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근대시기의 공교육과 사교육 = Public education, Private education and Re-education of civil ministers during the pre-modern period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2242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전근대시기의 교육을 공교육과 사교육, 그리고 문신의 재교육이란 세 분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공교육 기관의 성균관․사부학당․향교, 사교육 기관의 서원서당, 그리고 재...

      본고는 전근대시기의 교육을 공교육과 사교육, 그리고 문신의 재교육이란 세 분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공교육 기관의 성균관․사부학당․향교, 사교육 기관의 서원서당, 그리고 재교육 제도인 초계문신 제도는 학규를 정하여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설정하였다. 전근대시기의 교육은 학습자들이 관직을 얻어 치국위민(治國爲民)의 이념을 실천하도록 하는데 궁극의 목표를 두었다. 따라서 각 교육기관과 교육제도는 그 학규에 잘 나타나 있듯이, 봉건사회를 유지할 지도적 인간형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인성 교육을 시켰다는 점에서는 충분한 의의가 있다. 또한 반복 교육과 송(誦)을 통해 기초 지식을 축적시킨 점, 강(講)을 통해 피교육자의 창의적 사고를 촉발한 점도 교육 방법으로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
      하지만 각급 교육기관과 제도의 학규가 교육 현장에서 체계적으로 적용되었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또한 조선시대의 경우, 그 교육 내용은 주자학에 제한되었으며, 과거에 대비하거나 국가의 문치주의를 장식하는 시문의 양식을 연마하는 제술(製述)에 상당한 비중을 두었다. 진리 자체를 객관적으로 탐색하는 학문방법은 확립되어 있지 않았으며, 자연과학의 지식을 교양교육의 내용으로 삼지도 않았던 것이다.
      그런데 전근대시기에 있어서 피교육자로 하여금 진정으로 올바른 인성을 형성하게 하고 진취적 지식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촉발한 교육은 실은 가학과 입문에 의존하는 바가 컸다. 앞으로 가학과 입문의 양태에 대하여 더욱 고찰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ree areas of public education, private education and re-education of civil ministers during the pre-modern period in Korea. For Sunggyungwan, Sabu Hakdang, and Hyanggyo as public educational institutions, Sowon and Sodang as priv...

      This study examines three areas of public education, private education and re-education of civil ministers during the pre-modern period in Korea. For Sunggyungwan, Sabu Hakdang, and Hyanggyo as public educational institutions, Sowon and Sodang as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Chogye Munsin system as the re-education program, educational principles were established to conduct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s. The ultimate goal of education during the pre-modern period was for learners to realize the ideology of ‘governing the country for the people’ by taking up government posts. As well specified in the educational principles, thes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ystems taught people to develop the humanity required to form leadership for maintaining the feudal society. Such teaching methods as educating by repetition and recitation lecture used to accumulate basic knowledge, and lecturing to foster creative thinking from learners were very important during this period.
      Educational principle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ystems at every level, however, were not necessarily applied to the actual field of education in systematic ways. In Chosun Dynasty, the content of education was limited to Neo-confucianism and a considerable emphasis was given to preparing for the ‘Kwago’ or practising how to write proses and poems for adorning the ideology of civilian government. The method of pursuing objectively the truth was not well established yet, and knowledge of natural science was not even included in the general education course.
      Education during the pre-modern period was largely dependent upon home-schooling and introductory education to teach learners to form a respectable character and build up progressive knowledge system. Further research on home-schooling and introductory education is very much need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공교육 기관:성균관, 사부학당, 향교
      • 1) 성균관
      • 목차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공교육 기관:성균관, 사부학당, 향교
      • 1) 성균관
      • 2) 사부학당
      • 3) 향교
      • 3. 사교육 기관과 사교육의 여러 형태:서원·서당과 가학·입문
      • 1) 서원
      • 2) 서당
      • 3) 가학
      • 4) 입문
      • 4. 문신의 재교육
      • 1) 사가독서
      • 2) 초계문신 제도
      • 5. 맺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