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일제강점기 경주지역의 문화재 보존운동과 역사교육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901860

      • 저자
      • 발행사항

        대구 : 계명대학교, 201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2012

      • 발행연도

        2012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600.15911.06 판사항(5)

      • DDC

        353.7951.903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대구

      • 형태사항

        ii, 66장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장 59-61

      • 소장기관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일제강점기 문화재는 식민사관을 확립시키기 위한 도구였다. 일제의 고적조사사업을 통해 식민사관의 형성에 도움이 되는 문화재만 조사·보존했다. 이러한 정책으로는 문화재 전반에 대�...

      일제강점기 문화재는 식민사관을 확립시키기 위한 도구였다. 일제의 고적조사사업을 통해 식민사관의 형성에 도움이 되는 문화재만 조사·보존했다. 이러한 정책으로는 문화재 전반에 대한 보호를 할 수 없었다.
      특히 경주지역의 문화재는 일제의 식민사관 형성에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도굴과 약탈의 대상이 되었다. 이에 금관총 발굴을 기점으로 경주지역의 민간인 문화재 보호 활동이 시작되었다. ‘금관고 건립을 위한 모금 운동’, ‘신라고적순회영사단’등의 활동이 벌어졌고 ‘경주고적보존회’내의 조선인의 활동도 활발히 벌어졌다.
      종래의 연구들은 이러한 민간차원의 문화재 보존활동에 관심이 부족했다. 이에 본고는 일제강점기 경주지역의 문화재 보존운동을 파악하고 그 의의와 한계를 파악했다.
      이 운동은 현대의 문화재 보호운동의 뿌리로 그 시사점이 크다. 이에 일제강점기의 문화재 보존운동의 의의와 한계를 파악하여 현대적 문화재 보호운동의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 이를 통해 현대적인 문화재 보호운동을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문화재 보호운동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앞으로 문화재 보호운동의 주체가 될 학생들을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제강점기 경주지역의 문화재 보존 활동을 파악하고 그를 통해 학생들의 현대적인 문화재 인식과 문화재 보호에 대한 참여를 독려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ultural assets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were used to develop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Through the researches of the historical remains, the Japanese only preserved the cultural properties that would help to develop the colonial view of...

      The cultural assets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were used to develop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Through the researches of the historical remains, the Japanese only preserved the cultural properties that would help to develop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and conducted historical researches on them. Due to the flawed policy, other general cultural assets could not be preserved.
      For example, the cultural properties in the Gyeongju region were not only the tools of developing the Japanese colonial view of history, but also the targets of the cultural robberies and plunders. As a result, since the excavation of the Golden Crown Tomb, which was the starting point of the enlightenments, many people in Gyeongju participated in the cultural conservation movements; social movements such as, ‘fundraising campaign for the exhibition place of the Golden Crown Tomb’ and ‘Projection Society for Silla Dynasty’s Cultural Assets’ occurred, and the activities of the citizens in ‘Gyeongju Culutral Assets and Places Preservation Society’ became active.
      The traditional studies in this sense, lacked of interest in these public cultural preservation movements. Due to this tremendously vital problem, this article has put their efforts not only to grasp the cultural properties preservation movements in Gyeongju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but also to understand their meanings and limits.
      As the precedent of the case, this movement places its resonance in the modern cultural assets preservation movements. With this lesson learne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meanings and the limits of these cultural properties preservation movements. Through this effort, people should use it as a guide to further develop the modern cultural assets preservation movements.
      For the active cultural assets preservation movements, it is crucial to educate students who will be leading the future cultural properties preservation movements. Understanding the cultural assets preservation movements in Gyeongju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would help encourage the students’ participations in these cultural properties preservation movements and build modernly proper thoughts of the cultural asse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1
      •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 2. 연구사 정리 및 연구 방법 2
      • Ⅱ. 일제의 경주문화재 정책과 조선총독부박물관 경주분관의 설치 8
      • 1. 일제의 식민지 문화재 정책과 경주 문화재 발굴 8
      • Ⅰ. 머리말 1
      •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 2. 연구사 정리 및 연구 방법 2
      • Ⅱ. 일제의 경주문화재 정책과 조선총독부박물관 경주분관의 설치 8
      • 1. 일제의 식민지 문화재 정책과 경주 문화재 발굴 8
      • 2. 조선총독부박물관 경주분관의 설립과 역할 16
      • Ⅲ. 경주문화재 보존 문제와 경주고적보존회의 활동 23
      • 1. 경주문화재 보존 문제 23
      • 2. 민간인의 문화재 보존 활동과 경주고적보존회 28
      • Ⅳ. 문화재 보존운동과 역사교육 37
      • 1. 문화재 보존운동의 의의 37
      • 2 문화재 보존의식 고취를 위한 교육 방안 41
      • Ⅴ. 맺음말 57
      • 참고문헌 59
      • 영문초록 62
      • 국문초록 6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