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야집 목록

大埜集
대야집
大埜文集
大埜集
柳健休
유건휴
  • 한국문집총간(속) 제110집
  • -
  • 한국고전번역원
  • 본 문집은 공공데이터포털을 통해 구축된 서비스 입니다.

해제 및 일러두기


  • 조선 시대 대야(大埜) 유건휴(柳健休, 1768~1834)의 문집이다. 저자의 종손 치덕(致德)이 유문을 수습 정리하여 5책으로 편성하고, 유치명 및 그의 문인 유치유(柳致游)와 이병하(李秉夏) 등에게 교정을 받은 뒤, 검토가 더 필요한 부분은 직접 교정하여 1857년 목판으로 문집을 간행하였다. 본집은 10권 5책으로 되어 있다. 권수에 목록이 수록되어 있다. 권6의 뒷부분~8은 잡저이다. 〈암재어록(巖齋語錄)〉은 스승인 유장원에게 나아가 들은 일상의 몸가짐부터 공부의 방법 및 시사에 이르기까지의 가르침을 대체로 질의응답의 형식으로 기술하였다. 〈설경헌독서록의의(薛敬軒讀書錄疑義)〉는 설선(薛瑄)이 지은 《독서록》에서 의심스러운 부분이나 선가(禪家)의 이론과 흡사한 부분을 열거하고 경서나 주자ㆍ정자의 설을 비교하여 정리한 내용이고, 〈독한남당인심도심설변(讀韓南塘人心道心說辨)〉은 한원진(韓元震)이 이기호발론(理氣互發論) 등을 비판한데 대해 반박하여 이론을 제시한 내용이다. 부록에는 이병운(李秉運), 김희수(金羲壽) 등의 만사(輓詞), 박시원(朴時源)의 뇌문(誄文), 이병원, 이병하 등 7인의 제문, 유치명(柳致明)의 행장이 수록되어 있다.

    상세해제 보기


  • ○ 本集은 大埜 柳健休(1768:英祖44~1834:純祖34)의 文集이다.
    ○ 本集은 家藏草稿를 바탕으로 蒐集ㆍ編次하여 木板으로 刊行한 初刊本으로 그 刊行經緯는 分明하지 않다.
    ○ 分量은 10卷 5册으로 總 399板이다.
    ○ 本 影印底本은 延世大學校 學術情報院藏本(圖書番號:811.98/유건휴)으로서 半葉은 10行 20字이고 半郭의 크기는 20.4×16.0(cm)이다.
    ○ 本 影印底本 중 卷5의 第39板과 第40板, 卷9의 第3板과 第4板은 錯簡되어 있어 바로잡았다. 그리고 卷6의 第22板과 卷7의 第3板은 狀態가 不良하여 同一本인 國立中央圖書館藏本(圖書番號:한46-가1728)으로 代替하였다.
    ○ 本集의 標點者는 吳圭根이고 監修者는 趙昌來이다.



    한국문집총간 DB에서 사용된 부호는 다음과 같다.
    。 :문장 안에서 구(句)나 절(節)의 구분이 필요한 곳과 문장의 끝에 사용하였다.
       묘도문이나 부(賦), 사(辭) 등에서 銘曰, 辭曰 등의 뒤에 사용하였다.
       대구(對句), 연구(聯句) 등 운문의 각 구마다 원주로 저자를 표시한 경우, 각 구의 끝뿐 아니라 원주 뒤에도 사용하였다.
    , :인명, 지명, 관직명, 서명 등이 나열되어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에 없는 제목이나 본문 내용을 생성하였을 때 사용하였다.
       글의 저자가 문집의 저자와 다른 경우, 제목 옆에 저자를 밝히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저본에서 작은 글씨로 구분된 按, 增 등의 글자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제목이나 원주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의 성격이 달라져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의 결자(缺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어떤 글자인지 알아볼 수 없는 마멸자(磨滅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저본의 묵등(墨等 검게 칠해진 부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밑줄 :교감주, 난외주 등 원주를 제외한 주석의 대상이 되는 표제어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그림 :도식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도’로 표시하고, 소자(小字)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회화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화’로 표시하고 소자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관련 문집

문집명 저자 간행년도 저작시대 DB
운곡집(雲谷集) 이희발(李羲發) 1899 조선시대 후기 한국문집총간DB
일포집(逸圃集) 박시원(朴時源) - 조선시대 후기 한국문집총간DB
정재집(定齋集) 유치명(柳致明) 1883 조선시대 후기 한국문집총간DB
소암집(所菴集) 이병원(李秉遠) 1904 조선시대 후기 한국문집총간DB


기사
원문을 보려면 목차를 더블클릭하세요.

문체
문체별로 기사를 필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