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순배2017한국지역지리학회지본 글의 목적은 북한산성 안에 분포하는 지명들의 지리적 분포와 문화적, 역사적, 상징적 의미를 살펴보고, 나아가 지명 변천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특성을 기초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존하는 지명 자료 중 가장 많은 북한산성 지명을 담고 있는 ...
-
신춘호2017한국문학연구An envoy trip in the traditional era was the stage of diplomatic activity and the space of literature creation. As Myeonginjaesa (名人才士), those ...
-
최성환2017한국학연구본고는 고하도에 남아 있는 일제강점기 역사유적의 조성 내력과 그 성격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당대의 사회상과 목포항 관련성 등을 살핀 것이다. 1936년에 세워진 육지면 발상지 기념비, 1938년에 설치된 감화원, 패망직전 조성된 군사시설을 대상으로 고하도 현...
-
김희만2017新羅文化이 글에서는 『삼국사기』직관지 未詳條에 대한 연구 성과를 검토해 보고, 아울러 그 내용을 새롭게 분석하면서 직관지 未詳條의 원상을 회복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해 보려고 한다. 물론 지리지 미상조와 마찬가지로 그 본래의 모습에 완전하게 도달할 수 없는 부분도...
-
임기환2017사회과교육고조선 역사는 한국 민족사의 기원으로 인식되어 역대 국정 교과서의 서술대로 민족의 자부심을 환기하는 역사주제이다. 그 결과 이른바‘고대사 파동’이 일어나 한국사 교과서 서술을 왜곡하는 사태가 벌어지곤 했다. 특히 국정발행체제의 교과서가 고대사 파동을 만나게...
-
박선미2017白山學報The goal of this study is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bibliographic genealogy and interpretations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capital ...
-
이태우2017독도연구이 논문의 목적은 근세 일본의 사료에 나타난 울릉도 · 독도에 대한 지리적 인식을 중심으로 그들이 말하는 다케시마(울릉도)와 마쓰시마(독도, 우산도, 자산도)가 한국의 영유임을 재확인해보는 것이다. 일본이 17세기 고유영토설의 근거 사료로 삼고 있는 『죽도...
-
정무열2017국토지리학회지경주국립공원은 오랜 역사성에도 불구하고 지형·지질 특성 및 경관자원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이유는 다른 국립공원과 달리 문화유산 관리를 위한 사적형 국립공원으로 설립된 특수성과 관련이 있다. 이에 본 연구의목적은 경주국립공원의 지형·...
-
구도영2017東北亞歷史論叢본 연구는 조선 전기 조선 의주와 요동의 요양을 오간 조선 호송군에 주목하여, 호송군의 활동을 파악하고 그간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조선 전기 변경사 연구의 지평을 확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선 전기 조명외교에서 호송군이란 명(明)의 북경(北京)으...
-
이홍두2017東北亞歷史論叢조선 초기의 마목장 설치는 조선왕조가 한양으로 천도하면서 시작되었다. 그중에서도 명나라의 징마요구, 도성방어를 위한 전마확보, 왕실호위를 위해 지방에서 상경한 갑사목장의 필요성, 야인 정벌을 위한 전마확보가 마목장을 설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