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朝鮮 上流住宅의 水空間 計劃에 關한 硏究 = (A) study on the water space design of the upper-class house in Chosu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58126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3

      • 학위논문사항

        學位論文(碩士)-- 弘益大學校 大學院: 建築學科 建築計劃專攻 2003. 2

      • 발행연도

        2003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617 판사항(4)

      • DDC

        720.921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4], vi, 98 p. : 삽도,도표,사진 ; 27 cm .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문정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 시대 풍류의 主 대상은 언제나‘自然’이었다. 사대부들은 자연을 노래하고 자연을 벗하며 悠悠自適하는 풍류를 즐겼다. 조선 사대부에 있어 자연요소 중 물(水)은 한낱 풍류의 대상만...

      조선 시대 풍류의 主 대상은 언제나‘自然’이었다. 사대부들은 자연을 노래하고 자연을 벗하며 悠悠自適하는 풍류를 즐겼다. 조선 사대부에 있어 자연요소 중 물(水)은 한낱 풍류의 대상만이 아닌 선비로서의 道의 대상으로 소위 자연의 혼과 소리에 自我를 밀착시켜 이른바 仙境의 초연한 경지를 개척 한 것이다. 즉, 단순히 보는 것만이 아닌 느껴지는 대상으로까지 생각하였다.
      전통 속에서 물이 갖고 있는 의미 또한 대단히 다양하고 심오한 것이었고, 물의 특성을 이용하여 건축을 행하였으며, 건축과 주변의 자연 경관이 너무나 유기적으로 잘 融合되어 있기 때문에 지연 환경과 分離된 건축을 생각할 수 없으며, 아름다운 자연 환경 속에는 으레 여기에 調和되는 건축을 연상하리 만큼 건축과 자연은 불가분의 관계를 이루고 있다.
      물이 主 要素가 되는 수공간은 강, 바다, 계곡, 시냇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런 장소는 인간이 손대지 않고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수공간이다. 인공적인 수공간은 연못을 들 수 있으며 조선시대 상류주택과 마을의 입구에 형성된다
      人間폐 울타리라는 경계를 통해 자연으로부터 영역성을 보호받으면서 그 안에서 문화를 발전시키고 축적하여 가는 공간이 주택이었다. 그 안에는 사회를 구성하는 人間 關係·價値觀·思想·空間槪念·建築構造 및 技術 등이 나타나게 된다. 사대부들은 山水가 좋은 경승지를 찾아가 자연을 완성했으나 조선 중기 이후 상류주택 공간 안에 인공적인 수공간을 끌어들여 자연으로부터 영역성윤 보호받으면서 디시 내부에 자연 요소를 구성하여 개인적인 수공간괄 조성한 것이다.
      본 연구는 조선 상류주택의 수공간에 존재하는 연못의 위치 및 크기와 연못 주위에 존재하는 건축물의 배치 및 규모, 형태를 분석하여 자연요소인 물이 상류주택 내에서 수공간을 계획하는데 어떤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1 장은 조선시대 전통건축에서 자연요소인 물(水)이 해석되어야 하는 硏究 目的을 밝혔다.
      제 2 장은 조선시대 수공간의 자연적·문화적 배경을 알아보고, 수공간을 물의 성격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수공간의 구성요소와 기능에 대해 조사하였다.
      제 3 장은 조선 상류주택에서 수공간 구성요소의 공간적 위치 관계를 파악하고 연못과 건축물의 규모 및 형태를 조사한다. 연못과 건축물의 거리관계·건축물의 형태와 진입동선과의 상관성을 분석한다.
      제 4 장은 수공간 구성요소들 사이의 상관성을 토대로 상류주택에서 수공간의 특성을 분석한다.
      제 5 장은 결론이다.
      이상과 같은 분석을 통해 조선 상류주택의 수공간에서 연못과 건축물과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전통 수공간에서 물의 형태는 담고자 하는 그릇에 따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데 크게 直線的인 方池와 曲線에 의한 曲池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조선시대 상류주택에서 나타나는 연못의 형태는 方池가 16個, 曲池가 8個로 方池가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연못의 평면규모를 보면 1 : 1 이상∼1 : 2 미만인 경우가 전체의 75%를 차지했다. 연못의 규모를 보면 300㎡ 과 800㎡ 의 線에 다량 분포되었다.
      둘째, 상류주택 수공간에 존재하는 건축물의 평면형태 및 규모 별로 구성 비율을 조사하면 -字形 평면을 갖는 건축물이 15個로 62.5%의 비율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으며 그 외에 ㄱ 字形과 T 字形 평면 형태가 보인다. ㄱ 字形과 T 字形 평면은 一字形 평면에 돌출형 누마루가 붙은 형식을 취한다.
      셋째, 조선 상류주택의 공간 구성은 안채와 안마당으로 형성되는 비교적 폐쇄적인 안채의 공간, 사랑채 및 사랑마당으로 형성되어 외부에 가까운 곳에 배치되며 主人의 서재 및 접객 공간으로 사용되고 비교적 개방적이며 외부와 접촉 활동이 이루어지는 사랑채 공간 그리고 대문과 행랑채 및 바깥 마당으로 형성되는 바깥채의 공간이었다. 이 외에 주택의 여러 건물과 완전히 분리하여 별당을 만들어 마루와 온돌방을 곁들여 집을 짓고, 주인과 손님 또는 가족의 逍遙自適을 위한 공간을 만든다. 즉 상류주택의 공간 구성상 수공간은 크게 대지영역 內와 대지영역 外에 존재하며 영역 안에서 채의 공간분화에 의해 형성된 마당의 일부분에 놓이게 된다. 그러나 연못은 장기간 거주하는 공간, 안채의 안마당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별당마당>바깥마당>사랑마당 의 비율로 연못이 존재한다.
      넷째, 상류주택에서 수공간이 형성되는 영역은 별당마당>바깥마당〉사랑마당 순이었고, 세부적으로 수공간 내에서 연못과 건축물과의 상관성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 평면 형태에 따른 진입방식은 一자형 평면의 경우 정면진입이 47%, 배면 진입 23%, 측면 진입 29% 이다. ㄱ자형은 정면 진입이 50%, 배면 진입과 측면 진입이 각각 25%이고 T자형은 정면진입이 100%이었다. 세가지 타입의 평면을 총괄하여 진입 방식을 정리하면 정면진입 56%>측면진입 24%>배면진입 20% 순이었다.
      - 거리에 따른 진입방식은 건축물이 연못 내 섬에 놓이는 경우와 건축물과 연못이 1.5m 이상 떨어진 경우에는 정면 진입 방식이 적용되었고, 건축물의 일부가 연못에 포함되거나, 건축물과 연못의 떨어진 거리가 1.5m 미만(근접한 경우)에는 측면·배면 진입 방식이 적용되었다. 1.5m 이상은 64%이고 1.5m 미만인 경우는 36%를 차지했다.
      조선 상류주택 수공간에서는 연못과 건축물의 떨어진 거리와 배치상 위치 그리고 평면형태에 따라 진입방법이 결정된다.
      다섯째, 상류주택에서 수공간의 위치가 크게 대지영역 內·外로 구분되었고, 그안에서 경계요소인 담을 갖고 담이 4면에 둘러져 있는 경우와 1∼3면이 담으로 둘러져 있는 경우로 세분화되고, 담이 없는 경우로 나뉘어 진다. 4면에 담이 둘러져 있는 경우 48%, 1-3면이 담으로 둘러져 있는 경우 24% 그리고 담이 없이 자연에 놓여있는 경우가 28%이었다.4면이 담인 경우 담 안에 놓여있는 연못은 공간을 하나의 수공간으로 묶는 역할을 하며, 1∼3면이 담인 경우 연못은 경계요소로써 공간을 분리, 영역을 한정시키는 작용을 한다.
      여섯째, 한국 건축과 같은 목조가구식 구조, 즉 기둥으로 이루어진 전통건축에서 기둥 위치는 사각형망의 교점이며, 건물면은 이들 교점이 지점이 되는 곳의 상부를 지지하며, 공간 내부에서 기둥의 변화에 의해서 내부공간의 확장이 이루어 진다. 특히 수공간에서는 마루공간의 확장이 두드러지게 보인다. 툇간구조에 의한 전·후 툇간의 확장과, 누마루 공간의 확장을 들 수 있다. 툇간은 1.5m∼2.5m 정도의 크기를 갖으며, 누마루는 l × l칸에서 l × 2칸의 크기를 갖으며 누마루 주위로 폭 60cm 이상의 난간마루가 존재한다. 一字形 평면에서 뒤쪽으로 室이 놓여지는 경우 전면은 툇간에 의한 툇마루가 형성되어 툇간형에 의한 공간확장이 나타난다. ㄱ자형 평면의 경우 一자형 평면에 누마루가 돌출되어 공간확장이 된다.
      일곱째, 자연-마루-인간의 완충공간으로써 마루공간이 존재하는데 물과 인간이 만나는 중간 단계의 역할을 한다. 마루와 연못의 수직적 관계는 다음과 같이 3가지로 분류된다. 기단-누마루 高 0인 경우, 기단-누마루 高 50cm 미만인 경우, 기단-누마루 高 50cm 이상인 경우이다. 높이 차이가 0일때는 一자형 평면에서 가운데 방이 존재하고 담에 의한 영역 없이 山水가 좋은 경승지에 놓여 있는 경우가 많으며, 50cm 미만인 경우는 一자형 평면인 것은 같지만 건축물과 연못의 거리관계가 1.5m 미만으로 연못과 가까이 근접해있다. 50cm 이상인 경우는 돌출된 누마루의 형태로 연못과 건축물의 거리가 멀리 떨어진 경우이다. 즉, 건축물과 연못의 상관성에서 평면형태, 배치관계, 떨어진 거리관계 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인간이 자연에 녹아 들어갈 수 있도록 건축물이 계획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osun's confucianists investigated human's moral for confucianism ideology politics. Their spiritual basis was based on philosophy that adapt oneself to the operations of nature by turning one's attention from mountain and water to mind or image of ...

      Chosun's confucianists investigated human's moral for confucianism ideology politics.
      Their spiritual basis was based on philosophy that adapt oneself to the operations of nature by turning one's attention from mountain and water to mind or image of morality.
      Ancestors always compared themselves with nature, and hoped to coexist with nature. Our construction was what live together in nature.
      Ancestors were trying to out draw a building to enjoy process emptying mind to become the natural person in a open space with sky ,land, water, and trees into life. So, building and pond existed at Upper-Class Houses in Chosun Dynasty to be assimilated in the nature.
      The composition of water space at Upper-Class houses' in Chosun Dynasty (Area) = Building and pond exist the inside and outside of ground, and are put on one part of Ma Dang(Yards) to be formed by dividing of space. But, pond does not exist in the living space such as An Ma Dang(an inner garden) of An chae's(the inner house) .
      The rate of water space : a separate houses Ma Dang> a outer Ma Dang> Sa Rang Ma Dang's ratio.
      The form and size of Building planing in the water space;
      A plane form of building shows -type(62.5%), and ㄱ type and T type plan at Upper-Class Houses' in water space. And ㄱ type and T type plan have Roo-Maru of projection style based -type. The 3 × 2 of plane size of building is 50%, and the 4 × 2 of that is 31.8%.
      The form and size of pond in water space;
      Pond's form can express freely according to vessel that wish to fill in tradition water space. Form of water showed most a regular square pond (whole 75%). A regular square pond has the line of apsides over 1 : 1∼ under 1 : 2 at mnor axis standard
      Entry way :
      Entry way is decided by interrelationship of pond and building.
      1. Entry way by plan - type : front side entry 47%, back entry 23%, side entry 29% ㄱ type: front side entry 50%, back entry and side entry each 25% T type:front side entry 100% Entry way by plan: front side entry> side entry> back entry patrol.
      2. Entry way by distance It has front side entry way in case that building situate island of pond and a distance between building and pond is more than 1.5m, and side, back entry way in case that a distance between building and pond is less than 1.5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 國文抄錄
      • ■ 표목차 = III
      • ■ 그림목차 = IV
      • 제1장. 서론 = 1
      • 목차
      • ■ 國文抄錄
      • ■ 표목차 = III
      • ■ 그림목차 = IV
      • 제1장. 서론 =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 제2장. 수공간의 일반적 고찰 = 5
      • 2-1. 수공간의 자연적·문화적 배경 = 5
      • 2-1-1. 자연적 배경 = 5
      • 2-1-2. 종교적 배경 = 6
      • 2-1-3. 사상적 배경 = 9
      • 2-2. 수공간의 분류 및 구성요소 = 12
      • 2-2-1. 수공간의 분류 = 12
      • 1) 자연적 수공간 = 12
      • 2) 인공적 수공간 = 14
      • 2-2-2. 수공간의 구성요소 = 17
      • 1) 연못 = 17
      • 2) 누정 = 22
      • 3) 도각 = 24
      • 2-3. 수공간의 기능 = 25
      • 2-3-1. 공간의 분리·통합 = 26
      • 2-3-2. 講學·遊息 공간 = 27
      • 제3장. 조선 상류주택 수공간의 공간 구성 = 30
      • 3-1. 수공간 구성요소의 규모 및 형태 = 30
      • 3-1-1. 연못의 규모 및 형태 = 30
      • 3-1-2. 건축물의 규모 및 형태 = 40
      • 3-2. 수공간 구성요소의 공간적 위치 관계 = 47
      • 3-2-1. 대지영역 內에 존재 = 50
      • 3-2-2. 대지영역 外에 존재 = 53
      • 3-3. 수공간 진입 방법 = 58
      • 3-3-1. 정면 진입 = 59
      • 3-3-2. 측면·배면 진입 = 62
      • 제4장. 조선 상류주택 수공간의 건축 계획적 특성 = 70
      • 4-1. 공간의 영역성 = 70
      • 4-1-1. 담에 의한 공간 한정 = 71
      • 4-1-2. 연못에 의한 공간 분리·통합 = 76
      • 4-2. 공간의 확장 = 78
      • 4-2-1. 툇간에 의한 공간 확장 = 79
      • 4-2-2. 부속형·독립형 누마루에 의한 공간 확장 = 82
      • 제5장 결론 = 91
      • ■ 참고문헌 = 93
      • ■ ABSTRACT = 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