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함경도 서사무가 <도랑선배‧청정각시>에 나타난 희생의 성격과 제의적 의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995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함경도 망묵굿의 무속신화인 <도랑선배‧청정각시>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청정각시가 감내하는 고난의 의미를 희생제의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마지막 에 죽음을 맞이하는 ...

      본고에서는 함경도 망묵굿의 무속신화인 <도랑선배‧청정각시>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청정각시가 감내하는 고난의 의미를 희생제의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마지막 에 죽음을 맞이하는 청정각시의 모습을 통해 <도랑선배‧청정각시>의 제의적 의미 를 구명하고자 했다. 청정각시의 고난은 불교적 외피를 입고 있다. 그런데 청정각시의 불교적 행위는 희생제의를 내면화 한 것으로, 결국 청정각시의 고난은 인간과 신 그리고 聖과 俗 이라는 이분법적인 세계를 연결하는 공희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청정각시가 죽은 도랑선비를 만날 수 있는 방법은 이승과 저승 또는 지상계와 천상계의 매개 공간으로 자리 잡은 안헤산 금상절과 같은 곳에서 제시되며, 청정각시에게 부여되는 고난 은 저승으로 나아가는 제의적 행위로 읽어낼 수 있다. 문제는 청정각시가 모진 정성을 들여도 찰나의 만남만 가능하다는 것이다. 죽음 을 통해서만 도랑선비와의 온전한 만남이 가능하다는 설정은 저승 자체가 이승의 생자가 접근 불가능한 공간임을 명시한다. 길을 닦음으로써 ‘이승/저승’의 체제가 만들어졌다고 해서 그 안에서 자유로운 왕래가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저승은 이 승에서 분리됨으로써 편입되는 특수한 예외공간이며, <도랑선배‧청정각시>는 망 자의 저승길을 닦아주는 첫 번째 무가로서 이승과 저승의 관계를 定礎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도랑선배‧청정각시>가 생자에게 던져주는 의미는 적어도 망묵굿이라는 제의 적 공간 안에서 저승이라는 공간을 경험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저승에 머물고 있 는 망자를 일시적으로나마 만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최초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일 것이다. 선간길 외에도 아직 닦아야 할 저승길이 많이 남아있기에 남은 시간 동안 다양한 방식으로 생자는 망자와 관계를 맺으며 서서히 죽음을 받아들일 수 있다. <도랑선배‧청정각시>는 그렇게 굿판에 참여한 생자에게 최초로 위로와 위안의 손길을 내밀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function of Cheongjeong-gaksi’s self-sacrifice with the perspective of Buddhism and to figure out the ritual meaning of “Dorang-seonbi‧Cheongjeong-gaksi”. “Dorang-seonbi‧Cheongjeong-gaksi” i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function of Cheongjeong-gaksi’s self-sacrifice with the perspective of Buddhism and to figure out the ritual meaning of “Dorang-seonbi‧Cheongjeong-gaksi”. “Dorang-seonbi‧Cheongjeong-gaksi” is one of the shaman songs in Mangmuk-gut of Hamgyeong-do province. Mangmuk-gut of Hamgyeong-do province consists of several ritual sequences. From the sequence that “Dorang-seonbi‧Cheongjeong-gaksi” is sung the ritual for dead man is started in earnest so “Dorang-seonbi-Cheongjeong-gaksi” is the first song for the dead. In “Dorang-seonbi‧Cheongjeong-gaksi”, Dorang-seonbi is suddenly dead and Cheongjeong-gaksi sacrificed herself to meet Dorang-seonbi again. The sacrifice looks like a Buddhism behavior and this is originated from the Veda’s ritual form of sacrifice. Therefore, sacrifice of Chenongjeong-gaksi means the ritual behavior to across the line between life and death. Cheongjeong-gaksi finally kills herself to meet Dorang-seonbi. The only way to meet the dead man Dorang-seonbi is going to the part of death after all. It shows Cheongjeong-gaksi sacrifices herself instead of living people who are participants of Mangmuk-gut of Hamgyeong-do province. Cheongjeong-gaksi is the sacrificial offering to make people communicate with the dead man. “Dorang-seonbi‧Cheongjeong-gaksi” establishes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and death. It shows it is impossible to approach the space of death but also retains some possibilities of communication between life and death by the sacrifice of Chenongjeong-gaksi. “Dorang-seonbi‧Cheongjeong-gaksi” offers some explanations how the spaces of living and death consisted and how the living people can communicate with the dead man under the ritual context. After all, living people derive comfort from this ritual because they believe they can meet the dead ma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 국문초록 ]
      • 1. 서론
      • 2. 불교의 외피를 입은 희생제의
      • 3. 결말부를 통해 본 청정각시 죽음의 의미
      • 4. 결론: 위로와 위안
      • [ 국문초록 ]
      • 1. 서론
      • 2. 불교의 외피를 입은 희생제의
      • 3. 결말부를 통해 본 청정각시 죽음의 의미
      • 4. 결론: 위로와 위안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호림, "희생대체의 원리와 <동자삼>의 제의적 성격" 우리문학회 (43) : 159-190, 2014

      2 전경욱, "함경도의 민속" 고려대학교 출판부 1-287, 1999

      3 신호림, "함경도 서사무가 <대감굿>에 나타난 죽음의 두 층위와 제의적 의미" 한국고전연구학회 (44) : 5-29, 2019

      4 김헌선, "함경도 무속서사시 연구-<도랑선배 청정각시노래>를 중심으로" 한국구비문학회 8 : 219-255, 1999

      5 신연우, "함경도 무가 <도랑선비 청정각시>의 원형성과 역사성"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8) : 5-31, 2019

      6 한국문화예술진흥원, "함경도 망묵이 (DVD)"

      7 한상효, "함경도 망묵굿에 나타난 자살의 서사 양상과 의미" 한국구비문학회 (57) : 223-274, 2020

      8 윤준섭, "함경도 망묵굿 서사무가 연구" 서울대학교 2019

      9 임석재, "함경도 망묵굿 -베를 갈라 저승길을 닦아주는 굿- (한국의 굿 』)" 열화당 70-90, 1985

      10 이부영, "한국의 샤머니즘과 분석심리학" 한길사 1-758, 2012

      1 신호림, "희생대체의 원리와 <동자삼>의 제의적 성격" 우리문학회 (43) : 159-190, 2014

      2 전경욱, "함경도의 민속" 고려대학교 출판부 1-287, 1999

      3 신호림, "함경도 서사무가 <대감굿>에 나타난 죽음의 두 층위와 제의적 의미" 한국고전연구학회 (44) : 5-29, 2019

      4 김헌선, "함경도 무속서사시 연구-<도랑선배 청정각시노래>를 중심으로" 한국구비문학회 8 : 219-255, 1999

      5 신연우, "함경도 무가 <도랑선비 청정각시>의 원형성과 역사성"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8) : 5-31, 2019

      6 한국문화예술진흥원, "함경도 망묵이 (DVD)"

      7 한상효, "함경도 망묵굿에 나타난 자살의 서사 양상과 의미" 한국구비문학회 (57) : 223-274, 2020

      8 윤준섭, "함경도 망묵굿 서사무가 연구" 서울대학교 2019

      9 임석재, "함경도 망묵굿 -베를 갈라 저승길을 닦아주는 굿- (한국의 굿 』)" 열화당 70-90, 1985

      10 이부영, "한국의 샤머니즘과 분석심리학" 한길사 1-758, 2012

      11 장주근,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12(함경남‧북도편)"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319, 1981

      12 김태곤, "한국무가집 Ⅲ" 집문당 1-414, 1978

      13 손진태, "조선신가유편" 박이정 1-383, 2012

      14 조현설, "여신의 서사와 주체의 생산"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18 : 219-242, 2001

      15 신동흔, "서사무가 속의 울음에 깃든 공감과 치유의 미학 - 특히 <도랑선비 청정각시>를 중심으로 -" 한국무속학회 (32) : 31-64, 2016

      16 서영숙, "서사무가 <도랑선비 청정각시>와 혼사장애형 민요 비교" 한국고시가문학회 8 : 125-157, 2001

      17 신호림, "산천굿 무가사설의 구성적 특징과 죽음에 대한 인식" 한국무속학회 (28) : 215-246, 2014

      18 최홍순, "북한의 민속기행 5: 함경도의 무속 망묵굿" 북한연구소 169 : 135-140, 1986

      19 박전렬, "북청군지" 북청군지편찬위원회 1-120, 1994

      20 강새미, "무속신화 속 ‘감당할 수 없는 불행’의 맥락과 의미 연구" 건국대학교 2019

      21 김은희, "동해안과 함경도의 망자 천도굿" 한국학연구소 (26) : 81-115, 2007

      22 정제호, "관북지역 <바리공주>의 '죽음'에 대한 고찰" 한국무속학회 (25) : 7-42, 2012

      23 임석재, "관북지방무가" 문화재관리국 1-249, 1965

      24 노영근, "가족탐색 서사연구" 박이정 37-56, 2006

      25 小南一郞, "現代語訳「阿含経典」- 長阿含経 5" 平河出版社 1-356, 2002

      26 신종원, "『삼국유사』 「욱면비염불서승」조에 보이는 역사와 설화"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7 : 90-130, 2009

      27 James A. Benn, "Where Text Meets Flesh: Burning the Body as an Apocryphal Practice in Hinese Buddhism"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7 (37): 295-322, 1998

      28 Henri Hubert, "Sacrifice -Its Nature and Function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165, 1964

      29 F. Max Müller, "Sacred Books of the Buddhists, Vol.2" Ltd 1-334, 1899

      30 Charles D. Orzech, "Curing violence" Polebridge Press 137-160, 1994

      31 James L. Fredericks, "Buddhist-Christian Studies, Vol.18" University of Hawai’i Press 155-168, 1998

      32 윤준섭, "<도랑선비․청정각시>에 나타난 청정각시 죽음의 의미 -희생제의의 전통과 관련하여-" 한국고전문학회 (53) : 233-270, 2018

      33 강지연, "<도랑선비·청정각시>에서 청정각시의 감정을 통해 본 신성의 의미" 한국구비문학회 (59) : 95-120, 2020

      34 한양하, "<도랑선비 청정각시>에 나타난 혼사장애와 시련의 의미" 한국구비문학회 (30) : 67-99, 2010

      35 이은희, "<도랑선비 청정각시>에 나타난 부부서사의 특성과 문학치료적 가치 - 부부서사의 ‘지속’을 위한 청정각시의 과제 수행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치료학회 29 : 105-137, 2013

      36 정제호, "<도랑선비 청정각시>에 나타난 고난의 의미와 제의적 기능"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3 : 65-88, 2017

      37 김선현, "<도랑선비 청정각시>에 나타난 경계 공간의 서사적 함의" 한국구비문학회 (44) : 5-34,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1 1.24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