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權聖矩, 1890, 鳩巢集
    조선 시대 구소(鳩巢) 권성구(權聖矩, 1642~1708)의 문집이다. 본집은 방후손 택수(宅銖)가 가장초고를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한 고본을 택수의 윤자 제설(濟說) 등이 1890년대에 활자로 인행한 초간본이다. 본집은 4권 2책으로 되어 있다. 권수에는 권연하(權璉夏)의 서문과 목록이 수록되어 있다. 권1~3의 전반까지…

  • 韓百謙, 1640, 久菴遺稿
    한국문집총간 제59집 본 문집의 저본은 아들 흥일(興一)이 수집, 편차하여 1640년 이식(李植)의 교정을 거쳐 간행한 초간본(初刊本)으로, 2권 1책(84판)의 목판본(木板本)이다.

  • 李樹仁, 1860, 懼庵集
    조선 시대 구암(懼庵) 이수인(李樹仁, 1739~1822)의 문집이다. 본집은 아들 효영(孝永)과 족질 관영(觀永)이 가장초고를 바탕으로 수습 정리하여 이정기(李鼎基)에게 유사를 받고, 이정엄(李鼎儼)에게 묘지명을, 유태좌(柳台佐)에게는 묘갈명을 받아 1860년에 9권 5책을 목판으로 간행한 것이다. 본집은 9권 5책으…

  • 李元培, 1820, 龜巖集
    조선 시대 구암(龜巖) 이원배(李元培, 1745~1802)의 문집이다. 본집은 저자의 문인 현익수(玄翊洙)와 족형 이영배(李永培)의 아들 순(恂)이 유문을 수집 편차하여 이조 판서 김이교(金履喬), 홍직필(洪直弼) 등 재경 인사들의 도움을 받고, 교서관에서 운각인서체자(芸閣印書體字)로 인쇄하는 도중에 어렵사리 오희상(吳…

  • 李楨, 1902, 龜巖集
    한국문집총간 제33집 본 문집의 저본은 후손 태환(泰煥) 등이 1902년 원집ㆍ속집에 별집을 합부(合附)하여 간행한 삼간본으로, 원집 2권, 속집 2권, 별집 2권 합 3책(256판)의 목판본이다.

  • 金就文, 1791, 久庵集
    조선 시대 구암(久庵) 김취문(金就文, 1509~1570)의 문집이다. 본집은 7대손 김몽의(金夢儀)가 유문을 수집 편차하였으나 간행하지 못하고 죽자, 아우 김몽화(金夢華)가 형의 뜻을 이어 문집을 간행하려고 1789년에 정범조(丁範祖)에게 서문을 받았다. 이어 7대손 김태화(金太和)가 저자의 문집에 형 김취성(金就成)…

  • 曺克承, 1898, 龜厓集
    조선 시대 구애(龜厓) 조극승(曺克承, 1803~1877)의 문집이다. 저자의 시문은 아들 병수(秉秀)가 편집하여 3책으로 정리한 뒤, 김도화(金道和)에게 서문을 부탁하고, 김흥락(金興洛)에게는 문집의 교정과 발문을 부탁하였으며, 장승원(張升遠)에게도 발문을 받아 1898년에 목판으로 간행하였다. 본집은 8권 3책으로 …

  • 金㙆, 1846, 龜窩集
    조선 시대 구와(龜窩) 김굉(金㙆, 1739~1816)의 문집이다. 손자 약수(若洙)가 가장(家狀)되어 있던 유집(遺集) 30여 권을 정리하여 이병원(李秉遠)에게 고교(考校)를 받고 다시 유치명(柳致明)의 산정(刪定)을 거쳐 14권으로 엮은 뒤 수년의 노력 끝에 1846년 목판(木板)으로 간행하였다. 원집(原集)은 14…

  • 李春元, 1656, 九畹集
    한국문집총간 제79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아들 초노(楚老)가 수집ㆍ편차하여 1656년 초간한 뒤, 보유가 추각된 것이다. 원집 4권ㆍ부록ㆍ보유 합 2책(148판)의 목판본이다.

  • 金中淸, 1831, 苟全集
    조선 시대 구전(苟全) 김중청(金中淸, 1566~1629)의 문집이다. 본집은 저자의 문인 남형회(南亨會)와 손자 김양렬(金楊烈)이 가장초고를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한 고본을, 외현손 이광정(李光庭)이 1744년에 저자의 현손 김이명(金爾銘)과 5대손 김태운(金泰運)과 함께 감정ㆍ재편한 후, 후손 김영택(金榮宅) 등이 김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