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韩国学综合DB
登入加入会员顾客支援
语言变更
...
检索
문집 & 사료 콘텐츠
韩国历代文集DB
韩译高丽史DB
韩日关系史料集成DB
韩国文集丛刊DB
지리역사 콘텐츠
韩国地理风俗誌丛书DB
满蒙地理历史风俗志丛书DB
C
古典翻译书 DB
其他
지명콘텐츠
한국학 연구논문 콘텐츠
登入加入会员顾客支援
语言变更
检索

한국학 연구논문 콘텐츠
MKSDB / DB / 한국학 연구논문 콘텐츠

  • A到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全部
  • DATABASE
  • 종류별
  • 시대별
  • 주제별

韩国研究内容 16776
种类
최근 발행년순
  • 학술지
    |
    양반사회
    |
    조선문화
    조선후기 宮家의 미술사·도시인문학적 의미
    황정연
    2017
    미술자료
    이 논문은 조선후기 書畫收藏이 활발하게 전개된 배경과 주체를 다각도로 규명하고자 궁중과 私家의 중간자적 위치에 있던 宮家의 역할을 조명한 것이다. 궁가의 소장품은 오늘날까지 일부 자료가 전해지는 사례도 있지만, 세대가 거듭될수록 양반가 자료 속에서 궁가의 성격이 희석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英祖의 잠저 彰義宮은 궁가 본연의 성격을 알려주는 소장목록이 남아 있고 서화컬렉션의 재구성이...
    #도시인문학 #조선후기 #서울 #상업의_발달 #궁가 #영조 #창의궁 #日閑齋 #민화 #서화수장 #Urban_Humanities #Joseon_Dynasty #royal_family_households_(宮家) #Chang-eui_Palace_(彰義宮) #King_Yeongjo_(英祖) #folk_painting #art_collection
    阅读更多 查看原文
  • 학술지
    |
    조선문화
    18세기 영조대 양잠정책과 양잠업
    남미혜
    2009
    한국문화연구
    조선시대 양잠업은 농업과 함께 중요한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었으며, 조선전기에는 잠실의 운영과 국가의 적극적인 권잠정책으로 인해 주요 부업으로 성장하고 있었다. 조선후기 양잠정책에 가장 적극적인 관심을 보인 국왕은 영조였다. 영조는 친잠례를 거행하고, 각 도 수령들을 통하여 상목재식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영조대 상목재식 정책은 당시 ‘상정(桑政)’이란 용어로 표현되고 있었는데, 이는 영조대...
    #조선후기 #영조 #권잠정책 #친잠례 #상목재식 #양잠업 #길쌈 #명주 #Joseon_Dynasty_Yeongjo #Chinjam-ryae_ceremony #Sericulture #mulberry_trees_planting_policy #silk_fabric
    阅读更多 查看原文
  • 학술지
    |
    조선문화
    조선시대 능비(陵脾)의 건립과 어필비(御筆脾)의 등장
    황정연
    2009
    문화재
    본 논문은 조선 초·중기, 조선후기, 대한제국기 세 시기로 나누어 조선왕릉에 건립된 신도비와 표석의 시기별 건립추 이와 양식적 특징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왕실 능비(신도비와 표석)는 일반 사대부가와 달리 건립한 시기와 주체, 후계왕의 의도에 따라 시기별 차이를 보이며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15~17세기는 왕릉 신도비의 건립과 재건이 이루어진 시기, 18세기는 신도비가 ...
    #표석 #조선왕릉 #비석 #신도비 #능표 #영조 #고종 #어필 #어필비 #Joseon_royal_tombs #funerary_monuments #monumental_steles #King's_calligraphy #King_Gojong #tombstone_marks #King_Yeongjo
    阅读更多 查看原文
  • 학술지
    |
    조선문화
    英祖 御製와 '風泉', 그리고 '風泉'의 典故化 양상
    조융희
    2008
    장서각
    이 논문에서는 조선후기에 '풍천(風泉)'이 조선 고유의 문학적 술어로 관습화되는 과정을 구명하였다. 『시경(詩經)』의 「비풍(匪風)」과 「하천(下泉)」을 축약하여 만들어진 '풍천'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조선이 명을 높이고 청을 배척하고자 하는 정치적 논리를 마련하는 가운데 탄생된 신조어였다. 이 술어에 대한 검토는 조선 특유의 역사적 국면이 문학적 전개 양상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는 데 중요...
    #英祖御製 #匪風下泉 #風泉 #「寧陵誌文」 #송시열 #노론 #효종 #숙종 #영조 #정조 #King_Yeongjo's_literary_works #bipung-hacheon(or_feifeng-xiaquan) #pungcheon(or_fengquan) #"Epitaph_for_King_Hyojong" #Song_Siyeol #Noron(or_the_Old_Doctrine) #Hyojong #Sukjong #Yeongjo #Jeongjo
    阅读更多 查看原文
  • 학술지
    |
    조선문화
    『국조오례통편』(國朝五禮通編) 의 자료적 특징
    김문식
    2007
    한국문화연구
    This paper was written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 data of Kukjo oryetongpyeon which remains the only book in Ehwa Womans University Library...
    #국조오례통편 #국가전례서 #영조 #정조 #유의양 #친경 #친잠 #경모궁 #현륭원 #Kukjo_orye_tongpyeon(國朝五禮通編) #national_ritual_book #King_Youngjo #Jeongjo #Yu_Eui-yang #Chingyeong #Chinjam #Kyeongmogung_shrine #Hyunryungwon_tomb
    阅读更多 查看原文
  • 학위논문
    | 학위논문
    국내박사학위논문
    |
    조선시대
    朝鮮時代 顯宗, 肅宗, 景宗, 英祖의 疾病에 대한 硏究
    이해웅
    2006
    1. 顯宗(1641-1674)은 19세에 조선조 제 18대 임금으로 즉위하여 15년 3개월 재위하고 34세에 사망하였다. 다발질병은 안질과 종기이고, 특징적인 치료법은 온천욕이 있다. 사인은 패혈증으로 인한 위장관감염증으로 생각된다. 2. 肅宗(1661-...
    #조선시대 #숙종 #현종 #경종 #영조 #질병 #한의학
    阅读更多 查看原文
  • 학위논문
    | 학위논문
    국내박사학위논문
    |
    조선시대
    朝鮮 肅宗∼英祖代 近畿地域 老論學脈 硏究
    조준호
    2004
    이 연구는 조선후기 지배세력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인조반정으로 西人이 집권하고, 숙종대 자체적인 분열을 거쳐 결집한 老論은 宋時烈, 閔維重, 金壽恒 등 산림과 척신이 결합한 형태였다. 노론은 閥閱의 핵심을 구성하며 근기지역을 중심으로 유력한 정치세력...
    #조선 #숙종 #영조 #근기지역 #노론학 #조선시대
    阅读更多 查看原文
  • 학위논문
    | 학위논문
    국내석사학위논문
    |
    실학사상
    英ㆍ正組時代 彩色花鳥畵의 硏究
    문자련
    1999
    In the periods of the king Young Jo and Jeong Jo (1725-1800), We^n - je^n hua(文人畵) and Southern School Painting(南宗畵) had become to be in fashio...
    #영조 #정조 #채색화조화
    阅读更多 查看原文
  • 학위논문
    | 학위논문
    국내석사학위논문
    |
    실학사상
    實學思想이 英.正祖時代 繪畵에 미친 影響
    이상국
    1983
    #실학사상 #영조 #정조 #회화
    阅读更多 查看原文

First PagePreview Page1Next PageLast Page총 9건



미디어한국학
公司简介 | 顾客支援 | 使用条款 | 隐私权政策 | 管理局管理页面
MEDIA韩国学 (10881) 경기도 파주시 회동길 445-1 경인빌딩 B동 4층 | 0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