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선사의 『宗鏡撮要』 간행과 사상적 의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260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당말 오대를 거쳐 송초까지 살았던 永明延壽(904∼975)는 선종의 일파인 法眼宗 승려이다. 그는 사상적으로 ‘一心’을 가장 중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禪敎一致와 禪淨一致를 표방함으로써 ...

      당말 오대를 거쳐 송초까지 살았던 永明延壽(904∼975)는 선종의 일파인 法眼宗 승려이다. 그는 사상적으로 ‘一心’을 가장 중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禪敎一致와 禪淨一致를 표방함으로써 그는 탄력성과 포용력을 지녔다. 그는 많은 저술을 남겼지만 대표적인 것은 『禪宗唯心訣』, 『萬善同歸集』, 『宗鏡錄』 『註心賦』 등이다. 그리고 송대의 임제종 황룡파 승려인 曇賁(1131∼1162)은 『종경록』의 요점을 발췌하여 『종경촬요』를 지었다.
      『만선동귀집』을 제외한 연수의 대표적인 저술과 『종경촬요』가 13세기에 간행되었다. 먼저 1213년에 수선사에서 『종경촬요』가 간행되었다. 그리고 『종경록』, 『선종유심결,』 『주심부』 등은 고려대장경 간행을 마무리하고 그 기반을 이용한 보유판으로 간행되었다.
      13세기 초반에 知訥이 불교개혁을 위해 개창한 修禪社는 당시 불교계를 주도하였다. 수선사는 지눌과 慧諶이 이끌었으며, 이들은 看話禪을 지향하였다. 그러나 간화선과는 경향을 달리하는 연수의 저술들이 다른 禪籍과 함께 다수 간행된 것은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하나는 지눌과 혜심이 간화선을 지향했으나 다른 선사상을 받아들일 수 있을 정도로 상당히 탄력성과 포용력을 가졌다. 곧 사상적 경향은 시대적 상황과 관련된다고 볼 때, 다양한 선사상을 수용하고 공존하던 13세기 불교계의 흐름을 반영한 것이 바로 수선사였다.
      또 하나는 지눌과 혜심은 간화선을 우위에 두지 않을 정도로 간화선에 대한 심화된 이해를 보이지 않았다. 이로 인해 현재 불교계에서는 이른바 ‘頓漸’ 논쟁이 제기되고 법통설로 연결되어 많은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Yeongmyeong Yeonsu(永明延壽, 904~975) was a buddhist monk of Beobanjong(法眼宗), one sect of the Zen Buddhism, in the late Tang Dynasty and the early Song Dynasty. He put great store by ‘One-Mind(一心).’ Claiming to advocate the unity of ...

      Yeongmyeong Yeonsu(永明延壽, 904~975) was a buddhist monk of Beobanjong(法眼宗), one sect of the Zen Buddhism, in the late Tang Dynasty and the early Song Dynasty. He put great store by ‘One-Mind(一心).’ Claiming to advocate the unity of Seon(禪) with Gyo(敎) and Jung(淨), he had a broad-minded and flexible attitude. As for his representative works, there are Seonjongyusimgyeol(禪宗唯心訣), Manseondonggwijip(萬善同歸集), Jonggyeongnok(宗鏡錄), and Jusimbu(註心賦), etc. And Dambun(曇賁, 1131~1162), a buddhist monk of Imjejong(臨濟宗) in the Song Dynasty, wrote Jonggyeongchwallyo, extracting the key points from Jonggyeongnok.
      Yeonsu’s works, excepting Manseondonggwijip, and Jonggyeongchwallyo were published in the 13th century. First, the latter was put out by Suseon Temple(修禪社) in 1213. And then, Jonggyeongnok, Seonjongyusimgyeol, and Jusimbu, as the version in possession, after the publication of Tripitaka Koreana.
      Suseon Temple, which Jinul(知訥) had established for reforming of Buddhism in the early 13th century, took the lead the buddhist world then. Jinul and Hyesim(慧諶) headed it up, searching for Ganhwaseon(看話禪). But how should we interpret that Yoesu’s works which had a different tendency from Ganhwaseon were published with different buddhist works.
      On the one hand, Jinul and Hyesim aimed at Ganhwaseon, but they were much flexible and broad-minded to the extent of accepting the other Seon thoughts. And on the other hand, they didn’t understand Ganhwaseon deeply enough to give priority to it. This, which is related to the so-called ‘Suddennessgradualness(頓漸)’ debate, causes a controversy in the buddhist world toda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13세기 간행된 延壽의 저술 검토
      • 3. 『宗鏡撮要』를 간행한 수선사의 사상적 경향
      • 4. 맺음말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13세기 간행된 延壽의 저술 검토
      • 3. 『宗鏡撮要』를 간행한 수선사의 사상적 경향
      • 4.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법상, "정토 수행관 연구-영명 연수의 사상과 수행을 중심으로" 운주사, 2013

      2 박인석, "영명연수 『종경록』의 '일심' 사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3 천혜봉, "고려대장경과 교장의 연구" 범우, 2012

      4 송일기, "고려대장경과 강화도" 강화군, 2011

      5 南權熙, "高麗時代 記錄文化 硏究" 청주고인쇄박물관, 2002

      6 蔡尙植, "高麗後期佛敎史硏究" 일조각, 1991

      7 許興植, "高麗前期 佛敎界와 天台宗의 形成過程" 한국학보 11, 1978

      8 許興植, "高麗佛敎史硏究" 일조각, 1996

      9 宋日基, "順天 松廣寺 刊行 佛書考-朝鮮朝 有刊記佛書를 중심으로" 서지학연구 10, 1994

      10 高翊晋, "韓國天台思想硏究" 동국대학교출판부, 1983

      1 법상, "정토 수행관 연구-영명 연수의 사상과 수행을 중심으로" 운주사, 2013

      2 박인석, "영명연수 『종경록』의 '일심' 사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3 천혜봉, "고려대장경과 교장의 연구" 범우, 2012

      4 송일기, "고려대장경과 강화도" 강화군, 2011

      5 南權熙, "高麗時代 記錄文化 硏究" 청주고인쇄박물관, 2002

      6 蔡尙植, "高麗後期佛敎史硏究" 일조각, 1991

      7 許興植, "高麗前期 佛敎界와 天台宗의 形成過程" 한국학보 11, 1978

      8 許興植, "高麗佛敎史硏究" 일조각, 1996

      9 宋日基, "順天 松廣寺 刊行 佛書考-朝鮮朝 有刊記佛書를 중심으로" 서지학연구 10, 1994

      10 高翊晋, "韓國天台思想硏究" 동국대학교출판부, 1983

      11 "萬善同歸集"

      12 日藏, "萬善同歸集" 김영사, 1982

      13 조명제, "禪門拈頌集의 편찬과 宗門統要集" 보조사상 34 : 43 ~ 85, 2010

      14 "眞覺國師語錄"

      15 "東文選"

      16 "東國李相國集"

      17 "曹溪山松廣寺史庫"

      18 "景德傳燈錄"

      19 李点淑 映昔, "慧諶의 "禪門拈頌" 硏究 / 映昔" 동국대학교, 2010

      20 "宗鏡錄" 1935

      21 송찬우, "宗鏡錄" 세계사, 1992

      22 류부현, "分司大藏都監版「宗鏡錄」의 底本考" 서지학연구 30 (30) : 115 ~ 128, 2005

      23 宗眞 崔鍾洙, "伽山 李智冠스님 華甲紀念論叢 韓國佛敎文化思想史(卷上)" 가산불교문화진흥원, 1992

      24 채상식, "1608년 松廣寺 重刊 「勸修定慧結社文」․「誡初心學人文」 연구" 서지학연구 47 (47) : 295 ~ 320,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