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돈오점수(頓悟漸修)와 초기불교의 수행 = On Early Buddhist Practice from the viewpoint of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807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눌의 돈오는 해오로서 이지적인 성격을 지닌다. 그러나 그것은 단순히 문자적 이해에서 그치지 않으며 본성에 대한 깨달음 자체를 의미한다. 그러한 돈오란 사실상 증오와 동일한 내용이...

      지눌의 돈오는 해오로서 이지적인 성격을 지닌다. 그러나 그것은 단순히 문자적 이해에서 그치지 않으며 본성에 대한 깨달음 자체를 의미한다. 그러한 돈오란 사실상 증오와 동일한 내용이라고 할 수 있지만 개인적인 성향과 습기가 남아있는 한에서 증오와 구분될 뿐이다. 지눌에게서 돈오와 점수는 논리적으로는 선후의 관계에 놓이지만 시간적으로는 동시적 관계라고 할 수 있다. 돈오 이후에 별개의 점수를 닦는 것이 아니라, 돈오 자체로써 곧바로 새로운 차원의 닦음이 시작되기 때문이다. 본고의 논지는 바른 견해 혹은 바른 깨달음이 전제될 때 비로소 참된 닦음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본고는 이것의 전형을 지눌의 돈오점수에서 찾았고, 또한 초기불교의 팔정도와 사성제 등에도 이것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조명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한국불교와 초기불교 수행론사이의 소통에 기여하는 측면이 있을 것이며, 또한 각자의 교리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데에서도 나름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article is a study in which Early Buddhist practice is compared with Chinul`s(知訥, 1158-1210)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The representative thoughts of Chinul`s practice system can be compressed into the sys...

      The present article is a study in which Early Buddhist practice is compared with Chinul`s(知訥, 1158-1210)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The representative thoughts of Chinul`s practice system can be compressed into the system of three way(三門) and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 The former was the subject of my previous article, Chinul`s Practice System from a Perspective of Vipassana Meditation. And I am focusing on the latter in the pr esent article. I understand the teaching of sudden enlighten-m ent gradual cultivation as a message that we should realize e nlightenment or wisdom first, and then gradually practice t he cultivation of mind corresponding with that enlightenment or wisdom. I find out this idea is rooted in the Early Buddhism. Atthangika-magga of Early Buddhism teach us that right wisdom or enlightenment should precede all the other elements of atthangika-magga. And I came to understand that the teaching of cattari-ariyasaccani also had a similar pattern to atthangika-magga. The first element of cattari-ariyasaccani, dukkha -ariyasacca means to realize the painful realities of life. The o ther elements of cattari-ariyasaccani follow this realiza-tion. Especially, the last element of cattari-ariyasaccani, dukkhaniro dhagaminiya-patipada means to practice the gradual cultivation of mind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elements of cattari-ariyasaccani. I think these teachings of Early Buddhism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thought of Chinul`s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 I expect the present article will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the similarities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Early Buddhism and the traditional Korean Buddhis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Bhikkhu Bodhi, "팔정도" 고요한 소리 2009

      2 임승택, "초기경전에 나타나는 궁극 목표에 관한 고찰" 불교학연구회 19 : 49-80, 2008

      3 전해주, "징관과 종밀의 돈점관 비교, In 깨달음, 돈오점수인가 돈오돈수인가" 민족사 1992

      4 길희성, "지눌의 선사상" 소나무 2001

      5 강건기, "절요사기를 통해서 본 지눌의 사상, In 목우자 지눌 연구" 부처님 세상 2001

      6 김호귀, "위빠사나와 간화선의 비교" 동국대학교석림회 38 : 2004

      7 임승택, "위빠사나(vipassanā)에 비추어 본 보조 지눌의 수행체계" 보조사상연구원 35 : 581-637, 2011

      8 박성배, "성철스님의 돈오점수설 비판에 대하여, In 깨달음, 돈오점수인가 돈오돈수인가" 민족사 1992

      9 류제동, "성철 사상의 근본주의적 특성에 대한 검토: 보조 지눌과의 비교를 통하여" 서강대학교 종교연구소 9 : 2007

      10 김방룡, "보조지눌의 사상과 영향" 보고사 2006

      1 Bhikkhu Bodhi, "팔정도" 고요한 소리 2009

      2 임승택, "초기경전에 나타나는 궁극 목표에 관한 고찰" 불교학연구회 19 : 49-80, 2008

      3 전해주, "징관과 종밀의 돈점관 비교, In 깨달음, 돈오점수인가 돈오돈수인가" 민족사 1992

      4 길희성, "지눌의 선사상" 소나무 2001

      5 강건기, "절요사기를 통해서 본 지눌의 사상, In 목우자 지눌 연구" 부처님 세상 2001

      6 김호귀, "위빠사나와 간화선의 비교" 동국대학교석림회 38 : 2004

      7 임승택, "위빠사나(vipassanā)에 비추어 본 보조 지눌의 수행체계" 보조사상연구원 35 : 581-637, 2011

      8 박성배, "성철스님의 돈오점수설 비판에 대하여, In 깨달음, 돈오점수인가 돈오돈수인가" 민족사 1992

      9 류제동, "성철 사상의 근본주의적 특성에 대한 검토: 보조 지눌과의 비교를 통하여" 서강대학교 종교연구소 9 : 2007

      10 김방룡, "보조지눌의 사상과 영향" 보고사 2006

      11 지눌, "보조전서" 불일출판사 1989

      12 강건기, "보조사상에 있어서 닦음의 의미, In 깨달음, 돈오점수인가 돈오돈수인가" 민족사 1992

      13 김호성, "돈오돈수적 점수설의 문제점, In 깨달음, 돈오점수인가 돈오돈수인가" 민족사 1992

      14 강건기, "깨달음, 돈오점수인가 돈오돈수인가" 민족사 1992

      15 각묵스님, "간화선과 위빠사나는 다른가" 만해사상실천선양회 2004

      16 中村元, "原始佛敎の生活倫理" 春秋社 1978

      17 服部弘端, "原始佛敎に於ける八正道と涅槃の問題" 日本印度學佛敎學會 46 (46): 1997

      18 宇井伯壽, "印度哲學硏究 3" 甲子社書房 1926

      19 田中敎照, "初期佛敎の修行道論" 山喜房佛書林 1993

      20 MN Majjhimanikāya, "PTS(V. Trenckner and R. Chelmers) Vols. Ⅰ-Ⅳ Rep. 1888-1925"

      21 DN Dīghānikāya, "PTS(T.W. Rhys Davids and J.E. Carpenter), Vols. Ⅰ-Ⅲ Rep. 1966-1976"

      22 SN Saṁyuttanikāya, "PTS(M.L. Feer) Vols. Ⅰ-Ⅳ Rep. 1960-1976"

      23 AN Aṅguttaranikāya, "PTS(M. Morris and E. Hardy), Vols. Ⅰ-Ⅳ Rep. 1955-1961"

      24 길희성, "Chinul's Alternative Vision of Knahwa Son ans its Implication for Sudden Awakening/Sudden Cultivation에 대한 논평" 보조사상연구원 4 :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4-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 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8-10-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Society for Indian Philosophy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4 1.2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