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맥락으로 본 황금대(黃金臺) 기사의 주제 의식과 그 의미 = The Theme and Meaning of Hwang-Keum-Dae Story in terms of Contex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399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연암의 황금대 관련 기사를 구성하는 외부 맥락에 주목하여 「황금대」와 「황금대기」의 주제의식을 살펴보고 그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본 것이다. 먼저는 황금대의 관습성과 장소 ...

      본고는 연암의 황금대 관련 기사를 구성하는 외부 맥락에 주목하여 「황금대」와 「황금대기」의 주제의식을 살펴보고 그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본 것이다. 먼저는 황금대의 관습성과 장소 신화에 대해 살폈다. 황금대는 유교적 치도(治道)와 복수설치(復讐雪恥)를 실현한 상징적 공간이었다. 황금대 앞에서 후례초현(厚禮招賢)의 임금을 기리거나, 인재가 사라진 현재를 쓸쓸해하거나, 자신을 알아주지 못하는 현실을 슬퍼하는 행위는 조선조 전후기 내내 상투적으로 지속되었다. 황금대는 일종의 성지 순례지의 성격을 갖고 있었으며, 통치 세력의 입장에서는 통치 질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했다. 그런데 연암은 황금대는 없으며 허울좋은 명칭에 불과하다고 한다. 황금대의 역사적 전개를 이해하고 황금대에 대한 인식을 들여다보면, 연암은 장소 신화가 되어버린 황금대의 무장소성을 조롱하고 있었다. 두 번째는 ``노이점``이란 인물의 상징과 소중화주의에 대해 살폈다. 「황금대」를 이끌어가는 중심인물인 노이점은 북벌(北伐)에 집착해 중국[淸]이라면 무조건 배척하고 중화(中華)의 것이라면 무조건 숭배하는 완고한 소중화주의자들을 대표했다. 황금대는 무너지고 그 실체마저 사라져 버렸건만, 노이점은 현재의 실상을 짐짓 외면하고 기를 쓰며 과거의 황금대를 찾아 헤맸다. 연암은 노이점을 내세워 과거의 도그마에 사로잡혀 현재의 실체를 인정하지 못하는 완고한 북벌론자들을 은근히 조롱하였다. 셋째, 황금대의 상징과 복수설치의 허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암은 황금대를 둔 목적이 복수설치(復讐雪恥)라고 보았다. 연암은 황금은 인간의 욕망을 채우기 위한 복수의 도구일 뿐임을 증명함으로써 황금대의 신성성을 파괴하였다. 「황금대기」는 겉으로는 황금에 대한 욕망이 불행한 결과들을 낳았으니 재물을 조심해야 한다는, 지극히 교훈적인 주제를 이야기하였다. 그렇지만 이면에서는 조선 사회가 그토록 숭앙해마지 않는 황금대의 실체를 폭로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었다. 연암에 의해 황금은 복수의 도구가 되었고, 이는 역사적 맥락 속에서 당시 북벌론자들의 복수설치(復讐雪恥)와 연결되었다. 그리하여 황금의 허망함은 곧 황금대의 숭고성을 퇴색시켰고, 이는 기를 쓰고 황금대를 찾아가 연 소왕을 기리며 지금의 강대국 청나라에 복수할 것을 다짐하는 북벌론자들의 허구성을 꼬집는 데로 나아갔다. 「황금대」, 「황금대기」는 당시 가장 강력한 지배 이념이었던 북벌과 소중화주의의 허상을 은근히 비꼬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 작품이라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ubject consciousness of ``Hwang-Keum-Dae-Kee`` in terms of external context containing the articles about it and to consider its meaning. Firstly, the customs and place mythology are researched in it. Hwang Keam Dae is t...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ubject consciousness of ``Hwang-Keum-Dae-Kee`` in terms of external context containing the articles about it and to consider its meaning. Firstly, the customs and place mythology are researched in it. Hwang Keam Dae is the symbolic space of realizing the politics of Confucianism and Bok Soo Seol Ch`ee. There are typical activities, through the whole beginning and later of Chosun dynasty, of reminding the kings of who were incomparably greater than before of regretting for the lack of the intellectual, of sorrowful mind for the reality not to recognize oneself. Hwang Keum Dae is a kind of holy place, functioning as a tool of keeping the ruling political power for ruling authorities. However, Yeon Am claimed that there was no Hwang Keum Dae and it was just a nominal name. According to him, in deeply reviewing the historical process of Hwang Keum Dae and the appreciation of it, he ridiculed the lack of place in real of Hwang Keum Dae just as a place mythology. Secondly, the symbolic person of ``No Lee Jeom`` and ``Little Sinocentrism`` are reviewed. The key man leading ``Hwang-Keum-Dae``, No Lee Jeom, seems to be very cling to conquer the north, so at any reasons he neglects China(Ch`ong dynasty) and respects Middle Kingdom (Myoung dynasty) as a symbolic person of ``Little Sinocentrism``. Hwang Keum Dae was destroyed and disappeared, but No Lee Jeom did not look at the reality, only searching for the past golden ages. Yeon Am, through No Lee Jeom, looked down on the people who claimed conquering the north, having no appreciation of the reality because of their strong past dogmatism. Thirdly, the symbol of Hwang Keum Dae and the illusion of Bok Soo Seol Ch`ee are revealed. Yeon Am claimed that the purpose of Hwang Keum Dae is Bok Soo Seol Ch`ee. According to him, the gold (Hwang Keum) is just a tool to fulfill human desire, so he destroyed the holiness of Hwang Keum Dae. ``Hwang-Keum-Dae-Kee`` appealed the cautionary tale that human desire for the gold (Hwang Keum) causes the tragedy, so people have to be careful of it. However, inside there is revealed the hidden intention to expose the reality of Hwang Keum Dae to be highly respected by the society of Chosun dynasty. By Yoen Am, Hwang Keum became a tool for vengeance, so in the historical context, it was connected with Bok Soo Seol Ch`ee of the people claiming to conquer the north. Therefore, the emptiness of Hwang Keum made the holiness of Hwang Keum Dae faded, and it led the point of criticizing the emptiness of people claiming to conquer the north who eagerly sought for Hwang Keum Dae, missing king So of Yoen dynasty, intending to revenge the current strong Ch`ong dynasty. ``Hwang Keum Dae Kee`` is a problematic work of criticizing the emptiness of conquering the north and little sinocentrism ruling over those tim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민, "황금대기로 본 연암의 글쓰기 방식, In 고전문장론과 연암 박지원" 태학사 2010

      2 "한국고전번역원 홈페이지"

      3 박지원, "지금 조선의 시를 쓰라" 돌베개 2007

      4 에드워드 렐프,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5 심승희, "장소개념의 스펙트럼과 잠재력, In 공간, 장소, 지역의 문화사회학" 2012

      6 서은아, "열하일기에 나타난 황금대의 의미변용과 재화에 대한 연암의 시각" 서울여대국어국문학과 14 : 2006

      7 박지원, "열하일기, 1·2·3" 돌베개 2009

      8 박사호, "심전고(心田稿), In 국역연행록선집 Ⅸ" 민족문화추진회 1989

      9 남권희, "새로 발견된 노이점의 수사록에 대한 서지적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3 : 1995

      10 신흠, "상촌집(象村集)" 민족문화추진회 1990

      1 정민, "황금대기로 본 연암의 글쓰기 방식, In 고전문장론과 연암 박지원" 태학사 2010

      2 "한국고전번역원 홈페이지"

      3 박지원, "지금 조선의 시를 쓰라" 돌베개 2007

      4 에드워드 렐프,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5 심승희, "장소개념의 스펙트럼과 잠재력, In 공간, 장소, 지역의 문화사회학" 2012

      6 서은아, "열하일기에 나타난 황금대의 의미변용과 재화에 대한 연암의 시각" 서울여대국어국문학과 14 : 2006

      7 박지원, "열하일기, 1·2·3" 돌베개 2009

      8 박사호, "심전고(心田稿), In 국역연행록선집 Ⅸ" 민족문화추진회 1989

      9 남권희, "새로 발견된 노이점의 수사록에 대한 서지적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3 : 1995

      10 신흠, "상촌집(象村集)" 민족문화추진회 1990

      11 권연웅, "노이점의 수사록 : 해제 및 원문 표점" 경북사학회 22 : 1999

      12 이해응, "계산기정, In 국역연행록선집 Ⅷ" 민족문화추진회 1989

      13 장유, "계곡집(谿谷集)" 민족문화추진회 1994

      14 조규익, "燕行錄에 반영된 千山·?巫閭山·首陽山의 내재적 의미-燕行 路程 연구의 일환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3 (33): 153-179, 2004

      15 이승수, "對淸 使行과 荊軻의 문학적 형상" 한국한문학회 (36) : 1-17, 2005

      16 서현경, "『열하일기』 정본의 탐색과 서술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17 김동석, "『수사록』연구 : 『열하일기』와 비교연구의 관점에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11-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학연구소 -> 동아시아문화연구소
      영문명 : 미등록 -> Institute for East Asian Cultures
      KCI등재후보
      2009-11-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학논집 -> 동아시아문화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 Journal of East Aisan Cultures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1 0.784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