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穀, 1662, 稼亭集
Age of writing
Koryŏ
한국문집총간 제3집
본 문집의 저본은 아들 穡이 편차하고 女婿 朴尙衷이 초간한 뒤 몇차례 간행된 것을 바탕으로 1658년 후손 泰淵이 간행한 것이다. 저자의 시문은 文의 비중이 크고, 부록으로 稼亭雜錄이 첨부되어 있다.
李彦迪, 1565, 晦齋集
Age of writing
한국문집총간 제24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아들 전인(全仁)이 수집하여 원집과 습유로 편차하고 1565년경 이황(李滉)이 교정한 정고본을 손자 준(浚)이 1574년 경주에서 원집을 간행한 후, 1600년 유습을 별집으로 편차ㆍ중간하고 1624년 별집을 원집의 권차에 포함시켜 옥산서원(玉山書院)에서 삼간한 것을 163…
申欽, 1629, 象村稿
Age of writing
한국문집총간 제71~72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자편고(自編稿)를 바탕으로 자 익성(翊聖)이 수집ㆍ교정하여 1629년경 간행한 초간본으로, 연보ㆍ원집 60권ㆍ부록 합 20책(1,399판)의 활자본이다.
許傳, 1903, 性齋集
Age of writing
한국문집총간 제308~309집
李睟光, 1633, 芝峯集
Age of writing
한국문집총간 제66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자편고(自編稿)를 바탕으로 아들 성구(聖求) 등이 수집, 편차하여 1633년 간행한 초간본으로, 원집 31권 부록 3권 합 11책(664판)의 목판본이다.
金昌協, 1928, 農巖集
Age of writing
한국문집총간 제161~162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문인 김시좌(金時佐) 등이 수집, 편차하여 1709년에 초간한 원집에, 1710년에 약간의 문(文)을 증산(增刪), 재편(再編)하여 중간한 후 1754년에 조돈(趙暾)이 연보 등을 추각하고 완결(刓缺)된 부분을 보각한 후쇄본(後刷本)의 부록(권35~36)과 5대손 …
洪侃, 1688, 洪崖遺槀
Age of writing
Koryŏ
한국문집총간 제2집
본 문집의 저본은 후손 霶이 동문선ㆍ淸邱風雅 등에서 집일하여 1629년 초간한 것을 1688년 후손 萬朝가 다시 정리하여 간행한 重刊本이다. 저자의 詩와 부록ㆍ世系가 실려 있다.
洪直弼, 1866, 梅山集
Age of writing
한국문집총간 제295~296집
申叔舟, 1645, 保閑齋集
Age of writing
한국문집총간 제10집
본 문집의 저본은 成宗의 命에 따라 저자의 종자(從子) 종호(從濩)가 편집하여 1487년에 간행된 갑진자본(甲辰字本)을 7대손 속(洬)이 영천(榮川)에서 1645년에 추보ㆍ번각한 重刊本이다.
李德懋, 간행년도 미상, 靑莊館全書
Age of writing
한국문집총간 제257~259집
저본은 1796년 정조의 명으로 아정유고(雅亭遺稿)가 활자로 인행된 후, 저자의 자 광규(光葵)가 전고(全稿)를 재편하고 이원수(李畹秀)가 교정하여 1809년경 등사한 것을 조본(祖本)으로 하여 20세기 전기에 전사된 사본임. 권1~2는 영처시고(嬰處詩稿), 권3~4는 영처문고(嬰處文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