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금강산 歷史文化路 개발 연구 = The development of history and culture of old trails of Geumgang mounta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48215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 문화콘텐츠학과 2020. 2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xi, 248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부록 수록
        권두 국문요지, 권말 Abstract 수록
        지도교수: 고운기
        참고문헌: p. 177-189

      • UCI식별코드

        I804:11062-000000112852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the nature of the Old Trails of Mt. Geumgang from various perspectives, summariz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Mt. Geumgang tour, and develop the mountain as the place of a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the nature of the Old Trails of Mt. Geumgang from various perspectives, summariz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Mt. Geumgang tour, and develop the mountain as the place of a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
      Mt. Geumgang is a symbolic place and a place of life where Koreans' history and culture are clustered. The mountain has provided Koreans with opportunities for refining their mind and body as well as enjoying the sceneries around it. Since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it has been transformed into a place of reunion and a space for coexistence, and recently, it has become a place that offers a possibility for the future of integ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In a way, Mt. Geumgang is a symbol reflecting ‘a spirit of culture’ and Heteropia where a space and other heterogeneity coexist.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find creative ways to make the visit to Mt. Geumgang richer than in previous eras. Thus, the work to examine the socio-cultural nature and Placeness of Mt. Geumgang shows a new perspective on the value of national traditional culture.
      This paper look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Mt. Geumgang' and ‘Trails' based on historicity, which can derive the present meaning and value of each of the trails to the mountain when embodied as ‘Mt. Geumgang Trails'. A role of a trail is not just for people or cars to be through, but it also tells us various traces and stories of life. Those traces and stories on the trails have remained as unprocessed humanistic resources for future use. When materialized as cultural resources, they can serve as major sources for culture contents in local areas.
      Moreover, the values of a place are maximized when these trails are gathered and linked to the contents related to memory, history, and culture. To do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ories by constructing 'the development of trails' based on connecting each of the specific old trails to historical records and stories, which finds a point of contact with local cultural resources. Embedded in a trail is the human interaction with the objects of history, culture, nature, and ecological resources; therefore, it is a place with added meaning.
      With that in mind, the dissertation attempts to examine how the Old Trails of Mt. Geumgang can be reconstructed to find the place’s contemporary value utilizing humanities resources like Mt. Geumgang Yusangi or Mt. Geumgang travel account. Yusangi is not only a well-structured literary work, but also a historical record. It is a source of reconnecting various places mentioned in the traveller’s journey to and fro.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 of Mt. Geumgangsan Yusangi is an object of the culture Archetype with its unique value as a cultural resource. Secondly, the Yusangi can serve as an agency or a source of accommodating different culture contents.
      Secondly, this paper analyzes culture contents from the Bongmyung paintings (paintings drawn for a royal command of King) of Mt. Geumgang. Specifically, it focuses on the humanistic values of picturesque records of two painters, Kim Hong-do and Kim Eung-hwan who traveled around nine counties and Mt. Geumgang in Kanwon Province fulfilling King Jeongjo’s order. The historicity in the trails of the painters’ journey for Bongmyung provides its value as culture contents for today through each trail as a form.
      This paper presents the features and meanings of Mt. Geumgang tours conducted in private, women's travels, and those tours that are carried out with modern railways. In this process, the areas that are connected to Mt. Geumgang are selected by excursion route, and to offer examples of materialization of Mt. Geumgang as history and culture, the human resources associated with Mt. Geumgang are divided into three parts: excursion route, excursion type, and storytelling.
      In so doing, it suggests that a journey for Mt. Geumgang should be transformed into the sightseeing by course, not the one by purpose. There are two possible ways to do it: one is to unearth and offer the materials to travellers to enjoy the overall landscape of the mountain. The other is to encourage them to think deeply about ‘how’ to enjoy it. For example, when heading to Mt. Geumgang, travellers can read the historical records of all the excursions and set up their tour of Mt. Geumgang while understanding the stories and legends previously described in Yusangi.
      Given Mt. Geumgang emerged as a new symbol of contemporary culture and history in a new era of peace and reconcili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connecting the dots’ of the past and present is important to develop more creative ways for people to understand Mt. Geumgang. This paper concludes by suggesting that it is ‘now’ to unearth new valuable cultural resources for travelers to learn about the mountain.


      Keywords : Mt. Geumgang, history and culture of Old Trails, Yousangi, Mt. Geumgang tourism, culture cont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금강산 길의 본질을 다각적으로 살펴보고, 금강산 유람이 지닌 역사적 의의를 정리하여, 장소성을 강화한 금강산 역사문화로 개발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금강산은 한민족의...

      이 논문은 금강산 길의 본질을 다각적으로 살펴보고, 금강산 유람이 지닌 역사적 의의를 정리하여, 장소성을 강화한 금강산 역사문화로 개발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금강산은 한민족의 역사ㆍ문화가 응집된 상징적인 공간이자 삶의 장소이다. 한민족에 있어서 금강산은 심신 수양과 산수 감상, 풍류의 장소였으나, 분단 이후부터는 상봉의 장소이자 상생의 공간으로 변화되었고, 최근에는 남ㆍ북 간 통합의 미래상을 보여주는 장소로 변모되고 있다. 금강산은 분명 ‘시대문화’를 대변하고 있는 상징물로, 지금의 공간과 다른 이질성이 공존하는 헤테로피아(Heteropia)의 장소이다. 그렇다면, 향후 금강산 방문 여정이 전 시대보다 풍부해질 수 있는 창조적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금강산의 사회문화적 본질과 장소성을 밝히는 작업은 민족 전통문화의 가치를 현 시대에 새롭게 조망하는 의미가 있다.
      ‘금강산’과 ‘길’의 관계를 역사성에 기반하여 살펴보는 과정은 ‘금강산 길’로 구현될 때의 현재적 의미와 가치를 도출할 수 있다. 길은 단순히 이동을 위한 공간이 아니라 ‘일상적 경험의 축적’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는 다양한 역사ㆍ문화적 의미를 지닌 공간으로, 삶의 다양한 흔적과 산재된 이야기가 있는 인문자원이다.
      이런 길과 길이 모이고 자신의 기억과 역사, 문화가 연계된 콘텐츠와 결합될 때 장소적 가치는 극대화된다. 이 과정에서 옛길이나 역사문화 기반의 ‘길 개발’은 전시대 공간이 가지고 있는 역사적 기록을 특정 장소와 연계하고, 지역 문화자원과의 접점을 찾을 수 있는 스토리 개발이 요구된다. 결국 길의 ‘요소 간 이어짐’이라는 상징성을 기반으로 지역의 인문자원과 상호 연계될 때 그 의미와 가치가 높아지며,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 의미하는 역사문화로는 ‘길’이라는 공간에 존재하는 역사ㆍ문화ㆍ자연ㆍ생태자원의 대상과 인간 간의 상호작용의 결과물로 나타난 현 실태로서 한 세대가 당대의 과거에 대하여 보유한 가치와 의미가 더해진 장소이다.
      금강산 유산기에 나타난 특정장소의 반복은 ‘선조의 유산을 끊임없이 재현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장소적 확인행위의 기록물이다. 특정 인물이 유람과정에서 재확인된 감정을 기록한 결과물이기 때문에 당대 문인들의 장소적 인식을 확인 할 수 있다.
      금강산 유산기에 기록된 장소는 특정한 경험과 연관되어 있는 장소성의 개념으로 볼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특정지역 뿐만 아니라 전체여정에 포함된 지역과 지역의 연결을 매개하는 소재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김홍도와 김응환의 봉명사경도는 특정지역 뿐만 아니라 전체여정에 포함된 지역과 지역 간 연결이 가능하며, 옛길이 보유하고 있는 ‘봉명사경의 역사성’이 길이라는 ‘형식’을 통해 현재적 콘텐츠 소재로 구현가능하다. 또한 민간에서 행해진 금강산 여행, 여성의 여행, 근대 철도의 등장에 따라 행해지는 금강산 여행을 사례로 특징과 의미를 제시했다. 이 과정에서 금강산으로 가기 위해 거쳐야 하는 지역을 유람로 별로 선정하여 각 지역의 금강산과 연계된 인문자원 현황을 유람로, 유람형태, 스토리텔링 등으로 구분하여 금강산 역사문화로의 구현사례를 각각 제시했다.
      금강산 여정은 목적으로의 관광이 아닌 금강산 역사문화로를 통해 과정으로의 관광으로 변모해야 한다. 현금의 상황에서 보여줄 것이 없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이미 존재하는 산수를 종합적으로 즐길 수 있는 자료와 함께 ‘어떻게’ 즐기게 할 것인가에 대해 심층 고민이 필요하다. 금강산으로 향할 때 전대 산수 유람의 기록을 함께 읽으며 금강산관광 일정을 세우고, 방문 장소에 깃든 시와 감상평을 느끼고, 그 속에 깃든 전설을 느끼고, 김홍도의 봉명사경도 화제의 장소를 실제 장소와 비교하며 볼 때, 진정한 금강산여정의 진수를 체험할 수 있다. 결국 이 논문은 금강산 길 기획을 위한 전단계로 역사문화 소재를 발굴하고 그 가치를 확인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금강산 역사문화로는 ‘이어짐’이라는 상징성을 기반으로 상호 연계될 때 그 의미와 가치는 높아지며,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다리 구실을 한다.
      중요한 것은 우리는 새로운 시대를 맞고 있다는 것이다. 이제 곧 도래되는 ‘금강산 육로관광’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어떠한 준비를 할 것이며, 향유자에게 어떤 향유요소를 통해가치를 제공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과 피스 투어리즘에 입각한 ‘쌍방향 인적교류’를 위한 준비를 ‘바로 지금’ 시작해야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국문요지 Ⅹ
      • 목 차
      • 국문요지 Ⅹ
      • Ⅰ. 서 론 1
      • 제1절 연구배경과 목적 1
      • 제2절 연구내용과 방법 8
      • Ⅱ. 금강산 여행 기록과 경로 26
      • 제1절 여행의 기록 26
      • 1. 금강산 遊山記의 토대 26
      • 2. 유산기에 나타난 경로 35
      • 제2절 구간별 경로 43
      • 1. 경흥로 43
      • 2. 평해로 47
      • 3. 강원도해연로 50
      • 제3절 시대별 유람로 55
      • 1. 고려시대 55
      • 2. 조선시대 61
      • 3. 일제강점기 72
      • Ⅲ. 전통시대 금강산 여행의 歷史像 84
      • 제1절 奉命寫景圖로 본 공무 여행 84
      • 1. 김홍도의 봉명사경 84
      • 2. 봉명사경의 여정 87
      • 1) 한양에서 금강산까지 여정 87
      • 2) 금강산에서의 주요 방문지 92
      • 3. 극단적 실경으로서 금강산 95
      • 제2절 민간의 여행과 금강산 99
      • 1. 수원 선비의 금강산 유람 99
      • 2. 금강산 유람의 여정 101
      • 1) 수원에서 금강산까지의 여정 100
      • 2) 금강산에서의 주요 방문지 103
      • 3. 상상적 풍류의 실현 106
      • 제3절 여성의 여행 110
      • 1. 男裝 여인의 금강산 유람 110
      • 2. 금강산 유람의 여정 112
      • 1) 원주에서 금강산까지의 여정 111
      • 2) 금강산에서의 주요 방문지 114
      • 3. 전통적 가치의 역설적 확인 117
      • 제4절 근대의 철도여행 121
      • 1. 김구하의 금강산 유람 121
      • 2. 근대적 금강산 여행의 단면 122
      • 1) 양산에서 금강산까지의 여정 122
      • 2) 금강산에서의 주요 방문지 124
      • 3. 근대적 여행의 역설적 확인 128
      • Ⅳ. 歷史文化路로서 금강산의 현재적 구현 131
      • 제1절 금강산 역사문화로의 구현 방향 131
      • 제2절 금강산 역사문화로의 유형별 구현 138
      • 1. 유람로 기반 138
      • 2. 유람형태 기반 144
      • 3. 스토리텔링 기반 155
      • 제3절 금강산 역사문화로의 플랫폼 구축 169
      • Ⅴ. 결 론 174
      • 참고문헌 177
      • 부 록 190
      • 1. 금강산 약사 191
      • 2. 금강산관광 약사 209
      • 3. 금강산 유산기의 여정 214
      • 4. 민지의 <금강산유점사사적기> 원문 및 국역본 228
      • 5. 2017-2019 DMZ인근 행사내역 전수조사 237
      • ABSTRACT 243
      • 감사의 글 246
      • 연구윤리서약서(국문) 247
      • 연구윤리서약서(영문) 248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강세황, 조송식, 정은진, 변영섭, 김종진, "표암유고", 지식산업사, 2011

      2 임명묵, "??금강산??", 열화당, 2012

      3 손영종, 전영률, "??금강산??", 실천문학사, 1989

      4 신정일, "??관동대로??", 휴머니스트, 2008

      5 유홍준, "역, ??금강산??", 학고재, 1998

      6 오재석, 이풍익, "역, ??동유첩??", 대건문화사, 1996

      7 리용준, 오희복, "금강산 한시집", 북한:문예출판사, 1989

      8 오주석, "??단원 김홍도??", 열화당, 1998

      9 김지현, 정치영, 박정혜, "??조선의 명승??",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10 최남선, 황형주, 홍일식, "역, ??금강예찬??", 동명사, 2000

      1 강세황, 조송식, 정은진, 변영섭, 김종진, "표암유고", 지식산업사, 2011

      2 임명묵, "??금강산??", 열화당, 2012

      3 손영종, 전영률, "??금강산??", 실천문학사, 1989

      4 신정일, "??관동대로??", 휴머니스트, 2008

      5 유홍준, "역, ??금강산??", 학고재, 1998

      6 오재석, 이풍익, "역, ??동유첩??", 대건문화사, 1996

      7 리용준, 오희복, "금강산 한시집", 북한:문예출판사, 1989

      8 오주석, "??단원 김홍도??", 열화당, 1998

      9 김지현, 정치영, 박정혜, "??조선의 명승??",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10 최남선, 황형주, 홍일식, "역, ??금강예찬??", 동명사, 2000

      11 김부식, 이강래, "역, ??삼국사기??", 한길사, 2010

      12 김동주, "??금강산유람기??", 전통문화연구회, 1999

      13 이동훈, 홍재휴, 조남권, "역, ??년 금강록??", 평민사, 1999, 1940

      14 윤국일, "??국역 경국대전??", 신서원, 1998

      15 우종수, "??금강산 가이드??", 수문출판사, 1992

      16 윤석산, "한시로 읽는 경기", 경기문화재단, 2011

      17 김상진, "한시로 읽는 경기", 경기문화재단, 2012

      18 박은정, "한시로 읽는 경기", 경기문화재단, 2013

      19 이홍식, "한시로 읽는 경기", 경기문화재단, 2014

      20 문형렬, 이광수, "역, ??금강산유기??", 도서출판 기파랑, 2011

      21 박동욱, 성해응, "역, ??동국산수기??", 한양대학교출판부, 2012

      22 홍순석, "??강릉향토사산책??", 대성문화출판사, 2004

      23 민병준, 최선웅, "??해설대동여지도??", 진선출판사, 2017

      24 육낙현, "편, ??금강산 구경??", 백산자료원, 1999

      25 박미현, "??강원여성사 연구??",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26 조장연, "??관광안내 금강산??", 북한: 백과사전출판사, 1988

      27 김경웅, "??금강산 길라잡이??", 집문당, 1999

      28 정재정, "??철도와 근대서울??", 국학자료원, 2018

      29 진준현, "??단원 김홍도 연구??", 일지사, 1997

      30 진준현, "??단원 김홍도 연구??", 일지사, 2008

      31 신법타, 정태혁, "??북한의 절과 불교??", 민족사, 1990

      32 유성준, 이광수, "역, ??금강산대도회??", 시와시학사, 1999

      33 고경식, 김도학, "역, ??금강산유람기??", 경희대학교출판부, 1999

      34 김구하, 이동길, "역, ??金剛山觀賞錄??", 영축총림 통도사, 1998

      35 최립, "??간이집?? 권3, 서(序)", <금강산 유람의 권첩에 쓴 글>, null

      36 최강현, "??한국기행문학연구??", 일지사, 1982

      37 고동환, "??한국전근대교통사??", 들녘, 2015

      38 여행자, "문학에 관한 고찰 , ??", 눈뫼 허웅 박사 환갑기념 논문집??, 동간행 위원회, 1978

      39 이용준, 이유락, "역, ??금강산 탐승록??", ㈜새로운사람들, 2014

      40 권정생, 이현주, "엮, ??금강산 이야기??", 사계절, 2007

      41 로남, 류연식, "금수강산 우리 조국(1)", 북한: 근로단체출판사, 1988

      42 유승삼, "??금강산 100배 즐기기??", 중앙M&B, 1998

      43 김유경, 박영숙, "??서양인이 본 금강산??", (주)문화일보사, 1998

      44 이태호, "??조선미술사 기행??1권", 다른세상, 2002

      45 윤석달, 이남호, "역, ??금강산기행문선??", 작가정신, 1999

      46 장용경, 최정훈, "??금강산 그 든든한 힘??", 도서출판 이토, 1998

      47 최해, "??졸고천백?? 권1, 문(文)", <금강산으로 가는 승려 선지를 떠나보내며 주는 글>, null

      48 유산기에, 정치영, "대한 지리학적 연구 , ??", 대동한문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대동한문 학회, 2017

      49 안대회, 이중환, 이승용, "역, ??완역정본 택리지??", 휴머니스트, 2018

      50 최철, "??강릉, 그 아득한 시간??",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5

      51 정인갑, "??천하제일명산 금강산??", 도서출판 에스페로 문고, 1992

      52 김경미, 호승희, 정하영, 이혜순, "조선중기의 유산기 문학", 집문당, 1997

      53 남치호, "?? 문화자원과 지역정책??", 대왕사, 2007

      54 주의정, "??白湖尹?의 楓岳錄硏究??", 홍익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4

      55 최강현, "??기행가사자료선집?? 1권", 국학자료원, 1996

      56 홍사성, "??김삿갓 금강산 관유기??", 한국색채문화사, 1998

      57 최영준, "??한국의 옛길 영남대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4

      58 홍대용, "??담헌서?? 내집 3권, 서(序)", <종제를 금강산에 보내면서 지어 준 서문>, null

      59 전진성, "『역사가 기억을 말하다』", 휴머니스트, 2005

      60 이선국, "??길에서 금강산을 만나다??", 푸름출판사, 2015

      61 이상균, "??조선시대 유람문화 연구??",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62 이상균, "??朝鮮時代遊覽文化史硏究??", 경인문화사, 2014

      63 유몽인, 허경진, 최익현, 전송열, "역, ??조선선비의 산수기행??", 돌베개, 2016

      64 최강현, "??금강산 한시 선집?? 1권ㆍ2권", 신성출판사, 2002

      65 이유원, "??임하필기?? 제37권, 봉래비서", <금강산의 유래와 고사>, null

      66 조상현, "『18C-19C 그림속의 관동팔경』", 한서대학교출판부, 2006

      67 김영재, 양승봉, 변경섭, "??나는 지금 금강산으로 간다??", 김영사, 1998

      68 정치영, "??사대부, 산수유람을 떠나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4

      69 류명환, "??여암 신경준과 역주 도로고??", 도서출판 역사문화, 2014

      70 최상익, 최승준, "??한시와 함께 금강산 가는 길??", (사)율곡학회, 1998

      71 양태진, "『달라진 북한땅 이름이야기』", 백산출판사, 2008

      72 고연희, "??조선후기 산수기행예술 연구??", 일지사, 2007

      73 최완수, "??겸재를 따라가는 금강산 여행??", 대원사, 1999

      74 김기석, 송영훈, 서보혁, "??금강산 관광, 돌아보고 내다봄??", 진인진, 2018

      75 권도영, 한성우, 윤희진, 오영훈, 김영순, "??인문콘텐츠와 인물스토리텔링??", 북코리아, 2018

      76 이하진, 최강현, "역, ??매산 이하진의 금강도로기??", 신성출판사, 2001

      77 박종익, "??금강산 사군유산기 역주ㆍ연구??", 민속원, 2001

      78 조병균, 최강현, "역, ??금강산! 불국인가 선계인가??", 신성출판사, 1997

      79 이공주, "??세계적 명산 조선 금강산 탐승기??", 자주달개비, 2019

      80 김광식, "엮, ??금강산 건봉사의 역사와 문화??", 인북스, 2011

      81 정요근, "??高麗 朝鮮初의 驛路網과 驛制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82 정은주, "??조선시대 明淸使行관련 회화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8

      83 김용곤, 남효온, "??조선시대 선비들의 금강산 답사기??", 혜안, 1998

      84 정항교, "??율곡선생의 금강산 답사기(풍악행)??", 이화문화출판사, 1998

      85 심경호, "??산문기행 조선의 선비, 산길을 가다??", 이가서, 2007

      86 E.G, "캠프 지음ㆍ신복룡 역, ??조선의 모습??", 집문당, 1999

      87 신용석, 최경은, "금강산관광 재개 관련 현안과 대응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8

      88 조용호, "역, ??19세기 선비의 의주ㆍ금강산기행??", 삼우반, 2005

      89 빈르리트, "뢰쉬부르크ㆍ이만수 역, ??여행의 역사??", 효형출판, 2003

      90 이상열, "??역사문화로 개발 실태 및 활성화 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4

      91 이경순, "??17-18세기 士族의 유람과 산수공간 인식??",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92 최석로, "??50년만에 다시 보는 우리의 영산 금강산??", 서문당, 1998

      93 이호승, "??지리산유람록으로 본 산림문화 가치분석??",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94 삼척시, "삼척시 홈페이지(http://www.samcheok.go.kr/main.web)", null

      95 김혈조, "漢文學을 통해 본 金剛山,?? 漢文學報?? 제1집", 우리한문학회, 1999

      96 이사벨로, "버드 비숍, 신봉룡, ??조선과 그 이웃 나라들??", 집문당, 2017

      97 정요근, "高麗前期驛制의 整備와 22驛道, ??韓國史論?? 45",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2001

      98 정항교, "栗谷李珥의 <楓嶽行>分析, ??東岳漢文學論集?? 5", 東岳漢文學會, 1990

      99 유홍준, "??나의문화유산답사기5: 다시 금강을 예찬하다??", 창비, 2018

      100 김동정, "??인제군 삼남면 김부리 주민들의 삶과 역사성??", 인제문화원, 2018

      101 민병수, "金剛山詩의 代表作評說, ??韓國漢詩硏究?? 제6호", 태학사, 1998

      102 최병현, "금강산과 기독교 , ??청년?? 제1권 제6호 통권 77호", 청년잡지사, 1921

      103 이상각, "??꼬레아 러시, 100년 전 조선을 뒤흔든 서양인들??", 효형출판, 2010

      104 김영준, 박경열, "??스토리가 있는 문화생태탐방로 추진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 연구원, 2008

      105 백민자, "湖東西洛記와 금원의 傳世열망 , ??어문연구?? 78권", 어문연구학회, 2013

      106 박영민, "유산기의 시공간적 추이 , ??민족문화연구?? 제40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 연구원, 2004

      107 손정목, "전차의 부설ㆍ확장 및 철거의 과정 , ??中區誌?? 下", 서울특별시중구, 1994

      108 길에, 조응래, 조성한, 이승훈, 이수진, "관광을 입히다, 선(線)형 관광 , ??이슈& 관광?? 274호", 경기연구원, 2017

      109 양승이, "??금강산 관련 문학작품에 나타난 유가적 사유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1

      110 문원북, "편집부, ??역사속의 위인들에게 듣는 금강산 이야기??", 문원북, 1998

      111 내셔널, "내셔널 트레일 공식 홈페이지 https://www.nationaltrail.co.uk", null

      112 포천군, "포천군 홈페이지 http://www.pocheon.go.kr/csm/contents.do?key=6164", null

      113 애드워드, "렐프, 김덕현ㆍ김현주ㆍ심승희 역,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114 우미영, "??근대조선의 여행자들, 그들의 눈에 비친 조선과 세계??", 역사비평사, 2018

      115 강혜선, "조선 후기 金剛山圖와 金剛山詩, ??韓國漢詩硏究?? 제6호", 태학사, 1998

      116 이원태, "‘금강산 신드롬’의 정치적 풍경 , ??당대비평?? 통권6호", 삼인, 1999

      117 송재소, "稼亭李穀의 東遊記에 대하여 , ??韓國漢文學硏究?? 제24집", 한국한문학회, 1999

      118 조필감, 최강현, "역, ??부여의 조진사 금강산에 가다(조필감의 동행일기)??", 신성출판사, 2001

      119 정대훈, "옛길의 문화재적 가치와 활용 , ??글로벌문화콘텐츠?? 15권", 글로벌문화콘 텐츠학회, 2014

      120 심경호, "조선 후기 문인의 東遊체험과 한시 , ??한국한시연구?? 6호", 태학사, 1998

      121 최선경, "??호동서락을 가다, 남장 여인 금원의 19세기 조선 여행기??", 옥당, 2013

      122 김성재, "震澤申光河의 紀行詩의 연구: 金剛山과 白頭山을 중심으로", 덕성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123 박종훈, "수원박물관 소장 <금강록> 일고찰 , ??한국언어문화?? 제56집", 한국언어문 화학회, 2015

      124 박재광, 임난, "초기전투에서 관군의 활동과 권율 , ??임진왜란과 권율장군??", 전쟁기 념관, 1999

      125 이영숙, "17세기 이전 금강산 유람의 경로 및 특징 , ??남명학연구?? Vol.55", 경상 대학교남명학연구소, 2017

      126 이창훈, "??조선시대 유람록에 나타난 지리산 경관자원의 명승적 가치??",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127 최강현, "미발표 금강산유산록(金剛山遊山錄)을 살핌 , ??대전어문학?? 7", 대전대학 교국어국문학회, 1990

      128 김종혁, "[옛길을 따라]역사에서 ‘길’이란 무엇인가 , ??역사비평?? 8호", 역사비평사, 2004

      129 이종묵, "朝鮮前期文人의 金剛山유람과 그 문학 , ??한국한시연구?? 제6호", 태학사, 1998

      130 김선일, "인제지방에 살아 숨 쉬는 마의태자의 숨결 , ??인제문화?? 제23집", 인제 문화원, 2008

      131 서보혁, 피스, "투어리즘과 금강산 관광사업 , ??금강산 관광, 돌아보고 내다봄??", 진인진, 2018

      132 김선혜, "경기옛길의 지속적인 운영 방안 연구 , ??글로벌문화콘텐츠?? 16권",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4

      133 고운기, "안산시의 김홍도 브랜드 개발에 대하여 , ??東아시아古代學會?? 제37권", 東 아시아古代學會, 2015

      134 고태규, "조선시대 금강산 유람기에 대한 여행사(史)적 고찰 , ??관광연구저널??", 한국관광연구학회, 2018

      135 강혜선, "17ㆍ8세기 金剛山의 문학적 형상화에 대한 연구 , ??冠嶽語文硏究?? 17권",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2

      136 김용규, "로컬리티의 문화정치학과 비판적 로컬리티 연구 , ??한국민족문화?? 32권",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8

      137 나연숙, "『조선시대 평해로 연구: 울릉도 검찰일기에 나타나는 기록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38 장병관, 황국웅, "산악지역에서의 장거리 트레일 조성 계획방법 및 적용 , ??농촌 계획?? 17권", 한국농촌계획학회, 2011

      139 박부원, 박정임, "금강산 봉명사경도의 콘텐츠 활용을 위한 연구 , ??東아시아古代 學?? 제56집", 東아시아古代學會, 2019

      140 진종헌, "금강산 관광의 담론분석: 자연의 사회적 구성 , ??문화역사지리?? 제17권 제3호",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5

      141 김현수, "지방문화원 원천콘텐츠 발굴지원 사업의 의의와 개발 사례 , ??우리문화?? 5호", 한국문화원연합회, 2018

      142 한동민, "??일제강점기 통도사 주지 김구하와 독립운동 자금 지원??, ??대각사상?? 제15집", 대각사상연구원, 2011

      143 박부원, "지역문화에 대한 청소년 인식에 따른 콘텐츠 개발방향 , ??인문콘텐츠?? 제 46호", 인문콘텐츠학회, 2017

      144 유영초, "길 문화콘텐츠의 생태학적 해석; 경기옛길을 중심으로 . ??문화콘텐츠연 구?? 15권",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9

      145 이혜순, "18세기 韓日文士의 金剛山: 富士山의 우열 논쟁과 그 의미 , ??韓國漢文 學硏究?? 14", 韓國漢文學會, 1991

      146 정치영, "金剛山遊山記를 통해 본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여행 관행 , ??문화역사지리?? 제15권",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3

      147 이광호, "??남양주시 역사문화탐방로 개발방안 연구; 남양주시 금곡ㆍ진건 지역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148 김종혁, "옛길로 여행을 떠나기 전에; 길과 문화, 그리고 ‘산경표’ , ??내일을 여는 역사??(1)", (재)내일을여는역사재단, 2000

      149 이선향, "‘금강산 찾아가기’ 담론의 사회적 구성과 실천 , ??금강산 관광, 돌아보고 내다봄??", 진인진, 2018

      150 김도형, "창조관광자원으로서 걷는 길 사업의 의미와 과제 , ??대한지리학회학술 대회논문집??", 대한지리학회, 2012

      151 이영운, "??17, 18세기 하동 쌍계사의 배치와 전각구성의 변화: 지리산 유람기 분석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52 강진갑, "경기도 옛길 조성에 관한 연구 , ??문화콘텐츠 관점에서 본 옛길의 가치 와 활용방안??", 경기문화재단ㆍ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3

      153 이지훈, "경기도 옛길(영남길) 조성사업 개요 , ??경기도 옛길, 영남길 개발 및 조 성 결과보고서??", 경기도, 2015

      154 유영초, "경기옛길의 비전과 방향 , ??경기옛길 학술대회: 역사문화탐방로의 현재와 미래적 가치??", 경기문화재단 경기학연구센터, 2016, 2016

      155 최강현, "금강산(金剛山)문학에 관한 연구(1): 주로 1600년 이전의 작품을 중심으로 , ??성곡논총?? 23", 성곡학술재단, 1992

      156 하경숙, "여성 인물의 현실인식과 의미 양상: 금원의 문학작품을 중심으로 , ??동양문화연구?? 26집",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7

      157 고운기, "공존의 알고리즘: 문화융복합 시대에 고전문학 연구자가 설 자리 , ??우 리문학연구?? 58집", 우리문학회, 2018

      158 김수아, "??일제강점기 근대한국불교를 위한 김구하의 개혁정신과 방향??, ??문학과종교?? 제22권 4호",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7

      159 이지훈, "경기도의 역사와 경기옛길 , ??경기옛길학술대회, 역사문화탐방로의 현재와 미래적 가치??", 경기문화재단 경기학연구센터, 2016, 2016

      160 이태호, "일만이천봉에 서린 꿈-금강산의 문화와 예술 300년 , ??몽유금강 그림으로 보는 금강산 300년??", 일민미술관, 1999

      161 설연수, "??지역 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개발 전략 연구; 문화자원의 활용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2

      162 김울림, 김홍도, 김응환의, "봉명사경(1788)과 ‘海東名山圖草本帖’ , ??한국미술 사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동아시아의 미술과 여행??", 한국미술사학회, 2019, 2019

      163 박부원, "수원發금강산 옛길의 복원과 활용 연구; 수원 선비 지상은의 <금강록> 을 중심으로 , ??東아시아古代學?? 제53집", 東아시아古代學會, 2019

      164 신은경, "지리공간의 담론화 과정에 대한 일고찰; ??신증동국여지승람??과 ??택리지??를 중심으로 , ??정신문화연구?? 32권 1호",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165 신성희, "‘금강산’에서 전승되는 아름다움의 장소신화: 사회적 자연과 명산의 여행 지리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권 1호", 한국지역지리학회, 2016

      166 김종혁, "[옛길을 따라]조선후기의 대로 , ??역사비평?? 11호, 역사비평사, 김탁, 금강산의 유래와 그 종교적 의미 , ??동양고전연구?? Vol 1", 동양고전학회, 1993, 2004

      167 민윤숙, "금강산 유람의 통시적 고찰을 위한 시론: 불교적 성지 순례, ‘수양’에서 ‘구경’ 혹은 ‘관광’에 이르기까지 , ??민속학연구?? 27권", 국립민속박물관,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