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지눌의 돈오점수와 이문정혜(二門定慧)의 쌍수(雙修) = Consilience of Chinul’s Donojeomsu (頓悟漸修) and Two Gates (二門定慧) of Samadhi and Wisdo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990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눌의 돈오점수와 정혜쌍수를 재검토하여 돈오와 점수, 자성정혜와 수상정혜의 이문수행이 어떻게 융합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돈오란 자성을 돈오함인데 ‘공적하면서도...

      본 연구는 지눌의 돈오점수와 정혜쌍수를 재검토하여 돈오와 점수, 자성정혜와 수상정혜의 이문수행이 어떻게 융합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돈오란 자성을 돈오함인데 ‘공적하면서도 신령한 앎이 비추이고 있음’을 깨닫는 것이다. 또한 성불은 돈오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자성의 작용을 이루어 자타불이의 원만행까지 나가는 것인데, 자성의 작용에는 자성 본용(本用)과 인연을 따르는 응용(應用), 두 가지가 있다. 지눌의 마음 수행은 일상의 생활 속에서 인연을 따르면서도 자성의 근본작용을 어떻게 나타내느냐를 주된 핵심으로 삼는데, 그의 돈오점수 수행은 원수(圓修)·원점(圓漸)·점원(漸圓)의 과정을 성불로 삼는 수행이다. 점수란 돈오를 떠나지 않기에 원수이고, 생각마다 무념수(無念修)로 닦기에 원점이다. 이 원점은 곧 신통변화의 점원(홍익중생)으로 이어진다.
      기존 연구는 자성정혜를 돈오돈수라 하고, 수상정혜를 돈오점수라 하여 자성정혜가 상근기에 해당하는 수행이고 수상정혜는 하근기에 해당하는 수행이라 구분하여 말해왔다. 그러나 지눌의 돈오점수를 수상정혜로만 볼 수 없다. 지눌은 돈문의 자성정혜에 기초해 점문의 수상정혜를 빌려와 자성정혜와 수상정혜를 겸비시켰음을 볼 때 다른 해석이 가능하다. 지눌의 수상정혜는 깨달은 후에 닦는 것이기에 점문의 그것과 다르고, 자성정혜와 결합된 수상정혜이기에 선후가 없다. 지눌은 ‘이문정혜(二門定慧)를 선후와 차례를 나누어 두 가지로 보아서는 안 될 것’이라 했고, 이는 ‘마치 새의 두 날개와 같아 하나만 없어도 안 되는 것’이라 하였다. 즉 지눌의 돈오와 점수, 자성정혜와 수상정혜는 마치 수레의 두 바퀴와 같아서 이 가운데 하나가 없어도 안 되는 수행법이다. 본 연구는 ‘자성정혜(自性定慧)의 돈오’와 이에 의지해 닦는 ‘자성반조(自性返照)의 수상정혜(隨相定慧)’를 분석하여 돈오점수의 정혜쌍수가 이문정혜쌍수라는 해석을 새롭게 시도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viewed the meaning of ‘Donojeomsu (頓悟漸修: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ing)’ and ‘Junghyessangsu (定慧雙修: practicing samadhi and wisdom at a time)’ in Chinul’s Zen thought. It explored how to unite ‘sud...

      This study reviewed the meaning of ‘Donojeomsu (頓悟漸修: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ing)’ and ‘Junghyessangsu (定慧雙修: practicing samadhi and wisdom at a time)’ in Chinul’s Zen thought. It explored how to unite ‘sudden enlightenment (頓悟)’ and ‘gradual practicing (漸修)’. It also explored how to integrate ‘Jasungjunghye (自性定慧: the samadhi and wisdom of the true nature of humans)’ with ‘Susangjunghye (隨相定慧: samadhi and wisdom of following phenomenon)’ in the two gates.
      Sudden enlightenment means to be aware of one’s own true nature, Kongjeok- Youngji (空寂靈知). Kongjeok-Youngji means empty calmness and illumination by spiritual knowing. Gradual practicing (漸修) can’t separate with sudden enlightenment (頓悟), and it includes three courses: Wonsu (圓修), which means practicing with the fullness of truth, and Wonjeom (圓漸), which means total influence of ‘sudden enlightenment (頓悟)’ on the spiritual training. Wonjeom (圓漸) is followed by Jeomwon (漸圓), which means gradual achievement for the sake of all beings.
      This study also tries a new interpretation, that ‘Junghyessangsu’ is ‘practicing samadhi and wisdom (two gates) at a time (二門定慧雙修)’ of ‘Donojeomsu.’ Existing research has said that ‘Jasungjunghye’ is ‘Donodonsu’ and ‘Susangjunghye’ is ‘Donojeomsu,’ saying that the former is for superior people and the latter is for inferior ones. However, Chinul brought ‘Susangjunghye’ of ‘the gradual gate (漸門) on the base of ‘Jasungjunghye’ of ‘the sudden gate (頓門),’ combining ‘Jasungjunghye’ with ‘Susangjunghye.’ Chinul said that “Practicing samadhi and wisdom of two gates (二門定慧雙修) is not divided into two of the first and the last.” It seems like the two wings of a bird. Also like the two wheels of a wagon,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ing,’ ‘Jasungjunghye’ and ‘Susangjunghye’ of Chinul are not able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Ⅰ. 서론
      • Ⅱ. 무엇을 돈오(頓悟)하는가?
      • Ⅲ. 돈오에 의지하는 점수(漸修): 원수(圓修)·원점(圓漸)·점원(漸圓)
      • Ⅳ. 돈문(頓門)의 이문정혜쌍수(二門定慧雙修)
      • 요약문
      • Ⅰ. 서론
      • Ⅱ. 무엇을 돈오(頓悟)하는가?
      • Ⅲ. 돈오에 의지하는 점수(漸修): 원수(圓修)·원점(圓漸)·점원(漸圓)
      • Ⅳ. 돈문(頓門)의 이문정혜쌍수(二門定慧雙修)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성배, "한국사상과 불교 : 원효와 퇴계, 그리고 돈점논쟁" 혜안 2009

      2 심재룡, "한국 선불교의 철학적 연구: 지눌 (知訥)의 중국선이해 (中國禪理解)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철학과 13 : 89-123, 1985

      3 김용태, "청허 휴정과 조선후기 선과 화엄" 불교문화연구원 (73) : 63-90, 2015

      4 정혜정, "지눌의 삼학(三學) 수행에 대한 원불교의 수용과 변용" 한국교육사학회 38 (38): 121-144, 2016

      5 강건기, "지눌의 돈오점수 사상"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15 : 41-69, 1985

      6 정혜정, "지눌의 ‘깨달음의 마음공부’" 한국교육사학회 37 (37): 51-74, 2015

      7 이종익, "선수증에 있어서 돈오점수의 과제" 보조사상연구원 4 : 239-268, 1990

      8 강혜원, "북종선과 보조선의 상통성" 한국불교학회 12 : 129-159, 1987

      9 정희경, "보조지눌의 선교일치에 대한 재고찰" 보조사상연구원 (39) : 113-150, 2013

      10 김호성, "보조의 이문정혜에 대한 사상사적 고찰" 한국불교학회 14 : 405-432, 1989

      1 박성배, "한국사상과 불교 : 원효와 퇴계, 그리고 돈점논쟁" 혜안 2009

      2 심재룡, "한국 선불교의 철학적 연구: 지눌 (知訥)의 중국선이해 (中國禪理解)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철학과 13 : 89-123, 1985

      3 김용태, "청허 휴정과 조선후기 선과 화엄" 불교문화연구원 (73) : 63-90, 2015

      4 정혜정, "지눌의 삼학(三學) 수행에 대한 원불교의 수용과 변용" 한국교육사학회 38 (38): 121-144, 2016

      5 강건기, "지눌의 돈오점수 사상"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15 : 41-69, 1985

      6 정혜정, "지눌의 ‘깨달음의 마음공부’" 한국교육사학회 37 (37): 51-74, 2015

      7 이종익, "선수증에 있어서 돈오점수의 과제" 보조사상연구원 4 : 239-268, 1990

      8 강혜원, "북종선과 보조선의 상통성" 한국불교학회 12 : 129-159, 1987

      9 정희경, "보조지눌의 선교일치에 대한 재고찰" 보조사상연구원 (39) : 113-150, 2013

      10 김호성, "보조의 이문정혜에 대한 사상사적 고찰" 한국불교학회 14 : 405-432, 1989

      11 동국역경원, "보조국사집" 동국대학교 동국역경원 1995

      12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마음과 철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13 김호성, "돈오점수의 새로운 해석: 돈오를 중심으로" 한국불교학회 15 : 423-446, 1990

      14 "韓國佛敎全書"

      15 강건기, "覺 깨달음, 돈오점수인가 돈오돈수인가 : 돈점논쟁의 역사와 현재" 민족사 1992

      16 권기종, "知訥思想의 再照明 -지눌을 다시 만나다-" 보조사상연구원 31 : 10-25, 2009

      17 최연식, "知訥 禪思想의 思想史的 검토" 국학연구원 (144) : 145-167, 2008

      18 강건기, "『수심결』의 체계와 사상" 보조사상연구원 12 : 9-54,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9-06-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2019-06-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Buddhist Studies -> Korea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2019-06-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 ->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47 0.93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