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돈점 논쟁의 쟁점과 과제 = The point of dispute on the Suddenness - 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and its problem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눌의 돈오점수를 비판하고 돈오돈수를 천명한 성철의 돈점론 이후 전개된 돈점 논쟁에서, 그 핵심 논점은 결국 상호 연관된 두 가지 질문으로 요약된다. ‘지눌이 설하는 해오(解悟)로서...

      지눌의 돈오점수를 비판하고 돈오돈수를 천명한 성철의 돈점론 이후 전개된 돈점 논쟁에서, 그 핵심 논점은 결국 상호 연관된 두 가지 질문으로 요약된다. ‘지눌이 설하는 해오(解悟)로서의 돈오를 지해(知解)로 간주할 수 있는가?’하는 것이 그 하나이고, ‘지눌의 돈오를 화엄사상, 특히 성기사상에 의거한 원돈신해(圖頓信解)로써 파악하는 것은 충분한가?’가 다른 하나이다.
      해오를 지해라고 간주하여 돈오점수를 비판하는 성철은, 그 논거를 ‘지눌의 돈오는 해오이고 그 해오는 화엄의 원돈신해 관법을 그 내용으로 삼고 있다’는 데에서 확보하고 있다. 그리고 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주장을 사람들도, ‘지눌의 돈오는 화엄 원돈신해를 그 내용으로 삼고 있으며, 그의 돈오/해오는 화엄의 성기론적 이해를 담기 위한 것 혹은 그 결과’라는 관점을 널리 공유하고 있다. 따라서 지눌의 돈오/해오를 화엄의 원돈신해와 등치시킨다는 점에서는, 성철은 물론 대다수 지눌 연구자들의 견해가 일치한다. 결국 ‘해오(解悟)/지해(知解)/해애(解碍)’를 동일시하는 성철의 견해에 대한 판단과 평가는, ‘화엄적 해오가 지해인가 아닌가?’에 어떻게 답하느냐에 따라 결정되게 된다.
      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주장하는 견해들은 ‘화엄적 원돈신해가 단순한 지해와는 다르다.’고 할 것이고, 성철의 관점에서는 ‘아무리 차이를 부여해 보았자 본질적으로 지해 범주를 못 벗어난다.’고 공박할 것이다.
      돈오점수에 대한 성철의 비판으로 전개된 돈점 논쟁에는 그 핵심 논점을 둘러싸고 혼란이 존재한다. ‘지눌의 돈오는 화엄적 해오이다’라는 명제를 공유하고 있는 기존의 돈점 논쟁에는 아직 해소되지 못한 논리적 혼란과 기술(記述)의 모호함이 내재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눌의 돈오점수를 수긍하여 옹호하려는 관점들에서 그러한 문제점이 부각된다. 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설정하면서도 그 차이의 내용을 의미 없는 수사적 어법으로써 대체하는 모호함이 있고, 돈오/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주장하면서도 돈오/해오의 내용을, 지해의 해애(解碍)를 지닌 화엄의 원돈신해로써 채우고 있는 논리적 모순을 안고 있는 것이다.
      이 혼란을 수습하기 위해서는 돈점 논쟁을 다루는 틀과 방식을 바꾼 새로운 독법이 요청된다. 돈점 논쟁의 핵심 논점을 둘러싼 모호함과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독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 새로운 독법의 구성은 기존의 논의 구조를 지탱하는 핵심 명제들을 재검토하는 데에서 출발해야 한다.
      특히 ‘지눌의 돈오는 화엄의 원돈신해적 해오’라는 명제를 재검토해야 한다. 만약 이 전제에 갇히지 않을 수 있다면 논의의 틀 자체를 바꿀 수 있고, 그 결과 지눌의 선사상, 그의 돈오점수와 성철의 돈오돈수, 돈점 논쟁의 의미, 간화선의 의미, 불교 수행론 등, 연관된 모든 주제들을 재음미할 수 있는 길도 열리게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oint of dispute on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is to be condensed in two questions; One is “Is it reasonable to regard the Chi-nul’s(知訥) sudden enlightenment(頓悟)/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as intellec...

      The point of dispute on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is to be condensed in two questions; One is “Is it reasonable to regard the Chi-nul’s(知訥) sudden
      enlightenment(頓悟)/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as intellectual understanding(知解)?”, and the other is “Is it sufficient to see Chi-nul’s(知訥) sudden enlightenment(頓悟) as Wha-um’s WonDonSinHae(圓頓信解)?”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having the proposition that ‘Chi-nul’s(知訥) sudden enlightenment(頓悟) is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in common has some logical inconsistency and descriptive ambiguity. Especially the supporters’view of Chi-nul’s(知訥)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e(頓悟漸修) show the logical inconsistency and descriptive ambiguity in that they argue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and the intellectual understanding(知解), and assert that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is Wha-um’s WonDonSinHae(圓頓信解) which has the hindrance of intellect simultaneously, And their descriptions of the difference between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and intellectual understanding(知解) are vague and meaningless.
      In order to solve the confusion and to read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newly, a different way of reading is to be constructed. To form the new way of reading, the proposition that ‘Chi-nul’s(知訥) sudden enlightenment(頓悟) is the Wha-um’s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must first be reconsider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Ⅰ. 성철의 돈오점수 비판과 돈점 논쟁 현황
      • Ⅱ. 돈점 논쟁의 핵심-해오(解悟)란 무엇이고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 Ⅲ. 해오(解悟)에 관한 논의의 현황과 검토
      • Ⅳ. 핵심 논점을 둘러싼 혼란과 새로운 독법의 요청
      • 요약문
      • Ⅰ. 성철의 돈오점수 비판과 돈점 논쟁 현황
      • Ⅱ. 돈점 논쟁의 핵심-해오(解悟)란 무엇이고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 Ⅲ. 해오(解悟)에 관한 논의의 현황과 검토
      • Ⅳ. 핵심 논점을 둘러싼 혼란과 새로운 독법의 요청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태원, "화두를 참구하면 왜 돈오 견성하는가" 새한철학회 4 (4): 63-96, 2009

      2 목정배, "현대 한국선의 위치와 전망" 4 :

      3 윤원철, "한국 신학에 있어서 방법론적 성찰의 부재에 대한 단상 (斷想) - 돈점 (頓漸) 논쟁의 몇가지 편린에 (片鱗) 대한 회고를 통하여 -" 종교문제연구소 (1) : 147-162, 1995

      4 전 재성, "티베트 불교의 돈점논쟁, In 깨달음, 돈오점수인가 돈오돈수인가"

      5 석길암, "지눌의 돈오와 점수에 대한 화엄성기론적 해석" 보조사상연구원 30 : 381-416, 2008

      6 길 희성, "지눌의 禪사상" 소나무 2011

      7 박 태원, "정념과 화두" UUP 2005

      8 박태원, "정념(正念, Samm?-sati)의 의미에 관한 고찰" 새한철학회 3 (3): 175-212, 2005

      9 최 봉수, "원시불교에서의 悟의 구조, In 깨달음, 돈오점수인가"

      10 박태원, "언어, 붙들기와 여의기 그리고 굴리기 - 화두 의심과 돈오 견성의 상관관계와 관련하여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7) : 93-135, 2011

      1 박태원, "화두를 참구하면 왜 돈오 견성하는가" 새한철학회 4 (4): 63-96, 2009

      2 목정배, "현대 한국선의 위치와 전망" 4 :

      3 윤원철, "한국 신학에 있어서 방법론적 성찰의 부재에 대한 단상 (斷想) - 돈점 (頓漸) 논쟁의 몇가지 편린에 (片鱗) 대한 회고를 통하여 -" 종교문제연구소 (1) : 147-162, 1995

      4 전 재성, "티베트 불교의 돈점논쟁, In 깨달음, 돈오점수인가 돈오돈수인가"

      5 석길암, "지눌의 돈오와 점수에 대한 화엄성기론적 해석" 보조사상연구원 30 : 381-416, 2008

      6 길 희성, "지눌의 禪사상" 소나무 2011

      7 박 태원, "정념과 화두" UUP 2005

      8 박태원, "정념(正念, Samm?-sati)의 의미에 관한 고찰" 새한철학회 3 (3): 175-212, 2005

      9 최 봉수, "원시불교에서의 悟의 구조, In 깨달음, 돈오점수인가"

      10 박태원, "언어, 붙들기와 여의기 그리고 굴리기 - 화두 의심과 돈오 견성의 상관관계와 관련하여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7) : 93-135, 2011

      11 박 성배, "성철스님의 돈오점수설 비판에 대하여, In 깨달음, 돈오점수인가 돈오돈수인가" 민족사 1992

      12 석 길암, "성철 돈오돈수론의 전통인식 : 화엄 및 통불교 담론과 관련하여" 15 : 2005

      13 윤 원철, "선문정로의 수증론" 4 : 1994

      14 성철, "선문정로" 불광출판사 1981

      15 서명원, "비교종교학의 관점에서 본 한국불교의 頓漸論爭" 보조사상연구원 (24) : 381-416, 2005

      16 강건기, "보조사상에 있어서 닦음(修)의 의미, In 깨달음, 돈오점수인가돈오돈수인가" 민족사 1992

      17 박 성배, "보조국사는 證悟를 부정했던가?, In 깨달음, 돈오점수인가 돈오돈수인가"

      18 정 경규, "보조 원돈문의 실체와 성철선사의 원돈 비판" 4 : 1994

      19 심 재룡, "돈점론으로 본 보조선의 위치, In 깨달음, 돈오점수인가돈오돈수인가" 민족사 1992

      20 김광민, "돈점논쟁의 재해석" 한국도덕교육학회 19 (19): 27-51, 2008

      21 김 재범, "돈점논쟁의 사회학방법론적 함의" 8 : 1998

      22 박 태원, "돈점논쟁의 비판적 검토" 한국사상사학회 17 : 2001

      23 김 호성, "돈오점수의 새로운 해석, 돈오돈수적 점수설의 문제점, In 깨달음, 돈오점수인가 돈오돈수인가" 민족사 1992

      24 임승택, "돈오점수(頓悟漸修)와 초기불교의 수행" 인도철학회 (31) : 85-114, 2011

      25 목 정배, "돈오사상의 현대적 의의" 백련불교문화재단 3 : 1993

      26 박 상수, "돈오돈수의 기원과 주장자 및 불교역사상의 평가" 4 : 1994

      27 이 동준, "돈오돈수와 돈오점수의 洞時的 고찰, In 깨달음, 돈오점수인가돈오돈수인가" 민족사 1992

      28 박 성배, "돈오돈수론" 3 : 1993

      29 김방룡, "간화선과 화엄, 회통인가 단절인가 - 보조 지눌과 퇴옹 성철의 관점을 중심으로 -" 불교학연구회 (11) : 31-57, 2005

      30 인경, "간화선과 頓漸문제" 보조사상연구원 23 : 31-70, 2005

      31 박태원, "간화선 화두간병론(話頭揀病論)과 화두 의심의 의미" 불교학연구회 27 : 155-211, 2010

      32 이덕진, "頓漸論諍이 남긴 숙제" 보조사상연구원 20 : 3-88, 2003

      33 石井修道, "頓悟頓修說の受用の課題" 12 : 2002

      34 지눌, "華嚴論節要, In 한국불교전서 4"

      35 김진무, "禪宗에 있어서 ‘頓悟’의 受容과 그 展開" 한국선학회 (15) : 277-318, 2006

      36 이 종익, "禪修證에 있어서 頓悟漸修의 과제" 보조사상연구원 4 : 1990

      37 지눌, "看話決疑論, In 한국불교전서 4"

      38 전혜주, "澄觀과 宗密의 돈점관 비교, In 깨달음, 돈오점수인가 돈오돈수인가"

      39 지눌, "法集別行錄節要竝入私記, In 한국불교전서 4"

      40 신 규탁, "本地風光와 臨濟禪風" 4 : 1994

      41 서명원, "性徹스님 理解를 위한 考察 ―그 분의 面貌를 어떻게 西洋에 소개할 것인가?" 불교학연구회 17 : 33-54, 2007

      42 지눌, "圓頓成佛論, In 한국불교전서 4"

      43 石井修道, "南宗禪の頓悟思想の展開, In 백련불교논집"

      44 강혜원, "北宗 神秀의 頓漸觀, In 깨달음, 돈오점수인가돈오돈수인가"

      45 김 영호, "中國과 티벳에서의 頓漸諍論과 普照의 頓悟漸修" 2 : 1988

      46 목 정배, "『선문정로』의 근본사상" 4 : 1990

      47 Urs app, "A Chinese Concept as a Key to ‘Mysticism’ in East and West" 3 :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9-06-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2019-06-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Buddhist Studies -> Korea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2019-06-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 ->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47 0.93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