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계유고 목록

東溪遺稿
동계유고
東溪遺稿
東溪遺稿
李英輔
이영보
1759
  • 한국문집총간(속) 제68집
  • -
  • 한국고전번역원
  • 본 문집은 공공데이터포털을 통해 구축된 서비스 입니다.

해제 및 일러두기


  • 조선 시대 동계거사(東溪居士) 이영보(李英輔, 1687~1747)의 문집이다. 본집은 저자의 아들 광원(廣源)ㆍ술원(述源)이 수집하여 남유용(南有容)의 편차를 받아 1759년 경 운각활자(芸閣活字)로 인행한 초간본으로서 아우 문보(文輔)의 《대관유고(大觀遺稿)》가 부집되어 있다. 본집은 4권 2책으로 되어 있다. 권두에 남유용이 1759년에 지은 서(序)가 있고, 각 권별로 목록이 있다. 권1~3은 시(詩)이다. 저자의 시 중에는 연작이 적지 않은데, 다수의 팔경시(八景詩)를 비롯하여 금강산 유람시(遊覽詩) 등이 있다. 권4는 서(書), 서(序), 기(記), 잡저, 행장, 제문, 애사이다. 서(書)는 유척기(兪拓基), 이천보(李天輔), 남유용(南有容)에게 보낸 것이다. 서(序)는 32세 무렵 그간 지은 시를 정리하며 쓴 〈시고자서(詩稿自序)〉이다. 잡저 가운데 〈서망우김군회포효정문후(書亡友金君晦褒孝呈文後)〉는 벗 김환(金晥)이 효행으로 지평에 추증된 일을 기념하는 글이다. 이밖에 이인좌(李麟佐)의 난에 순절한 남연년(南延年), 이봉상(李鳳祥), 홍림(洪霖)의 위패를 청주(淸州) 충열사(忠烈祠)에 봉안한 경위를 밝힌 글이 있다.

    상세해제 보기


  • ○ 本集은 東溪 李英輔(1687 : 肅宗 13 ~ 1747 : 英祖 23)의 文集이다.
    ○ 本集은 著者의 子 廣源ㆍ述源이 蒐集하여 南有容의 編次를 받아 1759년 경 芸閣活字로 印行한 初刊本으로서 著者의 弟 文輔의 大觀遺稿가 附集되어 있다.
    ○ 分量은 4卷 2冊으로 總 158板이다.
    ○ 이 중 附集인 大觀遺稿(10板)은 本 叢刊의 編輯方針에 따라 收錄對象에서 제외하였다. 따라서 收錄分은 總 148板이다.
    ○ 本 影印底本은 서울大學校 奎章閣 藏本(圖書番號 : 奎5287)으로서 半葉은 10行 20字이고 半郭의 크기는 21.9×14.9(cm)이다.
    ○ 本集의 標點者는 李承昌이고, 監修者는 梁鴻烈이다.



    한국문집총간 DB에서 사용된 부호는 다음과 같다.
    。 :문장 안에서 구(句)나 절(節)의 구분이 필요한 곳과 문장의 끝에 사용하였다.
       묘도문이나 부(賦), 사(辭) 등에서 銘曰, 辭曰 등의 뒤에 사용하였다.
       대구(對句), 연구(聯句) 등 운문의 각 구마다 원주로 저자를 표시한 경우, 각 구의 끝뿐 아니라 원주 뒤에도 사용하였다.
    , :인명, 지명, 관직명, 서명 등이 나열되어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에 없는 제목이나 본문 내용을 생성하였을 때 사용하였다.
       글의 저자가 문집의 저자와 다른 경우, 제목 옆에 저자를 밝히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저본에서 작은 글씨로 구분된 按, 增 등의 글자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제목이나 원주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의 성격이 달라져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의 결자(缺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어떤 글자인지 알아볼 수 없는 마멸자(磨滅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저본의 묵등(墨等 검게 칠해진 부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밑줄 :교감주, 난외주 등 원주를 제외한 주석의 대상이 되는 표제어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그림 :도식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도’로 표시하고, 소자(小字)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회화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화’로 표시하고 소자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관련 문집

문집명 저자 간행년도 저작시대 DB
뇌연집(雷淵集) 남유용(南有容) 1783 조선시대 후기 한국문집총간DB


기사
원문을 보려면 목차를 더블클릭하세요.

문체
문체별로 기사를 필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