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퇴계, 율곡, 다산의 사회복지사상 비교 연구 : 사회복지의 본질과 실현 장소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67326

      • 저자
      • 발행사항

        경산 : 대구대학교, 201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38.15 판사항(6)

      • DDC

        361.61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 형태사항

        v, 99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준상
        참고문헌: p. 91-96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대구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hesis is to reflect on the thoughts of Toegye, Yulgok, and Dasan from contemporary social welfare perspective and cluster them into the categories of personal welfare thought, local community welfare thought and state welfare thought, according t...

      The thesis is to reflect on the thoughts of Toegye, Yulgok, and Dasan from contemporary social welfare perspective and cluster them into the categories of personal welfare thought, local community welfare thought and state welfare thought, according to the three major contexts in which today's social welfare programme is implemented. Then it looks into how the three key concepts, that is, self-reliance, social inter-actions and stability are reflected in their social welfare thoughts at personal, local community and state level, and then compares them and reflects on their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oday's social welfare thought. The followings are the outcome of the study:
      First, Toegye's social welfare thought can be consolidated into self-reliance and stability of daily life, communal interactions, and national stability. Everyday life is the context in which welfare must be implemented. Toegye suggests that once they get up in the morning, ones clean both inner side and outside of their mind and arrange them in order and stay in calm until they go to bed, and harmonize their life with others whose life cannot be the same with theirs. This is, in fact, the ultimate goal of all welfare policies and practices. Toegye argues that the realization of human morality and the realization of welfare are like both sides of the same coin and that daily life and community life are the very contexts where it happens and is practiced. For Toegye, state welfare can be realized when the state leadership and officials are self disciplined and provide service to the people on that basis. Welfare and ethics are closely inter-related.
      Second, Yulgok's social welfare thought can be consolidated into overcoming human immaturity, rehabilitation and communal solidarity, and national stability. Yulgok expected harmonization of the overcoming of the immaturity of human beings and the realization of human welfare. Realization of welfare and integrity of the mind are inter-related. Yulgok's suggestion for achieving the goal of local welfare is through 'Daedong (Great Solidarity) society'. It is the goal of local welfare that the people living in the same village are fully integrated. Yulgok's state welfare can be characterized by the three key concepts; protection of people, nourishment of people and education of people. This vision can be realized by the state leadership and officials who are fully disciplined. Proper training and disciplining the state officials are essential for proper protecting, nurturing, and teaching people.
      Third, the social welfare thoughts of Dasan can be summarized as self-reliance of the poor people, fair distribution of local land, and Mokmin(pasturing people). Witnessing to the miserable situation of the poor of his time who were forcibly driven into poverty situation due to unjust taxation policy and its unlawful enforcement, Dasan sincerely sought the way in which the poor could be liberated from their difficulties caused by systematic injustice. Dasan's vision was to develop an egalitarian and well functioning society by promoting joint ownership on the land by the cultivator and the person who develops and does research work on cultivating techniques and methods, and fair distribution of the crops harvested among them and a society in which even nobility class works. Here, Dasan's vision for pasturing people has emerged. Dasan tries to persuade us to learn the method, contents, and value of Mokmin, or pasturing people. This, pasturing people is the core of Dasan's state social welfare thought.
      Fourth, the thesis attempts at exploring the essence of contemporary social welfare thoughts, that is, self-reliance, communal fellowship, and stability from three Korean sages' thoughts. In contemporary social welfare thought, the contexts in which welfare is implemented are personal and communal and state level of people's life. For this reason, the thesis tried to cluster the thoughts of Toegye, Yulgok, and Dasan into the categories of personal welfare thought, local welfare thought and the state welfare thought according to that categories.
      In summary, In Toegye's human welfare thought, those three key concepts, self-reliance, social interactions and stability are reflected. Yulgok's human welfare thought is mainly focused on spiritual self-reliance. And for Dasan, economic self-reliance is the key for human welfare thought. In Dasan's communal welfare thought, both self-reliance and social interaction are emphasized. In Toegye's state welfare thought, self-reliance, social interactions and the national stability by the King are emphasized. While accepting Toegye's idea, Yulgok argues that the state can be stabilized when the stabilized King assists both spiritual and economic self-reliance in cooperation with the state officials. Dasan also thinks that the state welfare thought could also be achieved by the role of government officials who promote self-reliance, social interaction, and stability of the people through their service of people.
      Finally, the methodology of the thesis is not seeking a descriptive social welfare thought theory but searching for a normative social welfare thought theory. The descriptive social welfare thought theory usually carries out the social welfare thought studies by describing ideas or ideologies that exist in human, social and social welfare phenomenon. However, the normative social welfare thought theory tries to search for the essences of social welfare and justifies them in theoretical terms, and consolidate the available thoughts in the context where social welfare must be implemented. In this thesis, those available thoughts were that of Toegye, Yulgok, and Dasa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먼저 퇴계, 율곡, 다산의 사상을 ‘사회복지사상’의 시각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 논문은 그 사상을 인간, 지역, 국가라는 사회복지실현의 장소의 맥락에서 인간복지사상, 지역...

      이 논문은 먼저 퇴계, 율곡, 다산의 사상을 ‘사회복지사상’의 시각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 논문은 그 사상을 인간, 지역, 국가라는 사회복지실현의 장소의 맥락에서 인간복지사상, 지역복지사상, 국가복지사상으로 분류한다. 나아가 이 논문은 퇴계, 율곡, 다산의 사회복지사상 속에 자립, 교류, 안정이라는 사회복지의 본질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비교하고자 한다. 또한 이 논문은 세 선현들의 사상이 오늘 우리에게 주는 의의나 함의는 무엇인지 찾고자 한다. 이 논문의 내용과 방법은 다음처럼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퇴계의 사회복지사상은 일상생활의 자립과 안정, 지역의 교류, 그리고 국가의 안정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일상생활은 복지실현의 장소이다. 퇴계는 아침에 일어나, 저녁에 잠들기 까지 마음 안과 밖을 정리하고 청소하며 경건하고 안정되기를 희망하고, 다른 존재와의 관계 안에서 같지는 않되 조화되기를 소망한다. 이것은 모든 복지실천이나 정책의 궁극 지향점이다. 퇴계는 인륜의 실현과 복지실현이 결국 동전의 양면이며 그것은 지역에서 일어나고 이룩되는 것임을 말하고 있다. 또한 퇴계에게는 국가 지도자의 수양과, 그것에 바탕을 둔, 치인(治人)을 통해 국가복지는 실현된다. 복지와 윤리는 긴밀히 이어져 있다.
      둘째, 율곡의 사회복지사상은 인간 미숙의 극복, 지역의 교화와 교류, 그리고 국가의 안정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율곡은 어린 인간의 미숙함이 극복되는 일과, 인간의 복지가 실현되는 것을 일치시키고자 한다. 복지실현과 마음의 숙성은 연계되어 있다. 율곡은 ‘대동 사회’의 관점을 통해 지역복지의 목표를 우리에게 제안하고 있다. 지역의 사람들이 크게 어우러지는 것은 지역복지의 목표이다. 율곡의 국가복지사상은 수양된 지도자의 보민(保民), 양민(養民), 교민(敎民)을 강조한다. 백성을 잘 보호하고 기르며, 바르게 가르치는 일을 위해 지도자의 수양은 반드시 필요하다.
      셋째, 다산의 사회복지사상은 빈민의 자립, 지역 토지의 고른 분배, 그리고 목민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다산은 그 당시 세금정책의 운영에 있어서 비정의로 인하여 빈곤에 내몰린 빈민의 비참한 역경을 목격하면서 빈민이 그 어려움에서 벗어나는 길을 성실히 모색한다. 국가는 빈민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일을 주요하게 해야 한다. 다산은, 토지는 경작자와, 경작기술이나 방법을 개발하고 연구할 수 있는 사람이 함께 공동으로 소유하고, 그 소출은 공동으로 분배하여 보다 평등주의적이고 기능실현적인 사회, 양반이라 하여 놀고먹는 사람이 없는 세상을 희망한다. 여기서 다산의 목민관이 창출된다. 다산은 목민의 방법과 내용, 가치를 우리에게 설득한다. 다산의 국가복지사상에서 목민사상은 그 핵심이다.
      넷째, 이 논문은 사회복지학 저술들과 동서고금 인류의 보편적 지혜의 문헌적 전승 속에서 사회복지의 본질을 자립, 교류, 안정에서 찾고자 한다. 사회복지 연구서들은 사회복지실현의 장소가 결국 인간, 지역, 국가임을 말하고 있다. 또한 이 논문은 퇴계, 율곡, 다산의 사상을 인간복지사상, 지역복지사상, 국가복지사상의 표현 안에서 해명한다.
      퇴계의 인간복지사상 안에는 자립, 교류, 안정이 함께 있다. 율곡의 인간복지사상은 주로 정신적 자립을 주요하게 본다. 그리고 다산의 인간복지사상은 빈민의 경제적 자립을 소중하게 여기고 있다. 세 선현들의 지역복지사상 안에서는 주로 교류가 강조되고 있다. 특히 다산의 지역복지사상 안에는 자립과 교류가 함께 있다. 퇴계의 국가복지사상은 임금의 자립, 교류, 안정에 의한 국가의 안정을 강조하고 있다. 율곡의 국가복지사상은 퇴계의 관점을 받아들이되, 자립, 교류, 안정된 임금이 신하의 협력을 통해 백성의 정신적 자립, 경제적인 자립을 도움으로써 비로소 국가가 안정됨을 말하고자 한다. 다산의 국가복지사상은 목민관의 역할을 통하여 백성의 자립, 교류, 안정이 실현될 수 있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의 방법론은 기술적(記述的) 사회복지사상론이 아니라 규범적 (規範的) 사회복지사상론이다. 기술적 사회복지사상론은 인간, 사회, 사회복지 현상 속에 존재하는 사상이나 이념을 다만 기술(description)함으로써 사회복지사상의 연구를 진행한다. 그러나 규범적 사회복지사상론은 사회복지의 본질을 찾아 그것을 이론적으로 정당화하고, 그 본질이 실현되는 장소의 맥락에서 기존 사상을 사회복지의 관점으로 구성한다. 이 논문에서 기존 사상은 퇴계, 율곡, 다산의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7
      • 3. 연구의 한계 9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7
      • 3. 연구의 한계 9
      • Ⅱ. 연구방법론 11
      • 1. 연구의 방법 11
      • 2. 연구 분석의 틀 19
      • Ⅲ. 인간복지사상 27
      • 1. 퇴계 27
      • 2. 율곡 31
      • 3. 다산 35
      • 4. 퇴계, 율곡, 다산 인간복지사상의 비교논의 40
      • Ⅳ. 지역복지사상 42
      • 1. 퇴계 42
      • 2. 율곡 46
      • 3. 다산 50
      • 4. 퇴계, 율곡, 다산 지역복지사상의 비교논의 54
      • Ⅴ. 국가복지사상 56
      • 1. 퇴계 56
      • 2. 율곡 61
      • 3. 다산 67
      • 4. 퇴계, 율곡, 다산 국가복지사상의 비교논의 73
      • Ⅵ. 퇴계, 율곡, 다산 사회복지사상의 함의 74
      • 1. 퇴계, 율곡, 다산의 사회복지사상 74
      • 2. 퇴계, 율곡, 다산 인간복지사상의 함의 75
      • 3. 퇴계, 율곡, 다산 지역복지사상의 함의 79
      • 4. 퇴계, 율곡, 다산 국가복지사상의 함의 83
      • Ⅶ. 결론 89
      • 참고문헌 91
      • 영문초록 97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을호, "다산학", 현암사, 서울: 현암사, 1976

      2 이황, "성학십도", null

      3 정순목, "퇴계정전", 지식산업사, 서울: 지식산업사, 1992

      4 이민수, "역 격몽요결", 서울: 을유문화사, 1991

      5 과학원 철학연구소 편, "정다산 연구", 한마당, 서울: 한마당, 1989

      6 박종홍, "지성과 모색", 서울: 박영사, 1982

      7 구동회 , 이-푸 투안 지음, 심승희 옮김, ", 공간과 장소", 서울: 대윤, 1999

      8 박석무, 편역, 정해렴, "다산논설선집", 서울: 현대실학사, 2001

      9 박석무, 편역, 정해렴, "다산문학선집", 서울: 현대실학사, 2000

      10 원석조, "사회복지개론", 양서원, 서울: 센게이지러닝코리아, 2013

      1 이을호, "다산학", 현암사, 서울: 현암사, 1976

      2 이황, "성학십도", null

      3 정순목, "퇴계정전", 지식산업사, 서울: 지식산업사, 1992

      4 이민수, "역 격몽요결", 서울: 을유문화사, 1991

      5 과학원 철학연구소 편, "정다산 연구", 한마당, 서울: 한마당, 1989

      6 박종홍, "지성과 모색", 서울: 박영사, 1982

      7 구동회 , 이-푸 투안 지음, 심승희 옮김, ", 공간과 장소", 서울: 대윤, 1999

      8 박석무, 편역, 정해렴, "다산논설선집", 서울: 현대실학사, 2001

      9 박석무, 편역, 정해렴, "다산문학선집", 서울: 현대실학사, 2000

      10 원석조, "사회복지개론", 양서원, 서울: 센게이지러닝코리아, 2013

      11 서상철, "사회복지개론", 홍익재, 대구: 형설출판사, 2005

      12 김영종, "사회복지행정", 서울: 학지사, 2007

      13 최혜지, "사회복지 사상", 서울: 학지사, 2008

      14 송찬섭, 홍순권, "한국사의 이해", 느티나무,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1

      15 김경탁, "역주 완역 주역", 서울: 명문당, 1978

      16 김태성, "⌜복지국가론⌟", 나남, 파주: 나남, 2014

      17 전재일, "사회복지실천론", 인간과복지, 대구: 형설출판사, 2004

      18 김기덕, "사회복지윤리학", 나눔의집, 서울: 나눔의 집, 2002

      19 원석조, "사회복지정책론", 공동체, 서울: 공동체, 2006

      20 최익한, "조선사회정책사", 서울: 박문출판사, 1946

      21 구자헌, "한국사회복지사", 홍익제, 서울: 홍익재, 1991

      22 이완재, "敬思想에 대하여", 열화, 25호, 2010

      23 윤사순, "퇴계철학의 연구",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6

      24 금장태, "퇴계의 삶과 철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25 김태영, "退 栗誠敬思想硏究", 충남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박사학위논문, 1988

      26 이완재, "공자에서 퇴계까지", 이문, 대구: 이문출판사, 2001

      27 박석무, 편역주, 정해렴, "다산시정선. 상, 하", 서울: 현대실학사, 2002

      28 성교진, "성우계의 성리사상", 이문, 대구: 이문출판사, 1994

      29 고산 역해, 이이 지음/, "성학집요/격몽요결", 서울: 동서문화사, 2011

      30 김용옥, "도올심득 동경대전1", 서울: 통나무, 2004

      31 윤국일, "옮김 신편 경국대전", 서울: 신서원, 2005

      32 류정동, "퇴계의 생애와 사상", 서울 : 박영사, 1978

      33 이상은, "퇴계의 생애와 학문", 서울: 서문당, 1978

      34 이기백, "한국사신론. 개정판", 서울: 일조각, 1982

      35 권중돈, "복지, 논어를 탐하다",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15

      36 김범수, 신원우, "지역사회복지론. 2판", 고양: 공동체, 2011

      37 최창무, "한국전통사회복지사", 양서원, 파주: 양서원, 2008

      38 이윤희, "「퇴계가 우리에게」", 예문서원, 서울: 예문서원, 2010

      39 최익한, "『실학파와 정다산』", 청년사, 서울: 청년사, 1989

      40 이윤희, 홍승균, "공역 퇴계선생언행록", 서울: 퇴계학연구원, 2007

      41 Gandhi, Mahatma, "마을이 세계를 구한다", 녹색평론사, 대구: 녹색평 론사, 2006

      42 금장태, "실천적 이론가 정약용", 이끌리오, 파주: 이끌리오, 2005

      43 정일균, "「다산사서경학연구」", 일지사, 서울: 일지사, 2000

      44 김상균, "사회복지개론. 개정3판", 서울: 나남, 2011

      45 조흥식, "사회복지개론. 개정4판", 파주: 나남, 2015

      46 류정동, "동양철학의 기초적 연구", 서울: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86

      47 박광준, "사회복지의 사상과 역사", 서울: 양서원, 2002

      48 이동인, "『율곡의 사회개혁사상』", 서울: 백산서당, 2004

      49 김상균, "『현대사회와 사회정책』",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87

      50 최봉영,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Ⅰ)", 서울: 느티나무, 1996

      51 최봉영,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Ⅱ)", 서울: 느티나무, 1995

      52 최성재, 최일섭, "공편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서울: 나남출판, 2003

      53 이덕일,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 2", 서울: 김영사, 2009

      54 조성린, "정조대 사회복지시책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학위 논문, 2009

      55 이종일, "선현들, 사회복지를 말하다", 대구: 이문출판사, 2014

      56 김영진, "한국인을 위한 윤리와 논리",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0

      57 김호태, "헌법의 눈으로 퇴계를 본다", 미래를 여는 책, 서울: 미래를 여는 책, 2008

      58 김기현, "퇴계의 사회사상. 퇴계 이황", 서울: 예문서원, 2005

      59 정석종, "『조선후기의 정치와 사상』", 한길사, 서울: 한길사, 1994

      60 김종석, "안다는 것에 대한 동양적 성찰", 파주: 글항아리, 2015

      61 금장태, "율곡평전 - 나라를 걱정한 철인", 지식과교양, 서울: 도서출판 지식과교양, 2011

      62 이민수, "《조선전기 사회복지정책연구》", 혜안, 서울: 혜안, 2000

      63 신용하, "조선후기 실학파의 사회사상연구", 지식산업사, 서울: 지식산업사, 2000

      64 금장태, "「성학십도와 퇴계 철학의 구조」",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65 류진석, 최균, "“복지의식의 경향과 특징: 이중성”",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16, 2000

      66 남기민, 홍성로, "사회복지법제론. 제5판. 고양: 공동체", 논어, 2014

      67 정성철, "실학파의 철학사상과 사회정치적 견해", 한마당, 서울: 한마당, 1989

      68 황의동, "율곡사상의 체계적 이해 2-경세 사상 편", 서광사, 서울: 서광사, 1998

      69 권오봉, "퇴계선생 일대기-가을하늘 밝은 달처럼", 서울: 교육과학사, 2001

      70 황의동, "『율곡사상의 체계적 이해1; 성리학편』", 서광사, 서울: 서광사, 1998

      71 남찬섭 , 폴 테렐 지음,, 유태균 역, 닐 길버트, "사회복지정책론- 분석 틀 과 선택의 차원", 서울: 나눔의 집, 2009

      72 , 이장우 , 전일주 옮김, 이황 지음, "퇴계 이황 아들에게 편지를 쓰다. 개정 판", 고양: 연암서가, 2011

      73 송재소, "다산의 사회시. 윤사순 편, 정약용, pp. 48-71",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0

      74 전준우, "정약용의 사회개혁 및 복지관에 관한 연구",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대구대학교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박사학위논문, 1982

      75 김영두, "옮기고 풀어씀 퇴계, 인간의 도리를 말하다", 서울: 푸르메, 2011

      76 박승희, "한국사회복지정책론-아름다운 세상 가꾸기", 서울: 성균관대학 교 출판부, 2005

      77 지교헌, "조선조향약의 이념과 실천. 조선조향약연구", 서울: 민속원, 1991

      78 김상균, 최유석, 주은선, 이정호, "우리나라 복지이념모형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사회복지연 구, 14, 1999

      79 이동준, "율곡사상의 철학적 고찰. 율곡집(이준호 역주)", 서울: 현암사, 1976

      80 박균섭, "율곡의 향약과 사회교육사상. 조선조향약연구", 서울: 민속원, 1991

      81 최문형, "율곡향약의 사회 윤리적 기능. 조선조향약연구", 서울: 민속원, 1991

      82 장승구, "退溪의 向內的哲學과 茶山의 向外的哲學의 比較", 한국정신문 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철학박사학위논문, 1994

      83 서울대학교 실천사회복지연구회-Praxis 편저, 서초구립반포종합사회복지관, , "실천가와 연구자를 위한 사회복지 척도집(제2판)", 서울: 나눔의 집, 2007

      84 권지성 공역,,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Creswell, J. W. 저 질적 연구방법 론: 다섯 가지 전통", 서울: 학지사, 2006

      85 신귀현, "퇴계 이황, 예 잇고 뒤를 열어 고금을 꿰뚫으셨소", 서울: 예문 서원, 2001

      86 이이, "격몽요결. 답성호원. 동호문답. 만언봉사. 사창계약속", 성학집요, null

      87 홍덕기, "다산 정약용의 토지개혁사상 연구-여전론을 중심으로", 전남대학 교 대학원 경제학과 박사학위논문, 1990

      88 홍경준, "한국의 사회복지체제 연구–국가 시장 공동체의결합구조", 서울: 나남출판, 2000

      89 최원규, "다산 정약용의 복지관. 하상락 편, 한국사회복지사론, pp. 279-323", 서울: 박영사, 1989

      90 박승희, "사서에 나타난 유교의 사회복지사상. 한국사회복지학, 통권 38 호", 서울: 나남출판, 1999

      91 황병곤, "예안향약을 통해서 본 퇴계의 향민자치관. 퇴계학의 현대적 조 명", 단대출판부, 1987

      92 정약용, "경세유표. 논어고금주. 농책. 목민심서. 사형조참의소. 원목. 전론. 탕론. 환상론", 흠흠신서, null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