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搜神記》와 《三國遺事》에 나타난 요괴와 귀신 형상의 비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249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중국 동진(东晋) 사람 간보(干寶)가 편찬한 《수신기(搜神记)》와 한국 고려 승려인 一然(일연)이 편찬한 《삼국유사(三国遗事)》에 수록 된 요괴, 귀신 설화에 초점을 맞춰 유형별로 ...

      본고는 중국 동진(东晋) 사람 간보(干寶)가 편찬한 《수신기(搜神记)》와 한국 고려 승려인 一然(일연)이 편찬한 《삼국유사(三国遗事)》에 수록 된 요괴, 귀신 설화에 초점을 맞춰 유형별로 분류한 다음, 비교・고찰하였다. 즉, 두 책에 수록되어 있는 요괴, 귀신 설화는 어떤 유사점·차이점은 있는지를 살폈으며, 그 원인은 무엇인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고는 이를 위해 세 부분으로 나누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우선, 제2장에서 《수신기》와 《삼국유사》의 편찬과정에 중점을 두고 전개하였다. 간보가 사관 출신이라는 사실 및 육조의 儒·佛·道사상이 병립한 시대배경을 통해 《수신기》가 '记異语怪'의 성격이 있음을 밝혔다. 한편 일연이 승려신분에 있다는 사실과 함께 고려시대 불교가 흥성했다는 사회 환경은 《삼국유사》의 저작 의도가 불교 포교에 맞추어 있다는 사실에 일정한 영향을 주었음을 밝혔다. 게다가 중국 문화와 지괴소설의 유입은 《삼국유사》에 수록된 설화에 일정한 영향을 끼쳤다.
      제3장에서는 《수신기》와 《삼국유사》소재 요괴설화를 인요(人妖)연애형과 재화(灾祸)유발형으로 나누었다. 《수신기》에 수록되어 있는 이 유형의 설화에 등장한 요괴는 늘 당대 선비들의 성적인 환상을 표출하는 대상으로 여겨졌다. 《삼국유사》에서는 이 유형 설화에 등장한 요괴를 현처의 이미지로 그려냈다. 《수신기》소재 재화유발형 설화에서 등장하는 요괴는 인간적인 특성을 더욱 강하게 나타내며, 《삼국유사》의 경우에는 동물적인 특성이 더욱 강하며 자연의 정령으로 등장하였다.
      4장에서는 두 책에 수록된 귀신 설화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인귀(人鬼)연애형, 명부(冥府)유람형, 질병유발형으로 나누었다. 《수신기》소재 인귀연애형설화는 주로 신분이 높지 않은 선비들의 사회성취욕을 나타내며, 《삼국유사》의 경우는 왕권을 신격화하는 목적을 담고 있다. 《수신기》안의 명부유람형 설화는 주인공의 기이한 경력을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당대 사람이 갖고 있는 미지 세계에 대한 환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삼국유사》에 수록된 명부유람형 설화는 불교의 권위성을 강조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다. 《수신기》에서의 질병유발형 설화는 인과응보 사상을 강조하였으며, 《삼국유사》에서는 불법의 영험함을 강조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研究 동기 및 목적 1
      • 2. 先行 研究 검토 4
      • 3. 研究 범위 및 방법 8
      • Ⅰ. 서 론 1
      • 1. 研究 동기 및 목적 1
      • 2. 先行 研究 검토 4
      • 3. 研究 범위 및 방법 8
      • II. 《搜神記》와 《三國遺事》의 편찬과정과 관계 13
      • 1. 《搜神記》의 편찬과정 13
      • 1) 儒佛道사상이 병립한 육조시대 13
      • 2) 史官출신의 干寶와 저술동기 14
      • 2. 《三國遺事》의 편찬과정 16
      • 1) 불교가 흥성한 고려시대 17
      • 2) 승려출신의 一然과 저술동기 18
      • 3. 《搜神記》와《三國遺事》의 관계 21
      • 1) 중국 문화와 지괴소설의 유입 21
      • 2) 지괴소설과 불교설화집의 관계 35
      • III. 《搜神記》와《三國遺事》의 요괴 설화 비교 45
      • 1. 요괴의 정의와 특징 46
      • 2. 人妖연애형 설화 50
      • 1) <阿紫>: 선비의 성적 환상 대상으로의 요괴 51
      • 2) <金現感虎>: 남성의 현처에 대한 동경으로의 요괴 54
      • 3. 災祸유발형 설화 58
      • 1) <吴兴老狸>:인간의 모습으로 등장한 요괴 59
      • 2) <惠通降龙>:자연의 정령으로 등장한 요괴 62
      • IV. 《搜神記》와 《三國遺事》의 귀신 설화 비교 65
      • 1. 귀신의 정의와 특징 69
      • 2. 人鬼연애형 설화 77
      • 1) <崔少府慕>: 선비 사회성취욕의 수단으로 활용 70
      • 2) <桃花女, 鼻荆郞>: 왕권을 신격화 수단으로 활용 79
      • 3. 冥府유람형 설화 84
      • 1) <贾文合>: 미지 세계에 대한 환상 87
      • 2) <善虑还生>: 불교 권위성에 대한 표현 89
      • 4. 질병유발형 설화 91
      • 1) <管辂>: 인과응보의 증명 92
      • 2) <密本摧邪>: 불법영험의 증명 93
      • V. 결 론 96
      • 【參考文獻】 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