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정연2017미술자료이 논문은 조선후기 書畫收藏이 활발하게 전개된 배경과 주체를 다각도로 규명하고자 궁중과 私家의 중간자적 위치에 있던 宮家의 역할을 조명한 것이다. 궁가의 소장품은 오늘날까지 일부 자료가 전해지는 사례도 있지만, 세대가 거듭될수록 양반가 자료 속에서 궁가의 성격이 희석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英祖의 잠저 彰義宮은 궁가 본연의 성격을 알려주는 소장목록이 남아 있고 서화컬렉션의 재구성이...
-
남미혜2009한국문화연구조선시대 양잠업은 농업과 함께 중요한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었으며, 조선전기에는 잠실의 운영과 국가의 적극적인 권잠정책으로 인해 주요 부업으로 성장하고 있었다. 조선후기 양잠정책에 가장 적극적인 관심을 보인 국왕은 영조였다. 영조는 친잠례를 거행하고, 각 도 수령들을 통하여 상목재식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영조대 상목재식 정책은 당시 ‘상정(桑政)’이란 용어로 표현되고 있었는데, 이는 영조대...
-
황정연2009문화재본 논문은 조선 초·중기, 조선후기, 대한제국기 세 시기로 나누어 조선왕릉에 건립된 신도비와 표석의 시기별 건립추 이와 양식적 특징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왕실 능비(신도비와 표석)는 일반 사대부가와 달리 건립한 시기와 주체, 후계왕의 의도에 따라 시기별 차이를 보이며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15~17세기는 왕릉 신도비의 건립과 재건이 이루어진 시기, 18세기는 신도비가 ...
-
조융희2008장서각이 논문에서는 조선후기에 '풍천(風泉)'이 조선 고유의 문학적 술어로 관습화되는 과정을 구명하였다. 『시경(詩經)』의 「비풍(匪風)」과 「하천(下泉)」을 축약하여 만들어진 '풍천'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조선이 명을 높이고 청을 배척하고자 하는 정치적 논리를 마련하는 가운데 탄생된 신조어였다. 이 술어에 대한 검토는 조선 특유의 역사적 국면이 문학적 전개 양상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는 데 중요...
-
김문식2007한국문화연구This paper was written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 data of Kukjo oryetongpyeon which remains the only book in Ehwa Womans University Library...
-
이해웅20061. 顯宗(1641-1674)은 19세에 조선조 제 18대 임금으로 즉위하여 15년 3개월 재위하고 34세에 사망하였다. 다발질병은 안질과 종기이고, 특징적인 치료법은 온천욕이 있다. 사인은 패혈증으로 인한 위장관감염증으로 생각된다. 2. 肅宗(1661-...
-
조준호2004이 연구는 조선후기 지배세력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인조반정으로 西人이 집권하고, 숙종대 자체적인 분열을 거쳐 결집한 老論은 宋時烈, 閔維重, 金壽恒 등 산림과 척신이 결합한 형태였다. 노론은 閥閱의 핵심을 구성하며 근기지역을 중심으로 유력한 정치세력...
-
문자련1999In the periods of the king Young Jo and Jeong Jo (1725-1800), We^n - je^n hua(文人畵) and Southern School Painting(南宗畵) had become to be in fashio...
-
이상국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