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高晦, 1862, 觀瀾齋遺稿
    조선 시대 관란재(觀瀾齋) 고회(高晦, 1636~1711)의 문집이다. 본집은 저자의 5대손 명린(命麟) 등이 가장초고(家藏草稿)를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하여 1862년 활자(活字)로 인행한 초간본(初刊本)이다. 본집은 8권 2책으로 되어 있으며, 시고(詩稿) 없이 문고(文稿)로만 이루어져 있다. 권두(卷頭)에 1862년에…

  • 金崇謙, 1709, 觀復菴詩稿
    한국문집총간 제202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붕우들이 유시(遺詩)를 수집하고 숙부 김창흡(金昌翕)이 산정한 것을 1709년에 인행한 초간본으로, 불분권 1책(1025판)의 활자본이다. 권두에 서(序), 부록에 묘표(墓表)가 실려 있다.

  • 金構, 간행년도 미상, 觀復齋遺稿
    조선 시대 관복재(觀復齋) 김구(金構, 1649~1704)의 문집이다. 본집은 필사 연도 미상의 괘인사본으로, 1780년 이전에 필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본집은 원집 9권, 습유 합 6책으로 되어 있다. 권1은 시(詩)가 시체 구분 없이 실려 있는데 칠언 절구가 주류를 이루며, 차운시와 연작시인 〈노장(老將)〉, 〈노병…

  • 玄尙璧, 간행년도 미상, 冠峯遺稿
    한국문집총간 제191집 본 문집의 저본은 조선 후기에 인행한 초간본으로, 10권 5책(359판)의 활자본이다. 권1은 시, 권2~10은 문이다.

  • 洪啓英, 1721, 觀水齋遺稿
    조선 시대 관수재(觀水齋) 홍계영(洪啓英, 1687~1705)의 문집이다. 본집은 부친 우채(禹采)가 가장초고(家藏草稿)를 바탕으로 수집(蒐集)하여 홍세태(洪世泰)의 산정ㆍ편차를 받아 1721년경 목판(木板)으로 간행한 초간본(初刊本)이다. 본집은 2권 1책으로 되어 있다. 권두에 홍세태, 조유수(趙裕壽)의 서(序)와 …

  • 趙榮祏, 간행년도 미상, 觀我齋稿
    조선 시대 관아재(觀我齋) 조영석(趙榮祏, 1686~1761)의 문집이다. 본집은 저자가 자신의 시문(詩文)을 편차하여 수서(手書)한 자편차(自編次) 수고본(手稿本)이다. 본집은 4권 2책으로 되어 있다. 권1은 신임사화(辛壬士禍)에 연루된 이희조(李喜朝)의 신원을 청하는 소(疏) 1편과 시(詩)이다. 시(詩) 가운데 …

  • 洪敬謨, 간행년도 미상, 冠巖全書
    조선 시대 관암(冠巖) 홍경모(洪敬謨, 1774~1851)의 문집이다. 《관암전서》는 시문 중 상당수를 가려 뽑은 것으로, 저자가 자신의 시문을 종합하려는 의도에서 자편한 것으로 보인다. 《관암전서》의 체재는 저자가 개편한 《총사》와도 상이하고, 저자의 저술 내에는 편찬에 대한 언급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미루어 저자 7…

  • 李匡德, 간행년도 미상, 冠陽集
    한국문집총간 제209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전사경위가 불분명한 19권 4책(377판)의 사본이다. 권1~2는 시, 권3~19는 문이다.

  • 魚得江, 1617, 灌圃詩集
    조선 시대 관포당(灌圃堂) 어득강(魚得江, 1470~1550)의 문집이다. 본집은 경상도 관찰사 오겸(吳謙)이 저자의 외손에게서 유고를 얻어 1558년 이황(李滉)의 발(跋)을 붙여 곤양(昆陽)에서 목판으로 초간한 후, 목판이 소실되자 저자의 외손 하진보(河晉寶)가 1580년경 밀양에서 목판으로 중간(重刊)하고, 임진왜…

  • 朴弘美, 1846, 灌圃集
    조선 시대 관포(灌圃) 박홍미(朴弘美, 1571~1642)의 문집이다. 본집은 6대손 박치영(朴致榮)이 수집ㆍ편차한 고본을 치영의 아들 동규(東奎)가 이양연(李亮淵)의 산정을 거쳐 저자의 종제 홍중(弘中)의 《추산집(秋山集)》과 함께 1846년 경상도(慶尙道) 구산현(龜山縣)에서 활자(活字)로 인행한 초간본(初刊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