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國家典禮書의 편찬 양상 = The Trends of Editing National Rituals in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조선시대 국가전례서의 편찬 양상을 검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조선 정부가 중국과 조선의 국가전례서를 편찬하고 보급하는 과정에는 조선의 문화적 특징이 잘 드러난다고 판단하...

      본고는 조선시대 국가전례서의 편찬 양상을 검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조선 정부가 중국과 조선의 국가전례서를 편찬하고 보급하는 과정에는 조선의 문화적 특징이 잘 드러난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洪武禮制』 · 『大明集禮』 · 『大明會典』는 명나라를 대표하는 국가전례서인데, 모두 조선본으로 重刊되었다. 이는 조선 정부가 유교식 국가전례를 제대로 실천하기 위해 時王의 제도인 명나라의 전례를 파악하는 것을 중시했기 때문이다. 『홍무예제』는 15세기에 이용 빈도가 매우 높았다가 16세기 이후로는 급격히 떨어졌다. 반면 『대명집례』와 『대명회전』은 조선시대에서 대한제국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활용되었다.
      조선시대의 국가전례서로는 『國朝五禮儀』 · 『國朝續五禮儀』 · 『國朝續五禮儀補』가 간행되었다. 이와 별도로 『世宗實錄 · 五禮』이 편찬되었지만 필사본으로만 남았다. 『국조오례의』와 『국조속오례의』는 보급률이 매우 높았는데, 이들은 기본적인 국가전례서로 활용되었기 때문이다. 정조대에 편찬된 『國朝五禮通編』과 『春官通考』과 대한제국기에 편찬된 『大韓禮典』은 매우 중요한 내용을 담고 있었지만 필사본으로만 남았기 때문에, 매우 제한된 사람들만 열람할 수 있었다.
      『국조오례의』와 『국조속오례의』는 조선의 기본적인 국가전례서이고, 『대명집례』와 『대명회전』은 새로운 국가전례를 논의할 때 가장 많이 활용되는 전례서였다. 조선의 국왕들은 활용 빈도가 높은 이 네 종의 전례서를 간행하여 보급했는데, 이는 유교식 국가전례의 연구와 실천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d the trends of editing national rituals in Chos?n Dynasty. I think we can see the Chos?n Dynasty's cultural feature well in the course that the Chos?n government edited the chinese and Chos?n's national rituals. Hongmu-ye...

      This paper examined the trends of editing national rituals in Chos?n Dynasty. I think we can see the Chos?n Dynasty's cultural feature well in the course that the Chos?n government edited the chinese and Chos?n's national rituals.
      Hongmu-yeje(Hongwu-lizhi 洪武禮制) and Daemyung-jiblye(Daming-jili 大明集禮), Daemyung-hoijeon(Daming-huidian 大明會典) were the typical national rituals in Ming Dynasty, these books were republished in Chos?n. It's because Chos?n government attached much importance to the Ming Dynasty's rituals to perform the confucian rituals perfectly. Hongmu-yeje was mainly used in the 15th century, but Daemyung-jiblye and Daemyung-hoijeon were used steadily from the 16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The Chos?n government published Gugjo-olyeeui(國朝五禮儀), Gugjo-sokolyeeui(國朝續五禮儀), Gugjo-sokolyeeuibo(國朝續五禮儀補) as the Chos?n Dynasty's rituals. Beside these rituals, the government edited Sejongsillog Olye(世宗實錄 · 五禮) but didn't print the book. Gugjo-olyeeui and Gugjo-sokolyeeui were spreaded widely, so these rituals could be used as a basic national rituals. Gugjo-olyetongpyun(國朝五禮通編) and Chungwan-tonggo(春官通考) edited during King Jeongjo's reign and Daehan-yejeon(大韓禮典) compiled in Great Han Empire were very important national rituals. But these books couldn't be published, a few persons could read and utilize the books.
      Gugjo-olyeeui and Gugjo-sokolyeeui were the basic national rituals in Chos?n Dynasty, Daemyung-jiblye and Daemyung-hoijeon were the most useful rituals when the government wanted to establish the new ritual. Chos?n kings published and spreaded these 4 rituals widely, these books leaded to accelerate the study and performance of confucian rituals in Chos?n Dynas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중국 국가전례서의 重刊
      • Ⅲ. 조선 국가전례서의 간행
      • Ⅳ. 조선 국가전례서의 편찬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중국 국가전례서의 重刊
      • Ⅲ. 조선 국가전례서의 간행
      • Ⅳ. 조선 국가전례서의 편찬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성규, "「陰崖 李耔의 對中國 外交」 음애 이자와 기묘사림" 지식산업사 2004

      2 천혜봉, "「春官通考 解題」 春官通考"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소 1975

      3 鄭肯植, "「大明律 解題」 大明律 直解"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1

      4 김문식, "장지연이 편찬한 『대한예전』" 35 : 2006

      5 김문식, "숙종이 중간한 『대명집례』" 28 : 2004

      6 임민혁, "대한제국기 ??大韓禮典??의 편찬과 황제국 의례" 역사실학회 (34) : 6-6, 2007

      7 "高麗史"

      8 김문식, "高宗의 皇帝 登極儀에 나타난 상징적 함의" 조선시대사학회 (37) : 71-104, 2006

      9 "韋庵集"

      10 "通文館志"

      1 이성규, "「陰崖 李耔의 對中國 外交」 음애 이자와 기묘사림" 지식산업사 2004

      2 천혜봉, "「春官通考 解題」 春官通考"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소 1975

      3 鄭肯植, "「大明律 解題」 大明律 直解"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1

      4 김문식, "장지연이 편찬한 『대한예전』" 35 : 2006

      5 김문식, "숙종이 중간한 『대명집례』" 28 : 2004

      6 임민혁, "대한제국기 ??大韓禮典??의 편찬과 황제국 의례" 역사실학회 (34) : 6-6, 2007

      7 "高麗史"

      8 김문식, "高宗의 皇帝 登極儀에 나타난 상징적 함의" 조선시대사학회 (37) : 71-104, 2006

      9 "韋庵集"

      10 "通文館志"

      11 한형주, "許稠와 태종~세종대 國家儀禮의 정비" 민족문화연구원 (44) : 271-321, 2006

      12 朴竣鎬, "洪武禮制와 朝鮮 初期 公文書 制度" 한국고문서학회 22 : 141-168, 2003

      13 "洪武禮制"

      14 "朝鮮王朝實錄"

      15 金海榮, "朝鮮初期 祭祀典禮 硏究" 集文堂 2003

      16 韓亨周, "朝鮮初期 國家祭禮 硏究" 일조각 2002

      17 "日省錄"

      18 沈瑀俊, "日本訪書志"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

      19 "承政院日記"

      20 "弘齋全書"

      21 "大明集禮"

      22 "大明會典"

      23 "國朝續五禮儀補"

      24 "國朝續五禮儀"

      25 "國朝五禮通編"

      26 "國朝五禮儀"

      27 "四庫全書總目"

      28 김문식, "『국조오례통편(國朝五禮通編)』의 자료적 특징" 한국문화연구원 12 : 65-106, 2007

      29 김지영, "18세기 후반 國家典禮의 정비와『 春官通考』" 114 :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3-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Academy of Korean ->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5-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angseogak -> JANGSEOGAK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7 1.505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