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도시 쇠퇴지 활성화 전략으로써 근대역사문화자원 활용방안 연구 = A Study on Methods of utilization a historic cultural resources as a strategy for urban revitalization in decaying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4229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der the influence of rapid growth and deindustrialization, industrial complex is closed or transferred outside city area. In this process, industrial facilities’ lands have been abandoned spaces, and have acted major cause of decline of the city. ...

      Under the influence of rapid growth and deindustrialization, industrial complex is closed or transferred outside city area. In this process, industrial facilities’ lands have been abandoned spaces, and have acted major cause of decline of the city. Also, in Japanese colonial era’s modern buildings are shaded from exploitation of Japanese imperialism’s humiliated history. Not receiving attention but as they are abandoned, it has affected a cause of decline of the city.

      The case of Anyang, it developed by opening the the Gyeongbu line, but after the year 1970, it slowly started to decrease while national policy changed. Anyang, which was located in manufacturing area, not only decline of physical deterioration, but also formation of new town in Pyeongchon, is placed in central urban area. So manufacturing area made a transfer since the land price become increasing. Since then, occurred vaccum spaces have been neglected and is causing community problem. The part of vaccum spaces in decaying area is utilized as resources in many foreign cities. Above all, urban generation that is grafting onto culture and arts and applying is the utmost methodology and has been gotten recognition. Recently in Korea, social interest of historic culture resources are mounting, so the movement which tries to utilize the urban regener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There are historic culture resources in place, and if we use them in purpose of city image identity establishment and regional economic vitalization, it can be fine resource. As architectural method, conversion would utilize.

      Therefore, on this research, as activation strategy of city decaying area, I considered application plan for historic culture resources by applying conversion construction conception. Through this idea, I could sort out category and characteristic expression, and proposed coexistence complex culture space of Anyang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of a successful foreign case which used urban regeneration. In the event of the plan for coexistence complex culture space of Anyang, it regards as meaningful that it suggests durable urban regeneration ways which would be able to increase city competitiveness. Those are things that consider economic growth of driving force such as industrial’s potential value, availability, and as reflect local culture, it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and the last, through historical remain, it establishes identity of the city.
      On this wise, conversion architecture, which are made full use of historic cultural resources, anticipates that it will be able to utilize a data for strategy of urban regener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급속한 경제성장과 탈산업화의 영향으로 공업단지의 폐쇄나 수도권 외각 지역으로의 이전 과정에서 발생한 산업시설 이전적지는 도시 내 방치된 공간으로 존재하며 도시 쇠퇴의 주된 원인...

      급속한 경제성장과 탈산업화의 영향으로 공업단지의 폐쇄나 수도권 외각 지역으로의 이전 과정에서 발생한 산업시설 이전적지는 도시 내 방치된 공간으로 존재하며 도시 쇠퇴의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일제 강점기 시대의 근대건축물들은 일제 수탈의 치욕의 역사라는 그늘에 가려 주목 받지 못하고 방치됨으로써 도시 쇠퇴의 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안양의 경우 경부선의 개통과 함께 공업도시로써 발전하였으나 1970년대 이후 국가정책이 변화하면서 점차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안양은 물리적 노후화에 따른 쇠퇴뿐만 아니라 평촌 신도시의 형성으로 인해 공업 지역이 위치하던 도시 외각 지역이 도시의 중심에 놓이게 되었다. 이러한 공업지역들은 지가 상승으로 인해 이전하게 되었다. 이후 생겨난 유휴 산업부지는 방치되어 지역사회에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쇠퇴한 도시 내 유휴공간은 세계 각 도시에서 지역재생을 위한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는데, 그 중 예술과 문화를 접목하여 활용하는 지역재생이 도시를 활성화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론으로 인정받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근대역사문화자원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를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는 가운데 중앙정부와 지자체에서 유휴공간 문제와 관련된 정책 및 사업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도시 곳곳에 남아 있는 근대역사문화자원을 도시 이미지 정체성 확립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목적으로 활용된다면 도시재생의 훌륭한 자원이 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건축적 방법으로 컨버전이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 쇠퇴지 활성화 전략으로써 컨버전 건축 개념을 적용한 근대역사문화자원의 활용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컨버전 건축의 표현특성과 유형을 분류할 수 있었고, 도시재생으로 성공을 이룬 해외 사례의 조사 및 분석을 통해 안양 공존 복합 문화공간을 제안하였다. 안양 공존 복합 문화공간 계획안의 경우 경제성장의 원동력이 되었던 산업시설의 잠재적 가치와 활용성을 고려하고 지역 문화를 반영하여 지역 주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역사유적을 통해 도시의 정체성을 확립하여 도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이와 같이 쇠퇴지 활성화 전략으로 근대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컨버전 건축은 향후 국내 도시재생 전략으로 활용 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1.1 연구의 배경 1
      • 1.1.2 연구의 목적 4
      • 1.2 연구 범위 및 방법 5
      • 제1장 서론 1
      •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1.1 연구의 배경 1
      • 1.1.2 연구의 목적 4
      • 1.2 연구 범위 및 방법 5
      • 1.2.1 연구의 범위 5
      • 1.2.2 연구의 방법 5
      • 1.3 연구의 내용 6
      • 제2장 이론적 고찰 8
      • 2.1 도시쇠퇴에 대한 고찰 8
      • 2.1.1 도시쇠퇴에 대한 고찰 8
      • 2.1.2 도시쇠퇴의 양상 9
      • 2.1.3 도시쇠퇴의 원인 10
      • 2.1.4 지리적 범주에 따른 도시쇠퇴유형 13
      • 2.1.5 국내 도시의 쇠퇴유형 14
      • 2.2 근대역사문화자원 고찰 16
      • 2.2.1 근대시기에 대한 정의 16
      • 2.2.2 근대역사문화자원의 정의 17
      • 2.2.3 근대역사문화자원 개념의 변천과정 20
      • 2.2.4 근대역사문화자원의 성격 21
      • 제3장 근대역사문화자원 활용 방안으로써 컨버전 건축 23
      • 3.1 컨버전 건축의 정의 23
      • 3.2 컨버전 건축의 표현특성 26
      • 3.2.1 흔적 26
      • 3.2.2 중첩 28
      • 3.2.3 회복 30
      • 3.3 컨버전 건축의 유형 31
      • 3.3.1 자생적 컨버전 건축 31
      • 3.3.2 제도적 컨버전 건축 35
      • 3.4 소결 40
      • 제4장 계획 대상지 분석 42
      • 4.1 대상지 선정 배경 42
      • 4.2 안양의 형성 43
      • 4.3 안양의 쇠퇴원인 46
      • 4.4 안양의 쇠퇴현황 및 정책 48
      • 4.4.1 도시 내 쇠퇴현황 48
      • 4.4.2 안양시 도시 활성화관련 프로젝트 49
      • 4.4.3 활성화 의의 51
      • 4.5 계획 대상지 현황 52
      • 4.5.1 계획 대상지 개요 52
      • 4.5.2 주변부 현황 52
      • 4.5.3 경계부 현황 55
      • 4.5.4 대상지 세부 현황 57
      • 제5장 안양 유유산업부지의 공존 복합문화공간 계획안 60
      • 5.1 안양사에 대한 고찰 61
      • 5.1.1 안양사의 역사 61
      • 5.1.2 안양사지 발굴현황 63
      • 5.1.3 동시대의 사찰건축 가람배치특성 64
      • 5.1.4 안양사 발굴지와 예상지 65
      • 5.2 안양사지와 유유산업부지의 관계 66
      • 5.2.1 근대역사문화자원으로써 유유산업부지 66
      • 5.2.2 안양사지와 유유산업부지의 관계 68
      • 5.3 고대유적과 산업시설의 보존 범위 69
      • 5.3.1 안양사지 발굴범위 설정 69
      • 5.3.2 건축물 철거 및 보존 우선순위 설정 69
      • 5.4 프로그램 설정 72
      • 5.4.1 대상지 주변 프로그램 72
      • 5.4.2 프로그램 연계 및 도출 72
      • 5.4.3 프로그램의 세부선정 74
      • 5.5 계획의 목표 75
      • 5.6 계획개념 및 대안의 전개 76
      • 5.6.1 계획개념 76
      • 5.6.2 대안의 전개 80
      • 5.7 공간계획 82
      • 5.7.1 배치계획 82
      • 5.7.2 평면계획 83
      • 5.7.3 단면계획 86
      • 5.7.4 동선계획 87
      • 5.8 계획안 제시 88
      • 5.8.1 배치도 88
      • 5.8.2 평면도 89
      • 5.8.3 단면도 93
      • 5.8.4 입면도 94
      • 5.8.5 조감도 95
      • 제6장 결론 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