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천집 목록

竹泉集
죽천집
-
-
金鎭圭
김진규
1773
  • 한국문집총간 제174집
  • -
  • 한국고전번역원
  • 본 문집은 공공데이터포털을 통해 구축된 서비스 입니다.

해제 및 일러두기


  • 한국문집총간 제174집
    본 문집으 저본은 저자의 아들 김양택(金陽澤)이 1755~1757년 사이에 두 차례에 걸쳐 판각한 것을 1773년에 영조의 간행 지시로 잔여분을 판각하여 초간한 후, 원집 중의 권31 전부와 권6ㆍ7ㆍ19ㆍ27ㆍ28ㆍ32ㆍ35의 일부, 별집, 부록 및 발문을 추각하여 재편한 것이다. 원집 35권 별집 1권 부록 3권 합 21책(1245판)의 목판본이다.

    상세해제 보기


  • ○ 本集은 竹泉 金鎭圭(1658 : 孝宗9 ~ 1726 : 英祖2)의 文集이다.
    ○ 本集은 著者의 子 陽澤이 家藏草稿를 蒐集ㆍ編次하여 1755年 黃海道觀察使로 在職時 1次 板刻하고 1756~7年 忠淸道觀察使로 在職時 錦營에서 2次 板刻한 다음 1773年 英祖의 刊行指示로 芸閣의 協助를 받아 殘餘分을 板刻하여 初刊한 후 原集 중의 卷31 全部와 卷6 ㆍ 7 ㆍ 19 ㆍ 27 ㆍ 28 ㆍ 32 ㆍ 35의 一部 別集, 附錄 및 跋文을 追刻하여 再編한 것이다.
    ○ 分量은 原集 35卷, 別集 1卷, 附錄 3卷 合 21冊으로 總 1245板이다.
    ○ 本 影印底本은 延世大學校 中央圖書館藏本(圖書番號 : 811.98-김진규-죽-판)으로서 半葉은 10行 20字이고 半郭의 크기는 22.5×15.2(cm)이다.
    ○ 本 影印底本은 再編으로 인하여 다음과 같이 卷次 및 板次가 연결되어 있다. 즉 卷6은 第1~16板, 第38~43板 順이고, 卷7은 第1~31板(卷次「6」), 第23~28板 順이고, 卷27은 第1~15板, 第14~37板, 第32~37板 順이고, 卷32는 第1~6板, 第7~33板(卷次「36」), 第1~7板(卷次「32」), 第44板, 第13~15板 順으로 되어 있으며, 또 卷32의 第19~26板(卷次「36」)이 落張되었고 別集 第50板과 第92板 다음에 數未詳의 落張이 있다. 그리고 卷10의 目錄 第2板은 缺落되었고 卷25의 第29板은 狀態가 不良하여 初刊本인 서울大學校 奎章閣藏本(圖書番號 : 奎4111)으로 補充ㆍ代替하였다.
    ○ 本集의 標點者는 趙昌來이고 監修者는 李承昌이다.

관련 문집

문집명 저자 간행년도 저작시대 DB
죽천집(竹泉集) 김진규(金鎭圭) 1773 조선시대 후기 한국역대문집DB
오재집(寤齋集) 조정만(趙正萬) - 조선시대 후기 한국문집총간DB
서석집(瑞石集) 김만기(金萬基) 1701 조선시대 후기 한국문집총간DB
모주집(茅洲集) 김시보(金時保) 1790 조선시대 후기 한국문집총간DB
수촌집(水村集) 임방(任埅) 1760 조선시대 후기 한국문집총간DB
수곡집(睡谷集) 이여(李畬) 1739 조선시대 후기 한국문집총간DB


기사
원문을 보려면 목차를 더블클릭하세요.

문체
문체별로 기사를 필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