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松隱 朴翊의 인적 연계망과 사상 = A Study on the Human Network & Ideological Nature of the Bak Ik(朴翊)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into the human network & ideological nature of the Bak Ik(1332~1398). the core text of this paper was utilized as 『the miscellany of Songeun』 the he had written, and ruins & artifacts that were discovered in his to...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into the human network & ideological nature of the Bak Ik(1332~1398). the core text of this paper was utilized as 『the miscellany of Songeun』 the he had written, and ruins & artifacts that were discovered in his tomb's mural-paintings(壁畵墓).
      His Jaho(字號) was called the Songeun(松隱) & Taesi(太始), he was active as the literary intellectual from the Koryo(高麗)-Dynasty's end to the early Joseon(朝鮮)-Dynasty. he was active as a bureaucrat in the Koryo-Dynasty, but was denied the offices in the Joseon-Dynasty. he kept a honor in the Koryo-Dynasty to the last. in the course of his activities, he build a social network. first, his wife kinsmen & maternal family were also included in a clan that was already grown the senior officials of the central government from the Koryo-Dynasty's end. next, his political & social familiar figures were included in the literary intellectual & the soldier-offices & the Buddhist-intellectuals. among the figures, he was most familiar with the Jung Mongjoo(鄭夢周) & the Lee Saek(李穡) & the Gil Jae(吉再). his familiar figures were included in the Neo-Confucianism(性理學) & Buddhism intellectual who kept a honor in the Koryo-Dynasty. on the other hand, they were included in the offices who participat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Joseon-Dynasty.
      He noted to the Neo-Confucianism in practical politics. his phase of that coeval was evaluated as the founder of the Neo-Confucianism, like the Jung Mongjoo & the Lee Saek. in addition, he also embraced the Buddhism(佛敎) & the Taoism(道敎). in this fact, his the academic & ideological tendency was like with the Jung Mongjoo & the Lee Saek & the Gil Jae. therefore, he can be evaluated by the flexible literary intellectual who comprehensively embraced these idea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여말선초 문인지식인으로 활동한 松隱 朴翊(1332~1398)의 사회적 연계망과 사상을 분석하였다. 원천자료는 『松隱先生文集』및 『國譯 松隱先生文集』, 「慶州府尹先生案」, ...

      이 논문에서는 여말선초 문인지식인으로 활동한 松隱 朴翊(1332~1398)의 사회적 연계망과 사상을 분석하였다. 원천자료는 『松隱先生文集』및 『國譯 松隱先生文集』, 「慶州府尹先生案」, 박익의 묘소에 발견된 유물․유적 등을 주로 활용하였다.
      이 집안은 아버지 박영균 때부터 이미 중앙관료를 역임하면서 수도 개경에 거주하였으며, 박익 때부터 과거에 급제하여 문인관료지식인으로 활동하였다. 박익은 사촌 동생 桃隱 朴文彬과 더불어 조선왕조의 개창을 반대하며 밀양지역에 은거하였다. 그러면서 그의 아들 넷은 성리학적인 소양을 갖춘 문인지식인으로, 조선왕조에서 관료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박익의 직계는 다양한 집안과 혼인관계를 맺으면서 정치․사회적 연계망을 구축하였다. 박익의 외가와 처가 가운데는 綾城具氏․星山裴氏와 같이 고려말기부터 이미 중앙의 고위관료를 배출한 명문가도 포함되어 있었다. 조선왕조의 개국공신으로 활동한 인물도 있었고, 관료지식인도 상당수 포함되어 있었으며, 杜門洞으로 은거하여 고려왕조에 절의를 지킨 문인지식인도 있었다.
      박익은 문학적․사상적 교류를 통해 다양한 인물들과 인적 연계망을 구축하였다. 鄭夢周(圃隱)․李穡(牧隱)․吉再(冶隱)․李在弘(桐隱)․李瓊(二憂堂)․朴宜中(貞齋)․卞季良(春亭)․卞仲良(春堂)․李原(容軒) 및 金九容(惕若齋)․李崇仁(陶隱)․朴文彬(桃隱) 등의 관료․문인지식인, 李之蘭과 같은 무인, 上人(법명 미상)․道欽 등의 승려지식인들과 정치․사회적 연계망을 구축하였다. 그와 교류한 문인지식인의 대부분은 성리학적 지식과 소양을 갖추고 있었으며, 정몽주․이색의 문인이거나 정몽주․이색․길재와 학문적 성향과 사상적 견해가 밀접하였다. 이들 가운데는 고려왕조에 절의를 지킨 문인지식인들도 있으며, 조선왕조에서도 계속하여 활동한 관료나 조선왕조의 개국공신도 포함되어 있었다. 특히 박익은 정몽주․이색과 친밀하게 교류하였다.
      그의 사상은 현실적으로 성리학을 주목하였으며, 당대 성리학적인 위상은 우리나라 성리학의 祖宗으로 평가되기도 하였다. 그는 성리학적 소양을 자신의 정치․사회적 실천덕목으로 삼는 한편, 자신의 아들에게도 계승하였다. 그의 성리학적인 실천덕목은 은둔과 출처를 통일적으로 파악한 이색과 일치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실천덕목으로 박익은 공양왕 때 관직진출과 낙향을 반복하면서도 고려왕조에 절의를 지키며 조선왕조의 관직을 거부하였다.
      박익은 성리학적인 사상과 함께 불교 및 도교까지 이해하고 수용하였다. 그의 불교적 관심은 불교의 禪思想에서 영향을 받은 성리학적 사상체계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지적 정보를 습득하기 위한 측면도 있었겠지만, 생활종교로도 수용하여 유․불 간의 조화도 도모하였다. 이로써 박익은 성리학적 입장에서 유․불, 또는 유․불․도를 아우르는 탄력적 문인지식인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상 경향은 정몽주나 이색, 그리고 길재와도 무관하지 않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原碑銘"

      2 民族文化硏究所, "嶺南文集解題" 영남대학교 출판부 1983

      3 안계현, "한국불교사상사 연구" 동국대학교 1983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

      5 "태종실록"

      6 "태조실록"

      7 김광철, "여말선초 사회변동과 박익의 생애" 동아대학교 박물관 2002

      8 김광철, "여말선초 松隱 朴翊의 생애 : 조선건국기 낙향인물의 한 사례" 동아대학교 박물관 17-18 : 2002

      9 "세종실록"

      10 김영재, "박익 묘 벽화에 나타난 복식 연구" 한복문화학회 4 (4): 2001

      1 "李原碑銘"

      2 民族文化硏究所, "嶺南文集解題" 영남대학교 출판부 1983

      3 안계현, "한국불교사상사 연구" 동국대학교 1983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

      5 "태종실록"

      6 "태조실록"

      7 김광철, "여말선초 사회변동과 박익의 생애" 동아대학교 박물관 2002

      8 김광철, "여말선초 松隱 朴翊의 생애 : 조선건국기 낙향인물의 한 사례" 동아대학교 박물관 17-18 : 2002

      9 "세종실록"

      10 김영재, "박익 묘 벽화에 나타난 복식 연구" 한복문화학회 4 (4): 2001

      11 김재현, "밀양지역의 분묘문화" 석당학술원 39 (39): 89-112, 2007

      12 이동주, "밀양 고법리 벽화묘에 대한 연구"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19 (19): 69-106, 2011

      13 이영자, "밀양 고법리 벽화를 통해 본 다례연구" 동아대학교 2005

      14 도현철, "목은 이색의 정치사상 연구" 혜안 2011

      15 "디지털칠곡문화대전"

      16 이상희,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3" 넥서스 2004

      17 "국역 국조인물고"

      18 박용운, "고려시대 음서제와 과거제연구" 일지사 1990

      19 "고려사"

      20 "黃喜墓誌銘"

      21 趙明濟, "高麗後期 戒環解 楞嚴經의 盛行과 思想史的 意義" 부산대학교 12 : 1988

      22 "百家諸子 Chinese Text Project/太平御覽"

      23 박홍갑, "甁齋 朴河澄硏究" 경인문화사 2006

      24 朴世臣, "松隱先生文集" 1839

      25 정의도, "松隱 朴翊先生墓 出土遺物의 考古學的 解釋" 한국고대학회 33 (33): 345-374, 2010

      26 안휘준, "松隱 朴翊 墓의 壁畵" 동아대학교 박물관 17-18 : 2002

      27 박홍갑, "朝鮮初期 密陽 在地勢力의 淸道移住와 定着過程 : 密陽朴氏 嘯皐公派를 중심으로" 70 : 2004

      28 "微百科"

      29 慶州先生案, "府尹先生案" 아세아문화사 1982

      30 안휘준, "密陽古法里壁畵墓" 동아대학교 박물관 2002

      31 동아대학교 박물관, "密陽古法里壁畵墓" 2002

      32 고부자, "密陽古法里壁畵墓" 동아대학교 박물관 2002

      33 曺五順, "密陽 古法里 古墳壁畵에 나타난 服飾 硏究"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5 (5): 2001

      34 "國譯 松隱先生文集" 報本齋 1999

      35 "國朝文科榜目"

      36 "國朝人物考"

      37 都賢喆, "元天錫의 顔回的 君子觀과 儒彿道 三敎一理論" 연세대학교 (111) : 2001

      38 "三峰集"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 동아시아문물연구소
      영문명 : The Research Foundation of Cultural Relics in East Asia -> The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Relics in East Asia
      KCI등재후보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4 0.24 0.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5 0.22 0.56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