is not one of the value attributes that make up existing cultural properties but is itself accepted as a concept of cultural heritage in a broad and concrete sense. However, the heritage recognition of historical villages revealed in each previous case shows that the concept of places is encyclopedic and narrow so that they do not reflect the unique plac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each historical village.
      This study criticizes the errors and borders of existing 'collective heritage interpretations', 'regular symbolization of cultural heritages', 'focalizing the past and freezing the time that cultural heritages are constructed' in the process of evolution in which the concept of cultural heritages is expanded and changed. This is concretely analyzed through the previous case of the historical village. In addition, the 'place' is derived as an all-inclusive and sweeping heritage’s concep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ultural heritage recognition.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concept of place should be more comprehensively defined as a way of recognizing complex and holistic phenomena through the existing criticism of place awareness as revealed in these cases. The subject that interprets a place also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switch to the allegorical view from the inside that constitutes each object, rather than the universal view from the outsid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문화재라는 개념의 본질에서부터 출발하여 역사마을의 문화재적 속성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문화재의 개념은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변화하고 있으며 더 이상 단일하고 규정적인 ...

      본 연구는 문화재라는 개념의 본질에서부터 출발하여 역사마을의 문화재적 속성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문화재의 개념은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변화하고 있으며 더 이상 단일하고 규정적인 몇몇의 원리로 온전히 파악할 수 없는 복합적인 개념이 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역사 마을은 기존의 문화재적 개념으로 인식되던 민속마을, 전통마을과 맥락을 같이 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현재 문화재 관련 제도로부터 지정되거나 현저한 과거 모습을 볼 수 있는 특색 있는 마을이 아니더라도 사람들이 집단적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장소성과, 과거로부터 이어져 자체의 고유한 역사를 지니고 있다는 역사성, 그리고 공동체를 이루어 살아가고 있는 현재성을 갖춘 대상으로서 가장 포괄적인 의미로 역사마을을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화재를 이해하는 인식 비판을 토대로 하여 기존 역사마을을 문화재로 인식하는 인식틀을 고찰한다. 이에 역사적인 배경을 가지는 마을이 보존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가지게 되는 극단적인 상황으로서 수몰 마을을 예시로 선정하여 역사마을에 대한 문화재적 인식의 공시적, 통시적 특성을 찾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대상은 역사마을의 문화재적 인식의 가장 초기 단계로서 1970년대 안동댐과 역사마을 외내 수몰 사례와 문화재적 인식에 대한 변화 추이 분석을 위한 가장 최근의 사례로서 2010년대의 4대강 사업으로 인한 영주댐 건설과 금강마을 사례를 선정하였다. 두 사례에서 드러난 기존의 역사마을에 대한 문화재적 인식은 역사마을이라고 하는 총체적인 대상을 포괄하지 못하였으며, 본래 대상과 동일시되지 못한 문화재라는 새로운 대상으로 분리, 인식되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인식은 역사마을을 문화재화 하는 과정에서 주체적, 시간적, 의미적으로 분리시켰고, 역사마을이라는 본래 대상의 존재 방식을 상실케 하는 원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두 사례에서 나타나는 각각 역사마을의 문화재적 인식에 대한 분석 후, 역사마을을 총체적이고 연속적인 현상으로서 이해하기 위한 문화재적 개념으로 장소 인식의 도입을 제언하였다. 장소는 기존의 문화재를 구성하는 가치 속성의 하나가 아닌 그 자체가 문화재적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하지만 각 이전 사례에서 드러난 역사마을에 대한 문화재적 인식에서는 장소 개념이 사전적이고 협의적으로 인식되었으며 때문에 각 역사마을이 가지는 고유한 장소적 특성과 가치를 반영하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재의 개념이 확장, 변화되어 가는 진화의 과정에서 기존의 ‘집단주의적 문화재 해석’, ‘문화재에 대한 규정적 상징화’, ‘문화재에 대한 과거화와 시간동결’에 대한 오류 및 한계점을 비판하고 이를 역사마을의 이전 사례를 통해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문화재 인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총체적이고 포괄적인 문화재적 개념으로서 ‘장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사례에서 드러난 기존의 장소 인식 비판을 통해, 장소 개념이 복합적이고 총체적인 현상을 인식하는 방법으로서 기존보다 더 포괄적으로 정의되어야 함과, 장소를 해석하는 주체 또한 기존의 외부로부터의 보편적인 관점이 아닌 각 대상을 구성하는 내부로부터의 알레고리적 관점으로의 전환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의 대상 및 방법 3
      • 1) 연구의 대상 3
      • 2) 연구의 방법 6
      • I. 서 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의 대상 및 방법 3
      • 1) 연구의 대상 3
      • 2) 연구의 방법 6
      • 3. 선행연구 검토 8
      • II. 배경 이론 고찰 11
      • 1. 문화재 해석 방법으로서 알레고리 11
      • 1) 인식론적 문화재 해석 11
      • 2) 문화재 인식의 실제 비판 14
      • 3) 문화재 해석 방법으로서 알레고리 17
      • 2. 문화재와 시간의식 21
      • 1) 문화재의 시간성 21
      • 2) 시간의식의 구조와 문화재 22
      • 3) 문화재를 통한 과거직관 비판 24
      • 4) 문화재의 신비화 비판 27
      • 5) 문화재의 시간적 배경 고찰 28
      • 3. 문화재 보존의 기본원칙 30
      • 1) 기본원칙으로서 원형 개념 고찰 30
      • 2) 문화재의 사용 및 변형에 대한 인식의 흐름 31
      • 3) 변형의 필연성 34
      • 4) 문화재의 가치에 정당한 기여로서 변형 37
      • 5) 문화재 보존에서 변형의 의미 38
      • 4. 소결 39
      • III. 1970년대 사례 분석 : 안동댐 수몰지역 41
      • 1. 시대적 배경 고찰 41
      • 1) 새마을운동 41
      • 2) 한국민속촌 건립 사업 45
      • 2. 안동댐 건립과 외내의 이전 49
      • 1) 안동댐 사업 개요 49
      • 2) 수몰마을 외내(오천리) 분석 51
      • 3) 외내 이전 과정 55
      • 3. 문화재적 인식 과정 고찰 59
      • 1) 외내에 대한 문화재적 인식 59
      • 2) 외내에 대한 보존 행위 인식 62
      • 3) 외내에 대한 보존 원칙 인식 67
      • IV. 2010년대 사례 분석 : 영주댐 수몰지역 69
      • 1. 영주댐 건립과 마을 이전 과정 69
      • 1) 영주댐 사업 개요 69
      • 2) 수몰마을 금강마을 분석 71
      • 3) 금강마을 이전 과정 76
      • 2. 문화재적 인식 과정 고찰 80
      • 1) 금강마을에 대한 문화재적 인식 80
      • 2) 금강마을에 대한 보존 행위 인식 83
      • 3) 금강마을에 대한 보존 원칙 인식 85
      • 3. 역사마을의 문화재적 인식 제언 87
      • 1) 역사마을의 인식에 대한 제언 87
      • 2) 역사마을의 문화재적 인식에 대한 제언 90
      • V. 결론 94
      • 참고문헌 100
      • Abstract 1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