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문(所聞)·방문(訪問)·신문(新聞)·격문(檄文)  :  3·1운동 시기의 미디어와 주체성 = Rumors, Visiting, Manifesto, Leaflets : Media and Subjective of The 3·1 Move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244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운동’은 미디어를 운동하게 하고, 혁명은 미디어를 ‘혁명’시킨다. 3ㆍ1운동은 신문과 미디어에 대한 감각과 직접적 경험을 결정적으로 발전시켰으며 글쓰기와 읽기에 대한 조선인들에...

      ‘운동’은 미디어를 운동하게 하고, 혁명은 미디어를 ‘혁명’시킨다. 3ㆍ1운동은 신문과 미디어에 대한 감각과 직접적 경험을 결정적으로 발전시켰으며 글쓰기와 읽기에 대한 조선인들에 대한 태도에 큰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3ㆍ1운동기의 다양한 미디어의 문제를 통해 ‘구술문화에서 문자문화로’의 이행과정과 1919년 전후 민중의 생활세계가 일부 드러날 수 있다. 미디어는 그 자체로 네트워크의 도구이자, 주체성의 네트워킹이 일어나는 노드(nod)이다. 3ㆍ1운동의 미디어들은 네트워크와 운동을 구조화한 주체성에 대해 새롭게 접근할 통로를 열게 한다. 3.1운동 시기의 지하신문ㆍ격문ㆍ전단의 텍스트들은 상당히 다양한 표기법과 문체를 선택하고 있다. 이는 그 자체로 3.1운동의 주체들의 다층적인 문해력과 생활세계를 반영한 것이며, 당시의 ‘읽고 쓰기’의 정황을 생생하게 나타낸다. 이들이 창출해낸 ‘표상 공간’이야말로 ‘교양’과 앎의 분배에 대한 증거물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vements’ do move the media, revolution ‘revolutionize’ the media. The 3.1 Movements developed decisively the sense and experience on newspaper and the media, affected big influence on attitude to writing and reading Koreans. Various medias ...

      ‘Movements’ do move the media, revolution ‘revolutionize’ the media. The 3.1 Movements developed decisively the sense and experience on newspaper and the media, affected big influence on attitude to writing and reading Koreans. Various medias of the 3ㆍ1 Movements show process swichover 'from oral culture to writing culture' and disclose life-world(Lebenswelt) of subalterns in 1910~20's. Medias are tool of networking and nod where the networking of subjectivity. Also they can make new methode to which may approach about the subjectivity which appeared in great movement. Texts of the underground newspaper and leaflet of the 3ㆍ1 Movements were written various languages and literary style. These texts reflects multilayer of literacy and life-world(Lebenswelt) world of agents of the 3.1 Movements and they indicates the situation of ‘reading writings in 1910~20's. Space of representation which was created in great movement is the evidences on distribution of knowledge and ‘cul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
      • 2. 3·1을 둘러싼 미디어 전쟁
      • 3. 3·1운동 관련 조서에 나타난 '무식'의 의미
      • 4. 앎의 위계와 만세시위의 주체
      • 5. 결어
      • 1. 서
      • 2. 3·1을 둘러싼 미디어 전쟁
      • 3. 3·1운동 관련 조서에 나타난 '무식'의 의미
      • 4. 앎의 위계와 만세시위의 주체
      • 5. 결어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소진, "한국독립선언서연구"

      2 윤복남, "한국 문해교육의 사회사적 고찰" 고려대 1990

      3 이희정,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과 『매일신보』" 소명출판 2008

      4 윤병석, "증보 3.1 운동사" 국학자료원 2004

      5 백종주, "저학력 비문해 여성의 경험세계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2002

      6 나카타 아키후미, "일본의 조선통치와 국제관계-조선독립운동과 미국 1910~22" 일조각 2005

      7 우남이승만문서편찬위원회, "이화장소장 우남이승만문서 동문편-3.1운동 관련문서(1)" 연세대 현대학국학연구소 1998

      8 님 웨일즈, "아리랑 개정3판" 동녘 2005

      9 김은주, "비문해 중년여성의 문해교육 참여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 2003

      10 임상원, "매체ㆍ역사ㆍ근대성" 나남출판 2004

      1 김소진, "한국독립선언서연구"

      2 윤복남, "한국 문해교육의 사회사적 고찰" 고려대 1990

      3 이희정,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과 『매일신보』" 소명출판 2008

      4 윤병석, "증보 3.1 운동사" 국학자료원 2004

      5 백종주, "저학력 비문해 여성의 경험세계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2002

      6 나카타 아키후미, "일본의 조선통치와 국제관계-조선독립운동과 미국 1910~22" 일조각 2005

      7 우남이승만문서편찬위원회, "이화장소장 우남이승만문서 동문편-3.1운동 관련문서(1)" 연세대 현대학국학연구소 1998

      8 님 웨일즈, "아리랑 개정3판" 동녘 2005

      9 김은주, "비문해 중년여성의 문해교육 참여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 2003

      10 임상원, "매체ㆍ역사ㆍ근대성" 나남출판 2004

      11 "매일신보"

      12 도진순, "군북 3.1독립운동사" 군북 3.1독립운동 기념사업회 2004

      13 월터 J. 옹,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사 1995

      14 박환, "경기지역 3.1독립운동사" 선인 2007

      15 "韓民族獨立運動史資料集"

      16 "慶南警察部, 高等警察關係摘錄 1919~1935" 1936

      17 황민호, "『매일신보』에 나타난 서울지역 3.1운동의 전개" 서울문화사학회 (10) : 2006

      18 황민호, "『매일신보』에 나타난 3.1운동의 전개와 조선총독부의 대응 In: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06

      19 이정은, "≪매일신보≫에 나타난 3․1운동 직전의 사회상황 In: 한국독립운동사연구"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90

      20 윤해동, "‘武斷’과 ‘文化’의 사이- 3․1운동과 식민지근대(성)"

      21 신용하, "3.1운동의 사회사" 지식산업사 2002

      22 임경석, "3.1운동기 친일의 논리와 심리 ― 『매일신보』를 중심으로 ―" 한국역사연구회 (69) : 47-74, 2008

      23 김정인, "3.1운동 90주년 기념 학술 심포지움-3.1운동, 기억과 기념" 역사문제연구소 등 주최 2009

      24 한국역사연구회, "3.1민족해방운동연구" 한겨레신문사 1989

      25 국가보훈처, "3.1運動 獨立宣言書와 檄文" 2002

      26 천정환, "1980년대 문학과 매체 환경" (13) : 2006

      27 김현주, "1910년대초 『每日申報』에서 ‘사회적인 것’의 생산 구조" 復旦大學 27-28, 2009

      28 권보드래, "1910년대, 풍문의 시대를 읽다" 소명출판사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in Korean Literature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4 1.467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