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계집 목록

西溪集
서계집
-
-
李得胤
이득윤
1833
  • 한국문집총간(속) 제8집
  • -
  • 한국고전번역원
  • 본 문집은 공공데이터포털을 통해 구축된 서비스 입니다.

해제 및 일러두기


  • 조선 시대 서계(西溪) 이득윤(李得胤, 1553~1630)의 문집이다. 저자의 시문은 사위 변시망(卞時望)의 4대손인 매평(梅坪) 변지정(卞至鼎)이 병란(丙亂)과 화재로 산실(散失)되고 남은 유고(遺稿) 약간 편을 수습(收拾)하여 본손(本孫)에게 베껴서 소장하게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6대손 이정연(李靜淵)이 산재(散在)된 유문(遺文)을 수집(蒐集)하고 증보 재편(再編)하여 1833년에 목활자(木活字)로 인행(印行)하였다. 본집은 4권 2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1은 칠언절구(七言絶句), 오언사운(五言四韻), 칠언사운(七言四韻), 소(疏)이고, 권2는 서(書)로서 김장생(金長生)과 태극도(太極圖)와 역학(易學)에 관해 토론한 내용과 정두원(鄭斗源)과 거문고에 관한 지식을 교류한 것들이다. 권3은 잡저(雜著), 서(序), 제발(題跋), 잠(箴), 명(銘), 축문(祝文), 제문(祭文), 행장(行狀), 예설(禮說)이고 권4는 부록으로 김상헌(金尙憲), 최명길(崔鳴吉) 등이 지은 만사(挽詞)를 비롯하여 제문(祭文)과 행장(行狀), 손자 이만헌(李萬憲)의 청으로 1657년에 이경석(李景奭)이 지은 묘갈명(墓碣銘)과 축문(祝文)이 있다.

    상세해제 보기


  • ○ 本集은 西溪 李得胤(1553 : 明宗8 ~ 1630 : 仁祖8)의 文集이다.
    ○ 本集은 卞至鼎이 散佚되고 남은 詩文을 蒐集ㆍ編次한 稿本을, 著者의 6代孫 靜淵이 增補ㆍ再編하여 1833年 活字로 印行한 初刊本이다.
    ○ 分量은 4卷 2册으로 總 155板이다.
    ○ 本 影印底本은 國立中央圖書館藏本(圖書番號 : 한46-가893)으로서 半葉은 10行 20字이고 半郭의 크기는 22.0×16.2(cm)이다.
    ○ 本集의 標點者는 李承昌이고 監修者는 趙昌來이다.



    한국문집총간 DB에서 사용된 부호는 다음과 같다.
    。 :문장 안에서 구(句)나 절(節)의 구분이 필요한 곳과 문장의 끝에 사용하였다.
       묘도문이나 부(賦), 사(辭) 등에서 銘曰, 辭曰 등의 뒤에 사용하였다.
       대구(對句), 연구(聯句) 등 운문의 각 구마다 원주로 저자를 표시한 경우, 각 구의 끝뿐 아니라 원주 뒤에도 사용하였다.
    , :인명, 지명, 관직명, 서명 등이 나열되어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에 없는 제목이나 본문 내용을 생성하였을 때 사용하였다.
       글의 저자가 문집의 저자와 다른 경우, 제목 옆에 저자를 밝히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저본에서 작은 글씨로 구분된 按, 增 등의 글자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제목이나 원주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의 성격이 달라져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의 결자(缺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어떤 글자인지 알아볼 수 없는 마멸자(磨滅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저본의 묵등(墨等 검게 칠해진 부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밑줄 :교감주, 난외주 등 원주를 제외한 주석의 대상이 되는 표제어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그림 :도식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도’로 표시하고, 소자(小字)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회화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화’로 표시하고 소자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관련 문집

문집명 저자 간행년도 저작시대 DB
죽음집(竹陰集) 조희일(趙希逸) 1681 조선시대 중기 한국문집총간DB
연천집(淵泉集) 홍석주(洪奭周) - 조선시대 후기 한국문집총간DB
만주유집(晩洲遺集) 홍석기(洪錫箕) 1794 조선시대 후기 한국문집총간DB
양서집(瀼西集) 이광윤(李光胤) - 조선시대 중기 한국문집총간DB
임호집(林湖集) 박수검(朴守儉) 1812 조선시대 후기 한국문집총간DB


기사
원문을 보려면 목차를 더블클릭하세요.

문체
문체별로 기사를 필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