鄭經世, 1657, 愚伏集
Age of writing
한국문집총간 제68집
본 문집의 저본은, 원집은 저자의 후손 및 문도들이 편차하여 1657년 초간한 것이고, 별집은 후손 하묵(夏黙)이 증보ㆍ재편하여 1899년에 간행한 중간본이다. 원집 20권ㆍ별집 12권 합 16책(1,213판)의 목판본이다.
梁誠之, 1791, 訥齋集
Age of writing
한국문집총간 제9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정조(正祖)가 서영보(徐榮輔) 등에게 명하여 수집, 1791년에 간행한 初刊本이다.
李耔, 1754, 陰崖集
Age of writing
한국문집총간 제21집
본 문집의 저본은 6대손 도흥(道興)이 가장 초고를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하여 종후손 이장(彝章)이 1754년 간행한 초간본이다.
宋浚吉, 1687, 同春堂集
Age of writing
한국문집총간 제106~107집
본 문집은 1682년 숙종의 명에 따라 자손과 문인이 수집ㆍ편차하고 송시열(宋時烈)이 교열(校閱)하여 숙종의 을람(乙覽)을 거친 후, 1687년경 교서관(校書館)에서 목판으로 간행한 초간본이다. 원집 24권, 별집 9권 합 18책(1,417판)이다.
金尙憲, 1654, 淸陰集
Age of writing
한국문집총간 제77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자편고(自編稿)를 바탕으로 손자 수증(壽增) 등이 약간편을 증보하여 1654년경 간행한 초간본으로 부록은 없다. 40권 16책(1,191판)의 목판본이다.
李廷龜, 1636, 月沙集
Age of writing
한국문집총간 제69~70집
본 문집의 저본은, 원집은 저자의 자편고(自編稿)를 1636년에 문인 최유해(崔有海)가 초간한 뒤, 손자 익상(翊相) 등이 교정ㆍ재편하고 부록을 추가하여 1688년 중간한 것이고, 별집은 증손 희조(喜朝) 등이 1720년 추각한 것이다. 표전(表箋)ㆍ책문(冊文) 등 관각 문자와 연행록(燕行錄…
李學逵, 간행년도 미상, 洛下生集
Age of writing
한국문집총간 제290집
成俔, 1841, 虛白堂集
Age of writing
한국문집총간 제14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아들 세창(世昌)이 편집, 중종ㆍ선조년간에 간행된 初刊本의 전사본(傳寫本)을 후손 재숭(載崇)이 교정하고 재항(載恒) 등이 1841년 나주(羅州)에서 간행한 중간본이다.
鄭宗魯, 1835, 立齋集
Age of writing
한국문집총간 제253집~제254집
저본은 저자의 자 상진(象晉)·상관(象觀) 등이 가장초고(家藏草稿)를 바탕으로 수집한 것을 질(姪) 상리(象履)가 문인 유심춘(柳尋春)·이승배(李升培)등과 편차·교정하여 1835년 상주(尙州)에서 목판으로 초간한 원집에, 1910년 후손들이 목판으로 간행한 별집을 합부한 것임. 원집 권…
權橃, 1671, 冲齋集
Age of writing
한국문집총간 제19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종손 목(霂)ㆍ유(濡) 등이 수집ㆍ편차하고 연보와 부록을 합하여 1671년에 초간한 뒤, 습유ㆍ일기ㆍ조천록(朝天錄)이 추가된 본을 후손 권빈 등이 이광정(李光庭)과 함께 교정ㆍ재편하여 1752년에 간행한 삼간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