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태우2017독도연구이 논문의 목적은 근세 일본의 사료에 나타난 울릉도 · 독도에 대한 지리적 인식을 중심으로 그들이 말하는 다케시마(울릉도)와 마쓰시마(독도, 우산도, 자산도)가 한국의 영유임을 재확인해보는 것이다. 일본이 17세기 고유영토설의 근거 사료로 삼고 있는 『죽도기사…
-
김영수2016東北亞歷史論叢일본은 제국주의적 영토침탈의 한 도구에 지나지 않았던 소위 ‘시마네현 고시 제40호’ 등을 통해서 자기소모적 논쟁을 계속하고 있다. 2005년 3월 시마네현의회의 ‘죽도의 날’ 조례 제정으로 표면화된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은 대한민국이 독립을 쟁취했다는 역사…
-
한철호2012영토해양연구독도는 역사적ㆍ지리적ㆍ국제법적으로 명백히 우리 고유영토임에도, 일본은 독도 문제를 국제분쟁화로 유도할 뿐 아니라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독도를 자국령으로 서술토록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독도가 우리의 고유영토임과 일본의 그릇된 주장을 올바로 교육하는 일이 …
-
심정보2011한국지역지리학회지일본 시마네현은 2005년 3월 ``독도의 날``을 제정한 이래, 매년 2월 22일에는 정치인 등이 참석한 가운데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기념 행사를 실시해 왔다. 일본은 독도영유권 주장과 관련하여 독도를 일본의 초중고 사회과 교과서와 지도에 자국의 영토로 …
-
최종남2011영토해양연구이 연구는 2010년과 2011년에 개최된 미국 내 지리학 대회에 참석한 미국 지리교육자의 동해와 독도에 대한 인식 관련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파악하였다. 설문 내용은 한국 방문 경험과 한국 관련 교육 프로그램 참가 경험, 한국 관련 수업 경험, 영토 관련 쟁점…
-
최홍배2010韓國海法學會誌한국 정부는 독도를 신라가 우산국을 정복한 AD. 512년부터 독도를 인지하고 있었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이것은 1454년 세종실록지리지 등 역사적 문헌이 증명하고 있다. 즉, 신라가 512년 현재의 울릉도에 있던 우산국을 복속시켰으며 이때 독도도 함께 복속되…
-
김종연2008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지리교육 분야에서 우리 영토의 교육은 그 중요성에 비하여 간과되어온 측면이 크다. 독도와 동해와 관련한 국제적인 논쟁이 발생할 경우 영토교육의 강화가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어 왔으나, 이에 대응하는 학교교육을 위한 교육 자료 제공 등은 역사적 자료에 치중되어 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