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재집 목록
景齋集
경재집
-
-
|
|
禹成圭
우성규
|
|
1911 | |
|
해제 및 일러두기
조선 시대 경재(景齋) 우성규(禹成圭, 1830~1905)의 문집이다. 저자의 문집은 족손 택와(擇窩) 하철(夏轍)이 가장(家狀)을 작성하고, 족질 성동(成東)과 기동(畿東)이 심석재(心石齋) 송병순(宋秉珣)에게 묘갈명을 받고, 박승동(朴昇東)에게 행장을 받았으나 서발문 등 간행과 관련된 자료가 없어 명확한 편찬 경위는 알 수 없고, 1911년 사림의 지원을 받아 목활자로 인행하였다. 본집은 14권 5책으로 되어 있다. 권수에 목록이 있으며, 별도의 서발문은 없다. 권1~2는 시(詩)이다. 연도순으로 편차되어 있으며 연작시, 유람시, 차운시, 만시 등이 있다. 권13은 명(銘), 잠(箴), 찬(贊), 전(箋), 상량문(上樑文), 축문(祝文), 제문(祭文), 묘갈문(墓碣文), 행장(行狀)이다. 명은 강학소인 열락당, 병풍의 효제충신예의염치(孝悌忠信禮義廉恥) 등에 대한 것이다. 잠은 1888년에 지은 것으로, 1850년 경술년에 부친이 관즐(盥櫛)할 때 빗이 매우 낡았던 것을 기억하며 부친의 검약한 규모를 기록한 〈소잠(梳箴)〉이다. 권14는 부록으로 박승동이 지은 행장(行狀)과 송병순이 지은 묘갈명(墓碣銘)이 수록되어 있다.
상세해제 보기
-
○ 本集은 景齋 禹成圭(1830:純祖30~1905:高宗42)의 文集이다.
○ 本集은 家藏草稿를 바탕으로 蒐集ㆍ編次하여 1911年 이후 活字로 印行한 初刊本으로 그 印行經緯는 分明하지 않다.
○ 分量은 14卷 5册으로 總 365板이다.
○ 本 影印底本은 서울大學校 奎章閣藏本(圖書番號:奎5628)으로서 半葉은 10行 20字이고 半郭의 크기는 21.1 X 17.0(cm)이다.
○ 本 影印底本 중 卷5의 第9板은 卷次가 「四」로, 卷11의 第37板은 卷次가 「十二」로, 卷13의 第27板은 卷次가 「七」로, 卷14의 第3ㆍ5板은 卷次가 「四」로 誤記되어 있다.
○ 本集의 標點者는 趙昌來이고 監修者는 吳圭根이다.
한국문집총간 DB에서 사용된 부호는 다음과 같다.
。 :문장 안에서 구(句)나 절(節)의 구분이 필요한 곳과 문장의 끝에 사용하였다.
묘도문이나 부(賦), 사(辭) 등에서 銘曰, 辭曰 등의 뒤에 사용하였다.
대구(對句), 연구(聯句) 등 운문의 각 구마다 원주로 저자를 표시한 경우, 각 구의 끝뿐 아니라 원주 뒤에도 사용하였다.
, :인명, 지명, 관직명, 서명 등이 나열되어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에 없는 제목이나 본문 내용을 생성하였을 때 사용하였다.
글의 저자가 문집의 저자와 다른 경우, 제목 옆에 저자를 밝히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저본에서 작은 글씨로 구분된 按, 增 등의 글자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제목이나 원주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의 성격이 달라져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의 결자(缺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어떤 글자인지 알아볼 수 없는 마멸자(磨滅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저본의 묵등(墨等 검게 칠해진 부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밑줄 :교감주, 난외주 등 원주를 제외한 주석의 대상이 되는 표제어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그림 :도식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도’로 표시하고, 소자(小字)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회화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화’로 표시하고 소자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관련 문집
문집명 | 저자 | 간행년도 | 저작시대 | DB |
---|---|---|---|---|
관련된 문집이 없습니다. |
기사
원문을 보려면 목차를 더블클릭하세요.
|
문체별로 기사를 필터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