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석진영2020조선시대 궁궐에서는 국가의 존립과 왕실의 정통성을 유지하기 위해 많은 연향을 거행하였다. 왕실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연향은 표면적으로 국가의 안정과 백성과의 화합을 위한 것이었지만, 왕가의 위엄성을 공식화하기 위한 절차였다. 궁궐에서 거행된 宴享은 豊庭宴, 進宴, 進饌, 進爵 등이 있다. 궁궐에서 경축을 의미하는 잔치로는 주로 진연이 열렸으며 설날, 추석, 생일 등에 주로 열렸다. 잔치의 主賓이...
-
이현주2019戰國시대 楚나라를 중심으로 하여 중국의 남방 문학을 대표하는 《楚辭》는 북방 문학의 《詩經》과 그 위상이 높으며 후세의 동아시아 고전 문학에 끼친 영향도 광대하다. 본 논문은 屈原을 중심축으로 하는 《초사》가 조선시대 漢文四大家로 알려진 ‘月象谿澤’의 문학 속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봄으로써 네 사람의 굴원 수용 양상을 조망하고자 한다. 本文從《楚辭》對韓國古典文學的影響入手,考察了...
-
유승희2018서울과 역사본 논문은 지난 60년간의 서울 연구 성과의 동향을 조선시대를 중심 으로 종합적으로 고찰해 본 것이다. 서울 역사 연구는 한국사 연구의 흐름 속에서 진행되었다. 1960년대 서울 지역 문화유산에 대한 고증에 서 시작되어 1970, 80년대에는 사회경제사 연구의 일환으로 서울의 상 업양상이 연구되었다. 1990년부터 최근까지는 문화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조선시대 서울을 미시적으로 접근하려는 추...
-
박종기2017한국학논총이 논문은 조선시기에 편찬된 관찬 지리지인『고려사』지리지, 『세종실록』지리지, 『신중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문헌비고』 「여지고」를 대상으로 섬 관련 기록을 분석하여 섬을 어떻게 인식하고, 그에 대한 개발과 이용에 대하여 어떠한 생각을 하였는지를 고...
-
김경록2017군사The Ming Dynasty is the history of Chinese lasted by Han established unified dynasty, in its founding to destruction in more than 200 years, th...
-
구도영2017東北亞歷史論叢본 연구는 조선 전기 조선 의주와 요동의 요양을 오간 조선 호송군에 주목하여, 호송군의 활동을 파악하고 그간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조선 전기 변경사 연구의 지평을 확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선 전기 조명외교에서 호송군이란 명(明)의 북경(北京)으...
-
엄기표2017문화재양주 회암사는 늦어도 고려시대에는 창건되었으며, 고려말기부터 조선초기까지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면서 크게 중창되어 대찰의 면모를 갖추었다. 특히 당대의 고승이었던 지공선사, 선각왕사 혜근, 무학대사 등과 인연을 맺으면서 여러 번 지속적으로 중창되었다. 그에 따라 회암사는 조선전기 불교계의 중심으로서 불교문화를 선도하는 사찰이었다. 이러한 회암사는 조선후기에 소실된 이후 1997년부터 여러 차례...
-
김보현2017本論文は拙稿「日帝强占期韓半島刊行短歌と俳句研究-1930年代朝鮮色談 論と創作物を中心に-」を発展させた研究として、植民地期朝鮮と台湾で行われた 日本伝統詩歌ジャンルについて論じたものである。 日本の植民支配にとも...
-
Ts, 체렝도르지2016아시아문화연구14세기 말 경 중원(中原)에 대한 몽골제국의 지배체제가 무너진 것은 사실이지만, 고지(故地)인 몽골초원으로 돌아온 몽골인들은 계속해서 독립적으로 존속했으며, 18세기 중반까지 동아시아뿐 아니라 중앙아시아 어떤 때는 멀리 서아시아까지 영향을 끼쳤다. 몽골인...
-
성해준2016退溪學論叢우리나라의 『맹자』사상 인식과 실효적인 수용은 일부 혁신적인 정치사상가가 주목한 고려시대 후기부터이다. 그 후 조선시대에는 『孟子』가본격적으로 수용되어 정치와 사회전반에 적용되었다. 특히 주자학 수용과 함께 『』맹자..도 유가사상 학습을 위한 필수교재가 되었다. 退溪의 『孟子釋義』을 시작으로 李瀷의 聖人의 의지를 이해하려고 하면 반드시 『맹자』로부터 시작하여야 한다는 주장은 『맹자』가 보다 널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