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楺, 간행년도 미상, 儉齋集
Age of writing
孫肇瑞, 1479, 格齋集
Age of writing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아들 윤한(胤韓)이 1479년에 간행한 초간본의 잔권(殘卷)을 바탕으로 후손 태진(泰振)ㆍ상열(相烈) 등이 수집ㆍ편차하여 1831년에 간행한 중간본(重刊本)이다.
兪肅基, 1775, 兼山集
Age of writing
柳雲龍, 1742, 謙菴集
Age of writing
본 문집의 저본은 증손(曾孫) 세철(世哲)이 수집, 편차한 정고본(定稿本)을 후손 영(泳)이 1742년 초간한 뒤, 1803년 9대손 종목(宗睦) 등이 증보, 재편하여 간행한 중간본(重刊本)으로, 6권, 부록 2권 합4책(233판)의 목판본이다. 부록에 연보(年譜)가 실려 있다.
河弘度, 1746, 謙齋集
Age of writing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증손 대관(大觀)이 수집ㆍ편찬하고 김성탁(金聖鐸)의 교정을 거쳐 1758년경 인행한 초간본이다. 별집은 사우문도록(師友門徒錄)이고, 원집 권1 ~ 2는 시(詩), 권3 ~ 10은 문(文), 권11 ~ 12는 부록이다. 별집ㆍ원집 12권 합 6책(421판)의 활자본이다.
趙泰億, 간행년도 미상, 謙齋集
Age of writing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수고본(手稿本)을 전사한 45권 20책(1,518판)의 필사본이다. 권1은 부, 권2~22는 시, 권23~45는 문이다.
張興孝, 1818, 敬堂集
Age of writing
본 문집의 저본은, 원집은 저자의 외손(外孫) 이휘일(李徽逸)이 수집ㆍ편차하고 1693년 현일(玄逸)이 간행한 것이고, 속집은 후손 세규(世奎) 등이 수집ㆍ편차하여 1818년경 간행한 뒤 1861년 약간의 부록을 추각(追刻)하고 또 1908년 부록 약간을 추각(追刻)한 것이다. 원집과 속집에 각각 부록이 첨부되어 있으며…
卓光茂, 1850, 景濂亭集
Age of writing
본 문집의 저본은 후손 鼎運 등이 1827년 여러 전적에서 집일하여 光山卓氏世稿로 간행한 것을 후손 雲翰이 附集을 합편하여 1850년 다시 간행한 것이다. 여기서는 附集을 제외하였다.
鄭元容, 1895, 經山集
Age of writing
申緯, 간행년도 미상, 警修堂全藁
Age of wri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