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MKSDB / DB / 한국지리풍속지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종류별
  • 시대별
  • 주제별

Book 643 Article 49,091 Korean Studies Content 984
Sort
Most recent publication year
  • 한국지리풍속지DB
    |
    학위논문
    노르딕 북극권의 지정, 지경, 지문화적 역동성에 관한 연구
    한종만
    2017
    한국시베리아연구
    이 글에서는 전체 북극권에서 제일 발전된 유럽 북극권, 그중에서 특히 노르딕 5개국의 역동성과 거버넌스 이슈의 협력 현황과 과제를 중심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노르딕 북극권은 지리적 인접성과 역사 문화적 공통분모를 지니고 있지만 기타 북극권처럼 자연 및 인문환경…
    #북극 #노르딕_북극 #지정학 #지리학 #지문화 #The_Arctic #Nordic_Arctic #Geoplititcs #Geoeconomics #Geoculture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한국지리풍속지DB
    |
    학위논문
    비보풍수가 인간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과학적 근거
    김려중
    2017
    한국사진지리학회지
    풍수지리 사상은 역사적 영향력이 매우 큰 학문이다. 선조들의 지혜와 과학성이 내포된 전통 환경사상이다. 땅을 비롯한 주위의 자연환경은 우리의 인생에 영향을 미친다. 결함이 있는 땅은 보완하여, 환경에 의한 심리적 안정으로 건강한 생활을 유지해 갈 수 있도록 하…
    #비보풍수 #풍수 #심리학 #심리적_효과 #문화유산 #Supplementary_feng_shui #feng_shui #psychology #psychological_effect #cultural_heritage.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한국지리풍속지DB
    |
    학위논문
    조선후기 『癡癡菴日錄』으로 본 강릉 鄕校와 科擧의 운영실태
    이규대
    2017
    역사민속학
    『Chichiamilrok』 is a diary of Kimhyeonho. It was writed for four years from 1791 year. He was a student of confucianism. This thesis used a diary…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한국지리풍속지DB
    |
    학위논문
    隋煬帝의 西域經營 -包容과 開放의 西北邊疆政策-
    姜琦
    2017
    中國史硏究
    Emperor Yang of Sui's Administration the Western Countries of China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한국지리풍속지DB
    |
    학위논문
    조선시대 永川지역 刊行書의 書誌的 分析
    권오덕
    2017
    서지학연구
    본 연구는 조선시대 영천지역 간행서에 대하여 먼저 사료에 기록된 영천지역의 출판 활동을 살펴 본 다음, 이를 토대로 영천역사문화박물관 소장 및 현재 여러 기관에 전하고 있는 조선시대 영천지역 간행서를 분석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한국지리풍속지DB
    |
    학위논문
    동아시아 양명학 연구의 새 지평에 대한 모색
    최재목
    2017
    儒學硏究
    이 논문은 동아시아 양명학연구의 과제를 화두로 현재 시점에서 양명학연구를 성찰해 보려는 의도에서 작성된 것이다. 디테일보다도 거시적 안목에서 양명학연구의 새 지평을 성찰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 논의한 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자학의 …
    #동아시아._주자학 #상산학 #양명학 #문자문화 #소리문화 #마음(心) #East_Asia #Zhuzixue #Xiangshanxue #Yangmingxue #Literacy #Orality #Mind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한국지리풍속지DB
    |
    학위논문
    전주 한옥마을의 도시재생사업이 지역변화에 미친 영향
    문태헌
    2017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도시재생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으며 그 중 전주 한옥마을은 지속적으로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되는 대표적인 도시재생사업지이다. 이에 전주 한옥마을의 관광객 수는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관광객 수가 급증한 만큼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전주_한옥마을 #도시재생사업 #물리적_재생 #경제적_재생 #사회적_재생 #Jeonju_Hanok_Village #Urban_Regeneration #Physical_Regeneration #Social_Regeneration #Economic_Regeneration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한국지리풍속지DB
    |
    학위논문
    대한제국기 융희학교의 학사운영과 졸업생의 사회적 진출
    최덕수
    2017
    한국사학보
    이 논문은 대한제국 시기에 흥사단이 설립하여 운영한 융희학교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자료로 고려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융희학교의 『學事書類』를 활용하였다. 융희학교의 『學事書類』는 전체 15권 분량으로, 융희학교 설립 직후 시기인 1908년 9월부터 …
    #유길준 #융희학교 #학사서류 #교육과정 #흥사단 #졸업자 #사회진출 #the_Yung-Hui_School(隆熙學校) #Yu_KilChun #Documents_on_School_Managements(Haksaseoryu) #Curriculum #Heung_Sa_Dahn(興士團) #Graduates #Entry_into_Society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한국지리풍속지DB
    |
    학위논문
    사적 제135호 부여 궁남지의 정비과정으로 살펴본 전통의 남용과 발명
    정우진
    2017
    한국전통조경학회지
    한국 전통 연지의 시원으로 평가되는 궁남지는 『삼국사기』에 나타난 무왕의 연지 축조 기록, 사비왕궁으로 추정되는 관북리 유적 및 화지산 이궁지 남쪽에 위치한 지리적 정황에 의해 궁남지로 비정되는 한편 사적으로 지정ㆍ복원되었다. 본 연구는 궁남지의 복원정비 …
    #복원 #원지 #전통의_발명 #진성성 #사적지_조경 #Restoration #Palace_Pond #Authenticity #Invention_of_Tradition #A_Landscape_Architecture_of_Historic_Site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한국지리풍속지DB
    |
    학위논문
    조선시대 한양도성에 조성한 南小門의 역사적 변천
    이현진
    2017
    朝鮮時代史學報
    남소문은 태조대 한양도성에 조성된 8門 중 광희문과 숭례문 사이에 건립한 문이다. 그 존재는 도성8문을 세운 최초의 기록을 담은 『태조실록』과 그 뒤에 편찬된 『세종실록지리지』에는 드러나지 않고 남소문의 폐쇄론을 논의하고 있는 예종대에 그 실체가 처음으로 발견…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First PagePreview Page12345678910Next PageLast Page총 984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