雪汀集 List

雪汀集
설정집
雪汀集
雪汀集
|
|
李忔
이흘
|
|
1820 | |
|
Biblographical notes and introductory
조선 시대 설정(雪汀) 이흘(李忔, 1568~1630)의 문집이다. 본집은 6대손 이환(李鍰) 등이 가장초고를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하여 1820년 청주(淸州) 신항서원(莘巷書院)에서 활자(活字)로 인행하였다. 본집은 6권 3책으로, 권수에 송치규(宋穉圭)가 1820년에 지은 서(序)가 있으며, 각 권마다 목록이 실려 있다. 권1~3은 부(賦) 1편 외에 다양한 시체의 시인데 대부분 금강산을 유람할 때와 진하시로 사신갈 때에 지은 것이 많으며 춘첩자(宋穉圭)와 월과(月課)로 지은 시 및 김상헌(金尙憲), 정운호(鄭雲湖), 성여학(成汝學), 윤안국(尹安國) 등 지인들과 주고받은 시, 만시(挽詩)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4는 봉사(封事), 서(書), 행장(行狀), 서(序), 잡저(雜著)이다. 특히 봉사의 〈무신진폐소(戊申陳弊疏)〉는 백천 군수로 있을 때 공정하게 부세(貢法)를 내도록 공법(貢法) 개정을 청한 것이다. 권5는 전(箋)과 제문이며 권6은 부록으로 칙서, 조천행적, 유첩, 제문, 비망기와 행장 등이다. 권말에 6대손 이환(李鍰), 이석(李錫), 이황(李鎤)이 1820년에 지은 발(跋)이 있으며, 끝 부분에 간기(刊記)가 있다.
View Biblographical Notes
-
○ 本集은 雪汀 李忔(1568:宣祖1 ~ 1630:仁祖8)의 文集이다.
○ 本集은 著者의 6代孫 鍰 등이 家藏草稿를 바탕으로 蒐集ㆍ編次하여 1820年 淸州 莘巷書院에서 活字로 印行한 初刊本이다.
○ 分量은 6卷 3冊으로 總 226板이다.
○ 本 影印底本은 國史編纂委員會藏本(圖書番號:中D3B-217)으로서 半葉은 10行 20字이고 半郭의 크기는 22.6×15.6(cm)이다.
○ 本 影印底本은 卷1의 第4板은 板次가「5」로, 卷2의 第3板은 板次가 「4」로, 卷3目錄의 第1~4板은 卷次가 「2」로, 卷4의 第1ㆍ3ㆍ5ㆍ7ㆍ9板은 卷次가 「3」으로, 卷6의 第39板과 第40板은 板次가 각각 「37」과 「34」로 誤記되어 있으며, 卷6의 第23板은 重複되어 結册되어 있다.
○ 本集의 標點者는 梁鴻烈이고 監修者는 趙昌來이다.
한국문집총간 DB에서 사용된 부호는 다음과 같다.
。 :문장 안에서 구(句)나 절(節)의 구분이 필요한 곳과 문장의 끝에 사용하였다.
묘도문이나 부(賦), 사(辭) 등에서 銘曰, 辭曰 등의 뒤에 사용하였다.
대구(對句), 연구(聯句) 등 운문의 각 구마다 원주로 저자를 표시한 경우, 각 구의 끝뿐 아니라 원주 뒤에도 사용하였다.
, :인명, 지명, 관직명, 서명 등이 나열되어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에 없는 제목이나 본문 내용을 생성하였을 때 사용하였다.
글의 저자가 문집의 저자와 다른 경우, 제목 옆에 저자를 밝히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저본에서 작은 글씨로 구분된 按, 增 등의 글자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제목이나 원주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의 성격이 달라져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의 결자(缺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어떤 글자인지 알아볼 수 없는 마멸자(磨滅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저본의 묵등(墨等 검게 칠해진 부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밑줄 :교감주, 난외주 등 원주를 제외한 주석의 대상이 되는 표제어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그림 :도식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도’로 표시하고, 소자(小字)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회화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화’로 표시하고 소자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Related anthoglogies
Anthology name | Author | Published year | Age of writing | DB |
---|---|---|---|---|
설정집(雪汀集) | 이흘(李忔) | 1820 | 조선시대 중기 |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
풍서집(豐墅集) | 이민보(李敏輔) | - | 조선시대 후기 |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
연석(燕石) | 유언호(兪彥鎬) | - | 조선시대 후기 |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
강한집(江漢集) | 황경원(黃景源) | 1790 | 조선시대 후기 |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
송자대전(宋子大全) | 송시열(宋時烈) | 1901 | 조선시대 후기 |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
강재집(剛齋集) | 송치규(宋穉圭) | 1865 | 조선시대 후기 |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
Article
Please double click if you need to see Image or Text.
|
Filter articles by literary styl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