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죽헌집 목록
萬竹軒集
만죽헌집
-
-
|
|
徐益
서익
|
|
1790 | |
|
해제 및 일러두기
조선 시대 만죽헌(萬竹軒) 서익(徐益, 1542~1587)의 문집이다. 저자의 시문은 증손 서필원(徐必遠)과 4대손 서경조(徐敬祖)가 《청구풍아(靑丘風雅)》, 《국조시산(國朝詩刪)》등에서 수집한 시문을 편차한 가장초본에, 7대손 진항(鎭恒)이 부록을 증보하여 1790년 목판으로 간행하였다. 본집은 원집 2권, 추부(追附), 부록 합 1책으로 되어 있다. 권두에 1731년에 이재(李縡)가 지은 서문, 1790년에 7대손 서진항(徐鎭恒)이 지은 서문, 목록이 있다. 시체별로 배열된 84제의 시와 약간의 문이 실려 있다. 권1은 오언절구, 칠언절구, 오언율시, 칠언율시이고, 권2는 오언고시, 칠언고시, 과체시, 소(疏), 묘명이다. 특히 소(疏)는 의주 목사로 재임하던 1585년에 이이, 정철 등이 정여립에게 무고를 당하자 이들을 변호하는 내용이다. 추부에 실린 의(疑) 1편은 편차가 끝난 다음에 습득하여 추가로 부기한 것으로, 1564년에 시행된 사마시 회시의 과제와 저자의 답안이며 부록은 1786년에 이교년(李喬年)이 지은 행장, 1772년에 정실이 지은 지명, 이재가 지은 비명, 은진 갈산서원에 봉안될 때의 제문과 축문이다.
상세해제 보기
-
○ 本集은 萬竹軒 徐 益(1542 : 中宗37 ~ 1587 : 宣祖20)의 文集이다.
○ 本集은 著者의 曾孫 必遠과 4代孫 敬祖가 靑丘風雅 등에서 蒐集한 詩文을 編次한 家藏草本에, 7代孫 鎭恒이 附錄을 增補하여 1790年 木板으로 刊行한 初刊本이다.
○ 分量은 2卷 1册으로 總 60板이다.
○ 本 影印底本은 國立中央圖書館藏本(圖書番號 : 古3648-文33-2)으로서 半葉은 10行 20字이고 半郭의 크기는 21.2×16.2(cm)이다.
○ 本 影印底本은 卷2의 第3板은 卷次가 「3」으로 誤記되어 있다.
○ 本集의 標點者는 李承昌이고 監修者는 成百曉이다.
한국문집총간 DB에서 사용된 부호는 다음과 같다.
。 :문장 안에서 구(句)나 절(節)의 구분이 필요한 곳과 문장의 끝에 사용하였다.
묘도문이나 부(賦), 사(辭) 등에서 銘曰, 辭曰 등의 뒤에 사용하였다.
대구(對句), 연구(聯句) 등 운문의 각 구마다 원주로 저자를 표시한 경우, 각 구의 끝뿐 아니라 원주 뒤에도 사용하였다.
, :인명, 지명, 관직명, 서명 등이 나열되어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에 없는 제목이나 본문 내용을 생성하였을 때 사용하였다.
글의 저자가 문집의 저자와 다른 경우, 제목 옆에 저자를 밝히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저본에서 작은 글씨로 구분된 按, 增 등의 글자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제목이나 원주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의 성격이 달라져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의 결자(缺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어떤 글자인지 알아볼 수 없는 마멸자(磨滅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저본의 묵등(墨等 검게 칠해진 부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밑줄 :교감주, 난외주 등 원주를 제외한 주석의 대상이 되는 표제어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그림 :도식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도’로 표시하고, 소자(小字)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회화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화’로 표시하고 소자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관련 문집
문집명 | 저자 | 간행년도 | 저작시대 | DB |
---|---|---|---|---|
도암집(陶菴集) | 이재(李縡) | 1803 | 조선시대 후기 | 한국문집총간DB |
기사
원문을 보려면 목차를 더블클릭하세요.
|
문체별로 기사를 필터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