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20~1930년대 "남편"을 통해 본 가족의 변화 -『신여성』과 『별건곤』을 중심으로- = "Husband" and Changes in Family Discourse in the 1920s-193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010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신여성』과 『별건곤』을 중심으로 1920~30년대 가족담론에 나타난 `남편`을 통해 가족관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 연구가 `남편`에 주목하는 이유는 식민지기 매체...

      이 연구의 목적은 『신여성』과 『별건곤』을 중심으로 1920~30년대 가족담론에 나타난 `남편`을 통해 가족관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 연구가 `남편`에 주목하는 이유는 식민지기 매체에서 `남편`이 자주 논해졌는데, 이러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선행연구는 여성의 관점에서만 당시의 가족을 논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는 다음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통해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첫째, `남편`이 등장한 사회적 배경을 조선총독부의 가족정책과 결혼관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매체에서 `남편`은 어떻게 드러나고 있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남편`은 가족 안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총독부는 민적법을 실시하면서 호주권을 강화시켰고, 법률혼주의를 채택하였으며, 기혼여성 즉 아내의 법률적 행위를 남편에게 위임하도록 함으로써 법적 권한을 제한하였다. 이러한 법률적 장치는 남편의 지위와 권리를 강화시키면서 남편에 대한 여성의 종속을 강제하는 효과를 낳았다. 둘째, 성과학 담론은 여성의 성적욕망을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설명하면서, 이것을 `결혼`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여성이 노처녀와 같은 비정상으로 남지 않으려면 `남편`이 있어야 했다. 셋째, 『신여성』과 『별건곤』에서 `남편은 논설, 수필, 소설, 토론회, 탐방기, 만문만화, 설문 등의 매우 다양한 형식으로 비교적 자주 논해졌으나, 이러한 `남편` 이야기는 `남편`으로서의 정체성이나 `남편됨`의 중요성을 논하는 방향으로 흐르지 않았다. 넷째, 법률혼주의는 `제2부인`인 첩이 정식 아내가 될 수 있는 길을 만들었다. 즉 남편이 `제1부인`과의 이혼이 가능하고, 또 남편의 `인지`로 첩의 자식도 家의 정식 구성원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은 `아내`의 지위를 위축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다섯째, 남편들은 가사 일체를 아내에게 일임하였고, 아내들은 그런 남편을 수용하면서 남편의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아내, 어머니, 주부로서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고 했다. 결국 `남편` 담론은 가정생활에 필요한 남편의 역할이나 규범을 말하기 보다는 가정 안에서의 여성 역할을 강화시키면서, 아내, 어머니, 주부의 규범을 만들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grasping the changes in family discourse in the 1920s and 1930s through the position of `husban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texts of family discourse and family policy in 『Shin yeosung』 and 『Byolgeongon』 were re...

      This study aims at grasping the changes in family discourse in the 1920s and 1930s through the position of `husban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texts of family discourse and family policy in 『Shin yeosung』 and 『Byolgeongon』 were referred, and the major issues are as follows. Firstly, the family register(hojeok) system and renaming policy(chang ssi gae myong) in Japanese Colonialism consolidated the right of head of family(hoju). Secondly, the means of marriage and husband was changed while it had been claimed that `husband` is the answer for dealing with sexual desire in women. Thirdly, the concept of master-servant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and wife was strengthened as the legal marriage system was adopted and the legal rights of wife were delegated to husband. Fourthly, `wives` status could not be guaranteed as in the past with the appearance of `second wife` and the diffusion of `free love`. Fifthly, male gender roles in domestic affairs were not expected as the roles of women in a family were emphasized. Lastly, the discussions on `husband` had no impact on the identity as husband, and rather strengthened gender norms for women as a wife, a mother and a housewif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병규, "호적: 1606-1923 호구기록으로 본 조선의 문화사" 휴머니스트 2007

      2 서석준, "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부상실 연구" 경북대학교 1991

      3 정지영, "조선후기의 첩(妾)과 가족질서 - 가부장제와 여성의 위계" 한국사회사학회 (65) : 6-40, 2004

      4 홍양희, "조선총독부의 가족정책 연구:‘家’제도와 家庭 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2004

      5 장병인, "조선전기 혼인제와 성차별" 일지사 1997

      6 가와모토 아야, "조선과 일본에서의 현모양처 사상에 관한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1998

      7 안태윤, "일제하 모성에 관한 연구: 전시체제와 모성의 식민화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2001

      8 전은정, "일제하 ‘신여성’ 담론에 관한 분석:여성주체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1999

      9 이승일, "일제시기 조선인의 일본국민화 연구: 호적제도를 중심으로" (34) : 67-115, 2000

      10 정지영, "일부일처제의 성립과 ‘첩’의 문제: 1920~30년대 신문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69-98, 2008

      1 손병규, "호적: 1606-1923 호구기록으로 본 조선의 문화사" 휴머니스트 2007

      2 서석준, "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부상실 연구" 경북대학교 1991

      3 정지영, "조선후기의 첩(妾)과 가족질서 - 가부장제와 여성의 위계" 한국사회사학회 (65) : 6-40, 2004

      4 홍양희, "조선총독부의 가족정책 연구:‘家’제도와 家庭 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2004

      5 장병인, "조선전기 혼인제와 성차별" 일지사 1997

      6 가와모토 아야, "조선과 일본에서의 현모양처 사상에 관한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1998

      7 안태윤, "일제하 모성에 관한 연구: 전시체제와 모성의 식민화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2001

      8 전은정, "일제하 ‘신여성’ 담론에 관한 분석:여성주체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1999

      9 이승일, "일제시기 조선인의 일본국민화 연구: 호적제도를 중심으로" (34) : 67-115, 2000

      10 정지영, "일부일처제의 성립과 ‘첩’의 문제: 1920~30년대 신문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69-98, 2008

      11 문소정, "여성운동과 모성담론" 7 (7): 47-64, 1997

      12 "여성"

      13 김수진, "신여성담론 생산의 식민지적 구조와 <신여성>" (69) : 255-284, 2006

      14 연구공간 수유+너머 근대매체연구팀, "신여성: 매체로 본 근대 여성 풍속사" 한겨레신문사 2005

      15 "신여성"

      16 김혜경, "식민지하 근대가족의 형성과 젠더" 창비 2006

      17 홍양희, "식민지시기 남성교육과 젠더(gender) : 양반 남성의 생활상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소 44 (44): 131-156, 2005

      18 신문학회, "송우암선생계녀서" 제문당 1978

      19 "삼천리"

      20 "별건곤"

      21 "동아일보"

      22 장병인, "근대계몽기 국민생산 프로젝트" 소명출판 2005

      23 "개벽"

      24 엥겔스, "가족ㆍ사유재산ㆍ국가의 기원" 아침 1987

      25 김미영, "1920년대 여성담론 형성에 관한 연구: ‘신여성’의 주체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03

      26 전미경, "1920~30년대 가정탐방기를 통해 본 신가정" 한국가족학회 19 (19): 103-130, 2007

      27 전미경, "1920-30년대 현모양처에 관한 연구 - 현모양처의 두 얼굴, 되어야만 하는 '현모' 되고싶은 '양처'" 한국가정관리학회 22 (22): 75-93, 2004

      28 정지영, "1920-30년대 신여성과 ‘첩/제이부인’: 식민지근대 자유연애결혼의 결렬과 신여성의 행위성" 한국여성학회 22 (22): 47-84,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2-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Learned Society of the Korean Culture -> The Association for Korean Cultural Studies KCI등재
      2010-02-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Culture Journal -> The Review of Korean Cultural Studie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A study of Han Min Jok's culture -> THE Korean Culture Journal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Learned Society Of Han-Min-Jok'S Culture -> The Learned Society of the Korean Culture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9 1.04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