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봉집 목록

月峯集
월봉집
月峯集
月峯集
高傅川
고부천
1864
  • 한국문집총간(속) 제19집
  • -
  • 한국고전번역원
  • 본 문집은 공공데이터포털을 통해 구축된 서비스 입니다.

해제 및 일러두기


  • 조선 시대 월봉(月峯) 고부천(高傅川, 1578~1636)의 문집이다. 본집은 현손 고만기(高萬紀)가 1677년 가장초고를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하고 6대손 시좌(時佐)가 1725년 선사한 후, 7대손 휘진(輝鎭)ㆍ면진(勉鎭)과 8대손 제원(濟遠) 등이 1861년 6대손 시홍(時鴻)의 교정과 기정진(奇正鎭)의 산정을 거쳐 1864년경 목판으로 간행하였다. 본집은 9권 1책이다. 권수에는 서(序), 전교, 예부 복제가 수록되어 있다. 권1은 시이고 권2는 정문으로서 시, 표, 논이다. 그중에서〈곽자의궁사극치지론(郭子儀窮奢極侈之論)〉은 향시에서 수석한 글로서, 곽자의가 사치스러운 생활을 했던 것은 시대적인 상황 때문에 부득이 그러했던 것이므로 후세 사람들이 본받을 일이 아니라고 말하였다. 권3은 소차와 계사이고, 권4는 응제록으로서 제문, 축문, 교서이다. 권5는 하대표(河大豹)에 대한 묘갈문이고 권6~8은 부록이다. 권9는 연보로서 1578년 저자의 출생에서 1861년 후손들이 유집을 정리한 기사까지 수록되어 있다. 권말에는 현손 고만기(高萬紀)가 1737년에 지은 것, 6대손 고시좌가 1785년에 지은 것 등 4편의 발이 수록되어 있다.

    상세해제 보기


  • ○ 本集은 月峯 高傅川(1578:宣祖11 ~ 1636:仁祖14)의 文集이다.
    ○ 本集은 著者의 玄孫 萬紀가 1677年 家藏草稿를 바탕으로 蒐集ㆍ編次하고 6代孫 時佐가 1725年 善寫한 후, 7代孫 輝鎭ㆍ勉鎭과 8代孫 濟遠 등이 1861年 6代孫 時鴻의 校正과 奇正鎭의 刪定을 거쳐 1864年頃 木板으로 刊行한 初刊本이다.
    ○ 分量은 9卷 1冊으로 總 109板이다.
    ○ 本 影印底本은 國立中央圖書館藏本(圖書番號:한46-가453)으로서 半葉은 10行 20字이고 半郭의 크기는 21.8×17.2(cm)이다.
    ○ 本集의 標點者는 趙昌來이고 監修者는 成百曉이다.



    한국문집총간 DB에서 사용된 부호는 다음과 같다.
    。 :문장 안에서 구(句)나 절(節)의 구분이 필요한 곳과 문장의 끝에 사용하였다.
       묘도문이나 부(賦), 사(辭) 등에서 銘曰, 辭曰 등의 뒤에 사용하였다.
       대구(對句), 연구(聯句) 등 운문의 각 구마다 원주로 저자를 표시한 경우, 각 구의 끝뿐 아니라 원주 뒤에도 사용하였다.
    , :인명, 지명, 관직명, 서명 등이 나열되어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에 없는 제목이나 본문 내용을 생성하였을 때 사용하였다.
       글의 저자가 문집의 저자와 다른 경우, 제목 옆에 저자를 밝히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저본에서 작은 글씨로 구분된 按, 增 등의 글자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제목이나 원주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의 성격이 달라져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의 결자(缺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어떤 글자인지 알아볼 수 없는 마멸자(磨滅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저본의 묵등(墨等 검게 칠해진 부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밑줄 :교감주, 난외주 등 원주를 제외한 주석의 대상이 되는 표제어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그림 :도식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도’로 표시하고, 소자(小字)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회화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화’로 표시하고 소자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관련 문집

문집명 저자 간행년도 저작시대 DB
월봉집(月峰集) 고부천(高傅川) - 조선시대 중기 한국역대문집DB
천묵유고(天默遺稿) 이상형(李尙馨) 1713 조선시대 중기 한국문집총간DB
수북유고(水北遺稿) 김광현(金光炫) 1805 조선시대 중기 한국문집총간DB
계곡집(谿谷集) 장유(張維) 1643 조선시대 중기 한국문집총간DB
현주집(玄洲集) 윤신지(尹新之) - 조선시대 중기 한국문집총간DB
지천집(遲川集) 최명길(崔鳴吉) 1664 조선시대 중기 한국문집총간DB


기사
원문을 보려면 목차를 더블클릭하세요.

문체
문체별로 기사를 필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