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C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MKSDB / DB / 한국지리풍속지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종류별
  • 시대별
  • 주제별

Book 643 Article 49,091 Korean Studies Content 984
Sort
Most recent publication year
  • 한국지리풍속지DB
    |
    학위논문
    근세 일본의 사료에 나타난 울릉도·독도의 지리적 인식 - 『죽도기사』·『죽도고』·『원록각서』를 중심으로 -
    이태우
    2017
    독도연구
    이 논문의 목적은 근세 일본의 사료에 나타난 울릉도 · 독도에 대한 지리적 인식을 중심으로 그들이 말하는 다케시마(울릉도)와 마쓰시마(독도, 우산도, 자산도)가 한국의 영유임을 재확인해보는 것이다. 일본이 17세기 고유영토설의 근거 사료로 삼고 있는 『죽도기사…
    #울릉도 #독도 #근세_일본의_사료 #지리적_인식 #죽도기사 #竹島紀事 #죽도고 #竹島考 #원록각서 #元祿覺書 #안용복 #Ulleungdo #Dokdo #Geographical_recognition #Japan #historical_materials #Jukdogisa #竹嶋記事 #Jukdogo #竹島考 #Wonrokgakseo #元祿覺書 #Yong-bok_Ahn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한국지리풍속지DB
    |
    학위논문
    근대 독도 포함 해양 관련 역사분야의 성과와 한계
    김영수
    2016
    東北亞歷史論叢
    일본은 제국주의적 영토침탈의 한 도구에 지나지 않았던 소위 ‘시마네현 고시 제40호’ 등을 통해서 자기소모적 논쟁을 계속하고 있다. 2005년 3월 시마네현의회의 ‘죽도의 날’ 조례 제정으로 표면화된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은 대한민국이 독립을 쟁취했다는 역사…
    #독도 #울릉도 #리앙쿠르 #‘다케시마’ #석도 #Dokdo #Ulleungdo #Liancourt_Rocks #Takeshima #Seokdo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한국지리풍속지DB
    |
    학위논문
    초등학생들의 독도에 대한 기본 지식과 인식
    육현경
    201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우리나라의 영토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독도에 대한 기초 지식과 독도에 대한 기초 인식을 살펴보았다. 독도에 관한 지리적 지식은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학년이 높아갈수록 독도의 지리적 지식에 대한 정답율이 증가하는…
    #독도 #지리적_지식 #역사적_지식 #기초_인식_Tokdo #geographical_knowledge #historical_knowledge #basic_cognition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한국지리풍속지DB
    |
    학위논문
    한국 중학교 『역사』 교과서의 독도 서술 경향과 과제
    한철호
    2012
    영토해양연구
    독도는 역사적ㆍ지리적ㆍ국제법적으로 명백히 우리 고유영토임에도, 일본은 독도 문제를 국제분쟁화로 유도할 뿐 아니라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독도를 자국령으로 서술토록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독도가 우리의 고유영토임과 일본의 그릇된 주장을 올바로 교육하는 일이 …
    #독도 #울릉도 #중학교_『역사』_교과서 #역사_교육 #2009년_개정교육과정 #Dokdo #Ulleungdo #Junior_high_school_History_Textbooks #History_education #2009_Revised_Curriculum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한국지리풍속지DB
    |
    학위논문
    일본 시마네현의 초중등학교 사회과에서의 독도에 대한 지역학습의 경향
    심정보
    2011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일본 시마네현은 2005년 3월 ``독도의 날``을 제정한 이래, 매년 2월 22일에는 정치인 등이 참석한 가운데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기념 행사를 실시해 왔다. 일본은 독도영유권 주장과 관련하여 독도를 일본의 초중고 사회과 교과서와 지도에 자국의 영토로 …
    #일본 #시마네현 #오키제도 #사회과 #지리 #독도 #지역학습 #Japan #Shimane_Prefecture #Oki_Islands #social_studies #geography #Dokdo #regional_studies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한국지리풍속지DB
    |
    학위논문
    패전 후 일본학계의 독도문제 대응(1945~1954)
    이형식
    2011
    영토해양연구
    본 논문은 1952년 1월 대한민국 정부가 “인접해양에의 주권에 관한 대통령 선언”(평화선 선언)을 발표하자 독도를 둘러싸고 한·일 양국이 대립하는 가운데, 일본의 국제법학자와 역사·지리학자가 어떻게 독도문제에 관여하였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일본정부는 ‘…
    #다케시마 #독도 #다가와_고조 #다카노_료이치 #미나가와_다케시 #나카무라_에이코 #takeshima #dokdo #tagawa_kojo #takanoyuichi #minagawa_takesi #nakamura_eiko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한국지리풍속지DB
    |
    학위논문
    동해와 독도 지명의 효과적인 해외 홍보를 위한 기초 연구
    최종남
    2011
    영토해양연구
    이 연구는 2010년과 2011년에 개최된 미국 내 지리학 대회에 참석한 미국 지리교육자의 동해와 독도에 대한 인식 관련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파악하였다. 설문 내용은 한국 방문 경험과 한국 관련 교육 프로그램 참가 경험, 한국 관련 수업 경험, 영토 관련 쟁점…
    #미국_지리교육자 #인식 #영토_쟁점 #동해 #독도 #American_Geography_Educator #Perception #Territorial_Issue #East_Sea #Dokdo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한국지리풍속지DB
    |
    학위논문
    근대기 조선 지리지에 보이는 일본의 울릉도·독도 인식
    유미림
    2011
    영토해양연구
    일본에 의한 조선 지리지 편찬은 일본의 팽창정책과 식민지 개척의 일환으로 활발해졌는데 그 가운데 울릉도와 독도는 일본이 에도시대부터 관심을 기울여와 한때 조선과 분쟁을 겪기도 했던 지역이다. 그런데 이들 지역에 관한 일본의 기술이 조선 지리지와 일본 지리지, …
    #지리지 #울릉도 #독도 #다케시마 #마쓰시마 #양코_도 #죽서 #Topography #Matsushima #Takeshima #Liancourt_rocks #Jukseo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한국지리풍속지DB
    |
    학위논문
    연구논문(硏究論文) : 독도영유권의 역사적 문헌에 대한 선행연구의 검토 -조선전기 이전까지를 중심으로-
    최홍배
    2010
    韓國海法學會誌
    한국 정부는 독도를 신라가 우산국을 정복한 AD. 512년부터 독도를 인지하고 있었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이것은 1454년 세종실록지리지 등 역사적 문헌이 증명하고 있다. 즉, 신라가 512년 현재의 울릉도에 있던 우산국을 복속시켰으며 이때 독도도 함께 복속되…
    #삼국사기 #독도 #울릉도 #우산도 #세종실록지리지 #Samguksagi #Dokdo #Ulleungdo #Usando #Sejongsilokjiriji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한국지리풍속지DB
    |
    학위논문
    독도에 대한 연구 성과와 과제
    황상일
    2008
    地理學論究
    It investigates study which relates with Dokdo from the this paper. It grasps a hereafter subject. Dokdo connection datas that is published until present collect basic data using library, paper Retrieval Service and literatur…
    #독도 #인문·사회과학 #자연과학 #유형별_연구_동향 #시기별_연구_동향 #Human·Social_science #Natural_science #Timely_by_research_trend #Data_type_by_research_trend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First PagePreview Page12Next PageLast Page총 12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