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담집 목록

秋潭集
추담집
-
-
兪瑒
유창
  • 한국문집총간(속) 제33집
  • -
  • 한국고전번역원
  • 본 문집은 공공데이터포털을 통해 구축된 서비스 입니다.

해제 및 일러두기


  • 조선 시대 추담(秋潭) 유창(兪瑒, 1614~1690)의 문집이다. 본집은 목판(木板)으로 간행된 초간본으로 그 간행경위는 분명하지 않다. 본집은 4권 4책으로 되어 있다. 권수에 송시열(宋時烈)과 박세채(朴世采)가 각각 1681년과 1682년에 지은 한거록서(閑居錄序)가 있고, 각 권마다 목록이 실려 있다. 권원(卷元)~형(亨)은 시로, 시체에 관계없이 대체로 저작 연대순에 따라 편차되어 있다. 권형(卷亨)의 마지막 부분에는 《한거록(閑居錄)》에 실려 있는 시들이 수록되어 있다. 통신사로 일본에 다녀올 때 지은 시들이 상당하다. 권이(卷利)는 소차로 대부분 관직과 품계를 사양하거나 사직하는 상소이다. 권정(卷貞)은 계사, 서(書), 서기, 제문, 가장, 묘지명, 책문, 잡저이다. 특히 계사 가운데 첫 번째 〈피혐계사(避嫌啓辭)〉는 1654년 열무로 인해 백성들이 원망하고 비방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될 것이라 경계하며 언로를 막지 말아 달라고 청하는 내용이고, 잡저 가운데 〈설빈옹자서(雪鬢翁自敍)〉는 저자 나이 76세인 1689년에 지은 것으로 ‘설빈옹(雪鬢翁)’이라 자호한 경위와 당론을 경계하고 안분자족을 삶의 지표로 하였다는 것을 서술하였다.

    상세해제 보기


  • ○ 本集은 秋潭 兪 瑒(1614:光海君6 ~ 1690:肅宗16)의 文集이다.
    ○ 本集은 木板으로 刊行된 初刊本으로 그 刊行經緯는 分明하지 않다.
    ○ 分量은 4卷 4册으로 總 316板이다.
    ○ 本 影印底本은 서울大學校 奎章閣藏本(圖書番號:古3428-144)으로서 半葉은 10行 20字이고 半郭의 크기는 22.9×18.0(cm)이다.
    ○ 本 影印底本 중 卷貞의 第21ㆍ22板은 狀態가 不良하고、 第59ㆍ60板은 落張이므로 同一本인 全南大學校 中央圖書館藏本(圖書番號:OC4B1추221ㅇ)으로 代替ㆍ補完하였으며、 卷貞의 第50板과 第51板은 錯簡되어 있어 이를 바로잡았다.
    ○ 本集의 標點者는 吳圭根이고 監修者는 梁鴻烈이다.



    한국문집총간 DB에서 사용된 부호는 다음과 같다.
    。 :문장 안에서 구(句)나 절(節)의 구분이 필요한 곳과 문장의 끝에 사용하였다.
       묘도문이나 부(賦), 사(辭) 등에서 銘曰, 辭曰 등의 뒤에 사용하였다.
       대구(對句), 연구(聯句) 등 운문의 각 구마다 원주로 저자를 표시한 경우, 각 구의 끝뿐 아니라 원주 뒤에도 사용하였다.
    , :인명, 지명, 관직명, 서명 등이 나열되어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에 없는 제목이나 본문 내용을 생성하였을 때 사용하였다.
       글의 저자가 문집의 저자와 다른 경우, 제목 옆에 저자를 밝히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저본에서 작은 글씨로 구분된 按, 增 등의 글자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제목이나 원주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의 성격이 달라져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의 결자(缺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어떤 글자인지 알아볼 수 없는 마멸자(磨滅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저본의 묵등(墨等 검게 칠해진 부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밑줄 :교감주, 난외주 등 원주를 제외한 주석의 대상이 되는 표제어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그림 :도식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도’로 표시하고, 소자(小字)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회화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화’로 표시하고 소자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관련 문집

문집명 저자 간행년도 저작시대 DB
송자대전(宋子大全) 송시열(宋時烈) 1901 조선시대 후기 한국문집총간DB
남계집(南溪集) 박세채(朴世采) 1732 조선시대 후기 한국문집총간DB


기사
원문을 보려면 목차를 더블클릭하세요.

문체
문체별로 기사를 필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