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호학파星湖學派의 주역 상수학설象數學說 연구: 이익, 신후담, 정약용의 역상설易象說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heories of Image and Number of the Book of Changes in Seong-Ho School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study that explored the origin of the Tasan Cheong Yagyong’s analysis methodology about the Book of Changes. Tasan’s analysis methodology is a unique one, however it is not a system of thought that emerged suddenly. It will be able...

      This paper is a study that explored the origin of the Tasan Cheong Yagyong’s analysis methodology about the Book of Changes. Tasan’s analysis methodology is a unique one, however it is not a system of thought that emerged suddenly. It will be able to understand as inner mechanics of development stage in history of Joseon Dynasty’s aca¬demic.
      Tasan’s comments is determined by the changes of Yao(爻). If there are not the changes of Yao, then those are losing ground. He discovered the changes of Yao from studying on auguries at the national offices i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春秋).
      Habin Sin Hu-Dam is known to Sirhak scholar inherited Seongho Yi Ik’s thoughts. Generally, Tasan is known to scholar who established and provided the unique system for interpreting all 384 line statements of hexagrams(爻辭) by the theory of Changes of Yao(爻變說). However it already appeared very similar analysis methodology as Tasan’s one in Habin’s theories. The theory of the two men is related to the inner tendency and development aspects inherent in the thoughts of Seongho, the leader of Seongho School. Seongho led to a new trend to interpret the Book of Changes, using the learning of Image and Number(象數學) like changes of Yao(爻變) and nuclear trigrams(互體).
      These was a new tendency to interpret the Book of Changes in Seongho School, which appeared to Habin’s consistent methodology and was established almost a complete theoretical system in Tasan’s comm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다산 정약용의 역상학易象學을 중심에 놓고 그 해석방법론의 학파적 연원을 탐구한 논문이다. 정약용의 역리사법(推移, 物象, 互體, 爻變)은 정약용만의 독특한 해석방법론이라고 ...

      이 글은 다산 정약용의 역상학易象學을 중심에 놓고 그 해석방법론의 학파적 연원을 탐구한 논문이다. 정약용의 역리사법(推移, 物象, 互體, 爻變)은 정약용만의 독특한 해석방법론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하나의 사상체계가 갑작스럽게 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조선역학사의 내적 발전단계의 하나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정약용의 학맥인 성호학 계열의 학자들에게서 유사한 방법론을 사용한 사례를 연구하였다.
      정약용 역학의 성립여부는 효변설의 유무에 의해 결정된다. 효변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그의 역학은 근거를 잃게 된다. 정약용이 효변의 원리를 발견하게 된 것은 『춘추春秋』의 연구과정에서인데 그곳에 기재되어 있는 관점官占들은 모두 효변을 활용하고 있다.
      신후담은 이익의 사상을 계승한 실학자로 알려져 있다. 384효 전체를 효변을 통하여 해석하는 체계를 마련한 것은 이전에 사례를 찾기 어려운 정약용 역학의 특징으로 논의되곤 한다. 그러나 신후담 역학에서 이미 384효 전체에 효변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효사를 해석하는 특징이 나타난다. 이 두 사람의 효변설은 실학파의 종장인 성호의 역학사상에 내재하는 흐름과 발전 양상과 관련이 있다. 이익은 효변설 호체설 등의 상수적 방법을 활용하여 주역을 해석하는 새로운 경향을 이끌었다.
      신후담이 일관된 방법론으로 적용한 효변과 정약용이 『주역』 해석방법론 가운데 가장 강조한 효변설은 성호 이익의 문하에서 형성된 새로운 해석의 경향이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영진, "하빈 신후담의 『주역』 해석 일고찰 건괘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7 (37): 126-148, 2014

      2 박주병, "주역의 괘에 대한 연구 : 정약용 역학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1

      3 정약용, "주역사전" 소명출판사 2007

      4 원재린, "조선후기 성호학파의 형성과 학풍"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5 황병기, "정약용의 주역철학(연세국학총서96)" 도서출판 동과서 2014

      6 김영우, "정약용의 역학사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7 白英彬, "정약용의 周易 해석방법의 특징 : 茶山의 역리사법을 중심으로"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學大學院 1995

      8 신용일, "신후담의 『周易象辭新編』에 관한 교육적 고찰"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1 : 1995

      9 송갑준, "성호 이익의 역학사상" 경남대학교 6 : 1991

      10 金麟哲, "성호 이익의 역학관" 태동고전연구소 23 : 2007

      1 최영진, "하빈 신후담의 『주역』 해석 일고찰 건괘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7 (37): 126-148, 2014

      2 박주병, "주역의 괘에 대한 연구 : 정약용 역학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1

      3 정약용, "주역사전" 소명출판사 2007

      4 원재린, "조선후기 성호학파의 형성과 학풍"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5 황병기, "정약용의 주역철학(연세국학총서96)" 도서출판 동과서 2014

      6 김영우, "정약용의 역학사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7 白英彬, "정약용의 周易 해석방법의 특징 : 茶山의 역리사법을 중심으로"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學大學院 1995

      8 신용일, "신후담의 『周易象辭新編』에 관한 교육적 고찰"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1 : 1995

      9 송갑준, "성호 이익의 역학사상" 경남대학교 6 : 1991

      10 金麟哲, "성호 이익의 역학관" 태동고전연구소 23 : 2007

      11 金麟哲, "다산의 『주역』 해석체계에 대한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9

      12 方仁, "다산역학사상에 대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1983

      13 황병기, "다산 정약용의 역상학"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14 서근식, "다산 정약용의 '시괘법'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2

      15 유문상, "다산 역학의 특성과 윤리적 함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2

      16 서근식, "近畿南人으로서의 星湖 李瀷의 易學思想 - 「蓍卦攷」를 중심으로" 한국철학사연구회 (32) : 161-183, 2011

      17 金王淵, "茶山 易學의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0

      18 林再圭, "茶山 『易』學의 점무적 性格에 관한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19 강병수, "河濱 愼後聃의 易學 硏究와 理解" 한국사상사학회 16 : 2001

      20 서근식, "星湖 李瀷의 『周易』解釋에 관한 硏究" 퇴계학연구원 (117) : 81-112, 2005

      21 이익, "易經疾書 영인본"

      22 윤정기, "易傳翼(성균관대 경학자료집성본)"

      23 "定本 與猶堂全書(『易學緖言』, 『周易四笺』)"

      24 丁海王, "周易의 解釋方法에 관한 연구 : 丁若鏞의 易學을 중심으로" 釜山大學校 大學院 1990

      25 신후담, "周易象辭新編" 아세아문화사 2006

      26 "周易傳義大全" 학민문화사 2008

      27 박주병, "丁茶山易學에 있어서 易理四法에 대한 硏究" 嶺南大學校 大學院 1999

      28 柳初夏, "丁若鏞의 宇宙觀"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55 0.94 0.8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