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렴의 양식과 삶의 자리 연구 = A Study on Form and Seat in Life of Boryeo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718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oryeom is known as a southern folk song. But according to Jang, Sa-Hoon, a researcher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oryeom was a song of Sadangpae, a group of professional music artists. As one of Sadangpae’s songs, Boryeom has a modal characterist...

      Boryeom is known as a southern folk song. But according to Jang, Sa-Hoon, a researcher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oryeom was a song of Sadangpae, a group of professional music artists. As one of Sadangpae’s songs, Boryeom has a modal characteristics. It is a lylic lines of glorification. By the way, the lylic lines of glorification is a modal characteristics of a poetry of the Royal Court in the Koryo dynasty. If it is so, We can say Boryeom belongs to the Koryo Court’s poetry. In the Korean history, the Court’s poetry has began in the King Yuri of Silla dynasy. From the Silla to the Choseon dynasty, the Court’s poetry has performed in the Court for the public peace of the nation. The writer of Court's poetry was Hwarang, an elite youth corps of Silla. But after the fall of Silla, the writer of Court’s poetry in the Koryo was changed to the Buddhist layman which was a descendent of Hwarang. After the fall of Koryo, the Buddhist layman has changed to the wandering artist, and they gathered Sadang which has no place of residence. The Buddhist layman and Sadang worked together, and sold their art for their living. They were called as a Sadangpae. Boryeom was one of their repertory pie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사당패의 소리인 보렴은 남도민요로 알려져 있으나, 보렴의 양식적 특징인 송도지사나 불가어로 미루어볼 때, 팔관회나 연등회 등 고려의 궁정악에서 사용된 악장일 가능성이 있다. 한국의 ...

      사당패의 소리인 보렴은 남도민요로 알려져 있으나, 보렴의 양식적 특징인 송도지사나 불가어로 미루어볼 때, 팔관회나 연등회 등 고려의 궁정악에서 사용된 악장일 가능성이 있다. 한국의 악장은 신라 유리왕 때의 <도솔가>에서 비롯되었다. 유리왕의 <도솔가>는 가사가 전해지는 것은 아니지만, <도솔가>를 지은 계기가 민속환강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태평성대를 기원하는 고려나 조선의 악장과 그 성격이 다르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신라 악장과 달리 고려 악장은 당악의 영향을 받아서 노랫말의 길이가 길어지고 그 서두에 송도지사를 지니고 있다는 양식적 특징이 있다. <정석가>, <동동>, <처용가>가 그러한데, 보렴도 고려의 악장과 같은 양식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원래는 고려의 악장이었으리라 생각된다. 보렴의 노랫말을 살펴보면, 보렴은 불교와 도교, 그리고 민속신앙을 하나로 융합하고 있으며, 임금을 비롯한 관리들의 이름을 나열하고 있다. 이것은 이들 종교를 이용하여 왕실을 보호하고 왕권을 신성화하려고 한 고려왕조의 종교정책과 관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보렴이란 말은 보시염불 혹은 염보불은의 약자로 알려져 있지만, 보은을 위해 칭명하고 칭념하는 대상이 부처에 그치지 않고 도교와 민속신앙의 신격이나 왕과 왕비 이하 국가관리에까지 이르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보렴이란 말은 보시염불의 약자가 아니라 보은칭념의 준말로 보아야 할 것이다. 신라의 악장을 만든 사람은 화랑이었고, 고려에서도 화랑의 후예인 거사가 궁정의 가무백희를 담당하였다. 전통종교의 사제인 국선과 화랑은 불교와 융합하는 과정에서 연승, 거사 등의 이름으로 바뀌어 불리기도 했다는 점, 그리고 고려의 악장인 보렴이 사당패소리로 전승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사당패는 화랑의 후예인 거사배가 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불교의 지위가 변화됨에 따라 화랑과 그 후예들인 거사배는 사당과 어울려 노래와 악기와 춤으로 시주를 받거나 유랑예인이 되어 소리를 팔기도했다. 이 거사사당패가 사당패가 되어 전승한 소리 가운데 하나가 보렴인데, 보렴의 양식적 특징인 송도지사는 보렴이 원래 고려의 궁정악 악장이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사당패의 놀이 가운데 하나인 덧뵈기도 산대계의 놀이라는 점, 그리고 가면극의 등장인물이 승려가 아니라 거사와 사당패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은 화랑과 그 후예인 거사사당패가 참여한 궁정의 산대잡극에서 민속극인 가면극이 나왔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서로 다른 종교의 사상이나 어휘를 융합하는 악장의 창작방식은 신라와 고려를 거쳐 조선 초의 악장에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이 악장의 창작방식을 이어받은 것이 사당패소리에서 비롯된 잡가의 창작방식이라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대문, "화랑세기" 소나무 1999

      2 이종욱, "화랑" 휴머니스트 2003

      3 김승찬, "혜성가 , In 향가문학론" 새문사 1986

      4 Sagan, Carl, "혜성" 해냄 2003

      5 Pepper, David, "현대환경론" 한길사 1994

      6 손인애, "향토민요에 수용된 사당패소리" 민속원 2007

      7 홍기문, "향가해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학원 1956

      8 신재홍, "향가의 해석" 집문당 2002

      9 엄국현, "향가의 개념과 한국시의 구조" 위덕대학교 부설 신라학연구소 3 : 1999

      10 박범훈, "향가와 민요에 나타난 정토사상에 관한 연구" 한국정토학회 4 : 2001

      1 김대문, "화랑세기" 소나무 1999

      2 이종욱, "화랑" 휴머니스트 2003

      3 김승찬, "혜성가 , In 향가문학론" 새문사 1986

      4 Sagan, Carl, "혜성" 해냄 2003

      5 Pepper, David, "현대환경론" 한길사 1994

      6 손인애, "향토민요에 수용된 사당패소리" 민속원 2007

      7 홍기문, "향가해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학원 1956

      8 신재홍, "향가의 해석" 집문당 2002

      9 엄국현, "향가의 개념과 한국시의 구조" 위덕대학교 부설 신라학연구소 3 : 1999

      10 박범훈, "향가와 민요에 나타난 정토사상에 관한 연구" 한국정토학회 4 : 2001

      11 김완진, "향가와 고려가요"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12 정렬모, "향가연구" 사회과학원출판사 1995

      13 지헌영, "향가여요신석" 정음사 1947

      14 유창균, "향가비해" 형설출판사 1994

      15 윤철규, "한자의 기원" 이다미디어 2009

      16 권오성, "한민족음악론" 학문사 1999

      17 정재호, "한국잡가전집 4" 계명문화사 1998

      18 전경욱, "한국의 전통연희" 학고재 2012

      19 황경숙, "한국의 벽사의례와 연희문화" 월인 2000

      20 박미경, "한국의 무속과 음악" 세종출판사 1996

      21 이혜구, "한국음악연구" 국민음악연구회 1957

      22 이혜구, "한국음악서설" 서울대학교출판부 1985

      23 이강렬, "한국연희사" 보건신문사 1988

      24 이두현, "한국연극사(개정판)" 학연사 1997

      25 엄국현, "한국시가의 양식비평적 연구" 한국문학회 (23) : 1998

      26 성호주, "한국시가연구" 제일문화사 1993

      27 한만영, "한국불교음악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84

      28 홍윤식, "한국불교사의 연구" 교문사 1988

      29 望月佳享, "한국민속대사전" 민족문화사 1991

      30 엄국현, "한국고대가요와 어릿광대의 세계" 한국문학회 20 : 1997

      31 김동욱, "한국가요의 연구 속" 이우출판사 1980

      32 이두현, "한국가면극" 서울대학교출판부 1994

      33 신선희, "한국 고대극장의 역사" 열화당 2008

      34 전경욱, "한국 가면극과 그 주변문화" 월인 2007

      35 김혜정, "판소리의 사당패소리 수용 양상-흥보가의 놀보 박타령 대목을 중심으로-" 남도민속학회 (12) : 7-40, 2006

      36 변성환, "판소리 단가의 개념과 범주" 한국어문학회 (97) : 315-346, 2007

      37 조동일, "탈춤의 원리와 역사" 홍성사 1979

      38 엄국현, "청산별곡 연구" 인제대학교 12 (12): 1996

      39 김호성, "천수경의 새로운 이해" 민족사 2006

      40 Shigeru, Nakayama, "중국 점성술의 특징, In 중국 전통문화와 과학" 창작사 1986

      41 김재철, "조선연극사" 동문선 2003

      42 최남선, "조선상식문답(속편), In 육당 최남선 전집 11, 문화 풍속" 도서출판 역락 2003

      43 양주동, "조선고가연구" 박문서관 1942

      44 이보형, "조선 말기 사찰 밖의 불교음악 개관" 한국전통음악학회 (6) : 2005

      45 유창돈, "이조어사전"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7

      46 조득, "이매방 보렴무와 삼북놀이 리듬 채보"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47 양주동, "여요전주" 을유문화사 1963

      48 월호, "아발로키테수와라, In 당신은 나의 연인-월호스님의 천수경 풀이" 운주사 2008

      49 Koch, K., "성서주석의 제방법-양식사학이란 무엇인가" 분도출판사 1984

      50 이보형, "선소리 산타령의 전승 유래와 무형문화재 정책" 한국전통음악학회 (11) : 2010

      51 이형대, "선소리 산타령을 통해 본 잡가의 텍스트 변이와 미적 특질" 한국시가학회 (19) : 299-329, 2005

      52 일연, "삼국유사" 솔출판사 2002

      53 김부식, "삼국사기" 솔출판사 1997

      54 한만영, "산타령에 대한 연구" 도서출판 풍남 1991

      55 장휘주, "사당패의 집단성격과 공연내용에 대한 史的 考察" 한국국악학회 35 : 225-240, 2004

      56 김동화, "불교학개론" 백영사 1967

      57 운허 용하, "불교사전" 동국역경원 1985

      58 최병헌, "불교사상과 신앙" 서울대학교출판부 1995

      59 김삼진, "보렴과 예불문 고찰" 한국국악학회 24 : 1996

      60 이보형, "보렴 장단 리듬 통사구조 연구" 한국고음반 연구회 (16) : 2006

      61 Wellek, Rene, "문학의 이론" 문예출판사 1995

      62 엄국현, "동동 연구" 인제대학교 13 : 1997

      63 엄국현, "도솔가 연구"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3) : 109-140, 2012

      64 김승동, "도교사상사전" 부산대학교출판부 1996

      65 Lohfink, G., "당신은 성서를 어떻게 이해하십니까?-평신도를 위한 양식비평학-" 분도출판사 1985

      66 김진영, "단가집성" 도서출판 월인 2002

      67 현봉 스님, "너는 또 다른 나-현봉 스님의 천수경 강의" 불광출판사 2009

      68 심우성, "남사당패연구" 동화출판공사 1980

      69 윤양석, "남도민요 보렴 가락의 이디엄"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 : 1969

      70 김성혜, "그림으로 보는 중국음악사" 민속원 2010

      71 Dumont, Jean-Paul, "그리스 철학" 한길사 1999

      72 정연탁, "국역 악학궤범 Ⅱ" 민족문화추진회 1983

      73 이탁, "국어학논고" 정음사 1985

      74 장사훈, "국악대사전" 세광음악출판사 1984

      75 장사훈, "국악개요" 정연사 1961

      76 최진원, "국문학과 자연"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81

      77 임기중, "교주 가곡집" 태동출판사 1989

      78 손태도, "광대, 자유로운 예술을 위한 길에 서서 , In 천민 예인의 삶과 예술의 궤적" 두산동아 2007

      79 손태도, "광대 집단의 문화연구1 광대의 가창 문화 (2004년 한국학술원선정 우수학술도서)" 집문당 2003

      80 김수경, "고려처용가의 전승과정 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6

      81 안지원, "고려의 국가 불교의례와 문화"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82 차주환, "고려사 악지" 을유문화사 1986

      83 엄국현, "고려궁정잔치노래와 무녀의 사랑노래"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0 (10): 13-40, 2006

      84 윤이흠, "고려 종교사상의 특성과 흐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85 김헌선, "경기도 도당굿 무가의 현지연구" 집문당 1995

      86 강호선, "개경의 축제, 연등회와 팔관회 , In 고려의 황도 개경" 창작과비평사 2002

      87 김종진, "雜歌의 종교성과 세속성" 불교문화연구원 (57) : 295-318, 2011

      88 小倉進平, "鄕歌及び吏讀の硏究" 경성제국대학 1929

      89 木村淸孝, "華嚴經をよむ , In 화엄경을 읽는다" 불교시대사 2008

      90 望月佳享, "望月 佛敎大辭典 5권" 불광출판사 2000

      91 三品彰英, "新羅花郞の硏究 , In 신라화랑의 연구" 집문당 1995

      92 白川 靜, "字統" 平凡社 1984

      93 엄국현, "『三代目』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1920) : 63-93, 2002

      94 장휘주, "‘사당패’ 관련 名稱에 대한 史的 考察" 한국공연문화학회 0 (0): 363-388,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4-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olog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5-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Center for Korean Stud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Korean Studies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0.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83 1.368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