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蓮潭有一의 선사상 - 연담의『法集別行錄節要科目幷入私記』를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502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시대 불교는 숭유억불 정책으로 거의 침체되었지만, 17세기에 履歷課程이 정비된 후, 그 내용을 교육하고 이해하기 위한 講學과 私記 편찬이 성행하였다. 조선후기의 수많은 사기를 편...

      조선시대 불교는 숭유억불 정책으로 거의 침체되었지만, 17세기에 履歷課程이 정비된 후, 그 내용을 교육하고 이해하기 위한 講學과 私記 편찬이 성행하였다. 조선후기의 수많은 사기를 편찬한 승려 가운데 연담유일은 講經과 私記 편찬의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라 할 수 있다. 그는 『都序』, 『節要』, 『禪要』, 『書狀』의 四集私記와 華嚴에 대한 다수의 私記를 남겼다. 그의 사기는 후에 많은 講院에서 禪과 敎의 이해에 대한 표준으로 삼았다. 본고에서는 연담의 수많은 사기 가운데 『法集別行錄節要科目幷入私記』를 중심으로 그의 禪思想을 고찰하였다. 연담의 『法集別行錄節要科目幷入私記』에서 나타나는 선사상은 지눌과 서산의 禪敎兼修를 계승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서산의 捨敎入禪의 禪敎觀이 연담에게도 그대로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지눌의 사상을 계승하면서도 지눌과는 다른 논지를 엿볼 수 있었다. 修悟一時라는 것은 성립되지 않고, 수행이 먼저인지 깨달음이 먼저인지 선후 두 가지만 있다고 하였고, 현실적 깨달음인 事智現前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연담은 徑截門에 대해, 參句는 徑截門의 活句를 參詳하는 것이라 하여, 活句를 참구하여 바로 깨치면 깨달음으로 가는 가장 빠른 지름길인 徑截門으로 통하게 됨을 강조하였다. 연담의 이러한 선사상은 침체되어 있던 조선후기 불교 교세를 회복하고, 나아가 禪敎兼修의 한국 禪風을 진작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uddhism in the Chosun dynasty was recessed by policy of Soongwyuukbul(respect on confucianism, and oppression on buddhism), but after the arrangement of a course of study(履歷課程), the content of buddhism was taught and was widely published in t...

      Buddhism in the Chosun dynasty was recessed by policy of Soongwyuukbul(respect on confucianism, and oppression on buddhism), but after the arrangement of a course of study(履歷課程), the content of buddhism was taught and was widely published in the Kanghak(講學: study on Buddhism Learning) and Sagi(私記: Buddhism Literature Commentary Book) edition for the understanding. Among many monks who published the historical writings in the late of the Chosun dynasty, Yeondam Yuil could be the most representative figure for editing of Kanghak(講學) and Sagi(私記). His historical writings was standardized about the seon studies and doctrinal studies in the teaching institute(講院). This study was considered his Seon thought focused on 『Bupjipbyulhangrok-jeulyo-gwamok-byungip-sagi(法集別行錄節要科目幷入私記)』among Yeondam’s many historical writings. The Seon thought displayed in Yeondam’s 『Bupjipbyulhangrok-jeulyo-gwamok-byungip-sagi(法集別行錄節要科目幷入私記)』seemed to be succeeded Seonkyogyumsu(禪敎兼修: cultivate oneself in religious seon studies and doctrinal studies) of Ginul and Seosan. Especially, the missionary view of Seosan’s Sakyoipseon(捨敎入禪: dissert the doctrinal studies, and return to seon) was clearly displayed in the works of Yeondam. However, even the works of Yeondam was succeeded Ginul’s thought, there was the different point of argument. He said that here were two things whether cultivation is at first or enlightenment was at first, and emphasized on the practical enlightenment. These Yeondam’s Seon thought deepened the understanding of seon studies and doctrinal studies, and restored the depressed Buddhism in the Chosun dynasty, and composed of a great stream of Buddhism circ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문
      • 1. 머리말
      • 2. 조선후기 불교계와 私記의 출현
      • 3. 運潭有一의 생애와 저술
      • 4. 運潭의 『法集別行錄節要科目井入私記』에 나타난 선사상
      • 국문요약문
      • 1. 머리말
      • 2. 조선후기 불교계와 私記의 출현
      • 3. 運潭有一의 생애와 저술
      • 4. 運潭의 『法集別行錄節要科目井入私記』에 나타난 선사상
      • 5. 맺음말
      • Abstract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무, "蓮潭私記를 통해 본 朝鮮時代의 華嚴學-世主妙嚴品을 中心으로"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소 1982

      2 金晋鉉, "蓮潭有一의 一心和會思想 硏究" 동국대 2010

      3 "蓮潭大師林下錄 (韓佛全 10)"

      4 이지관, "한국불교소의경전연구"

      5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한국불교사" 조계종출판사 2011

      6 길희성, "지눌의 선사상" 소나무 2001

      7 이종수, "조선후기 불교의 수행체계 연구-三門修學을 중심으로" 동국대 2010

      8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임제법통과 교학전통" 신구문화사 2010

      9 이능화, "조선불교통사" 동국대학교출판부 2010

      10 이지관, "연담 및 인악의 사기와 그의 교학관, In 한국불교사상사" 원광대학교원불교사상연구원 1975

      1 이영무, "蓮潭私記를 통해 본 朝鮮時代의 華嚴學-世主妙嚴品을 中心으로"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소 1982

      2 金晋鉉, "蓮潭有一의 一心和會思想 硏究" 동국대 2010

      3 "蓮潭大師林下錄 (韓佛全 10)"

      4 이지관, "한국불교소의경전연구"

      5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한국불교사" 조계종출판사 2011

      6 길희성, "지눌의 선사상" 소나무 2001

      7 이종수, "조선후기 불교의 수행체계 연구-三門修學을 중심으로" 동국대 2010

      8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임제법통과 교학전통" 신구문화사 2010

      9 이능화, "조선불교통사" 동국대학교출판부 2010

      10 이지관, "연담 및 인악의 사기와 그의 교학관, In 한국불교사상사" 원광대학교원불교사상연구원 1975

      11 최현각, "선어록산책" 불광출판부 2005

      12 김방룡, "보조지눌의 사상과 영향" 보고사 2006

      13 범해, "동사열전" 광제원 1991

      14 李晋吾, "韓國佛敎文學의 硏究" 민족사 1997

      15 南都泳, "韓國 寺院敎育制度" 254 : 2005

      16 "霽月堂大師文集 (韓佛全 8)"

      17 "都序科目幷入私記序(韓佛全 10)"

      18 "詠月大師文集 (韓佛全 8)"

      19 "法集別行錄節要科目幷入私記 (韓佛全 10)"

      20 "法集別行錄節要私記解 (韓佛全 9)"

      21 박상국, "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를 通해본 普照의 禪思想 硏究" 동국대 1975

      22 "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韓佛全 4)"

      23 효탄, "朝鮮後期 講學의 復興과 展開" 17 : 1999

      24 김용조, "朝鮮後期 佛敎思想의 一傾向" 22 : 1983

      25 권기종, "朝鮮前期의 禪敎觀, In 韓國禪思想"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1997

      26 "書狀 (大正藏 47)"

      27 "序要私記叙 (韓佛全 10)"

      28 "天鏡集 (韓佛全 9)"

      29 이운허, "四集譯解: 書狀, 都序, 禪要, 節要" 法輪社 1976

      30 불학연구소, "四集私記" 조계종출판사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4-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韓國禪學(한국선학) -> 禪學(선학) KCI등재
      2016-0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eon Studies -> The Korean Society for Seon Studies KCI등재
      2016-02-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eon Studies -> Journal of Seon Studies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6 1.1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