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려시대 풍수지리사상 연구 = A study on the ideology of pungsujiri in the Goryeo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679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풍수지리사상은 하늘과 땅을 대상으로 하는 기의 운동을 이론화한 사상이다. 이는 왕권의 권위와 강화를 위한 이론으로 활용되어 도읍선정의 중요성과 연동되었다. 『詩經』, 『書經』, 『...

      풍수지리사상은 하늘과 땅을 대상으로 하는 기의 운동을 이론화한 사상이다. 이는 왕권의 권위와 강화를 위한 이론으로 활용되어 도읍선정의 중요성과 연동되었다. 『詩經』, 『書經』, 『周易』, 『管子』, 『淮南子』, 『靑烏經』 등에서 언급된 도읍은 “좋은 기와 길한 기와 방위”에 선정되어야 하고, 그 지역은 하늘과의 조응에 부합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한편 고려풍수의 특징을 비보풍수라고 정의하고, 이것은 인위적인 방법을 통하여 땅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는 것이다. 이러한 고려의 비보풍수로 삼소, 사찰, 사탑, 궁궐, 색깔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고려의 풍수지리사상의 특징으로 몇 가지를 들었다. 첫째, 비보풍수, 불교와 도참과의 결합성이 강한 점, 왕권강화를 위하여 원용된 점, 풍수지리사상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이기파의 적용이 확인된 점, 풍수요소에 사람을 중시한 점 등이다. 다음은 시대별 풍수특징을 비교하였다. 이것은 유행(유통)·대표특징·적용범주·형기·이기 등으로 분류하여 고려만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상과 같은 풍수지리사상의 이론이나 특징을 배경으로 나말여초에서 조선전기까지 풍수지리사상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먼저, 나말여초 풍수지리사상의 형성과정에 대한 것이다. 풍수사상은 고대인의 세계관과 직결되는 것이므로 일찍부터 자리를 잡았다. 이것이 󰡔불설지심다라니경󰡕과 밀교의 택지법과 연동되면서 정리되었다. 이러한 풍수지리는 나말여초 도선선사에 의하여 사상으로 체계화되었다. 도선의 풍수지리사상은 당말송초의 중국의 사상의 흐름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당말송초는 고문운동과 함께 신유학이 정립되었고, 풍수에서도 일행과 범월봉이 중심이 되어, 인간의 본성에 대한 탐구와 함께 군주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도선은 일행의 형세파의 영향을 받아 物形的 形勢論을 중심으로 풍수지리사상을 정립하였다. 특히 그의 사상은 호국적인 성격이 강하였기 때문에 중국의 신유학과 풍수지리사상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고려 태조 왕건은 도선의 이점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비보풍수로써 왕조를 건국하였다. 물론 태조의 이러한 정치적 행위는 왕권강화와 함께 민심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리고 고려전기 서경천도론의 전개와 풍수지리사상에 대해 정리하였다. 태조 왕건은 고려왕조를 창업하면서 고려의 정통성을 드러내기 위하여 자신이 하늘의 수명을 받은 존재임과 동시에 고려가 신라를 계승한 왕조임을 강조하였다. 즉 왕건은 하늘의 수명을 받아 하늘이 지정한 명당에 태어난 인물이며, 그에 의하여 삼한통일을 완성할 것이라는 점을 드러내었다. 이점에서 고려 태조의 수명의식은 풍수지리사상과 연동되어 등장하는 특색이 있다. 이러한 왕건의 신성성은 󰡔高麗史󰡕 고려세계와 훈요십조에서도 확인이 된다. 다음은 신라의 승계여부이다. 태조 왕건은 고려가 신라를 승계했음을 밝히기 위하여 두 가지 점을 강조하였다. 우선 왕건은 선양을 중시하는 오행상생적 입장에서 이를 정리하였고 다음 궁예를 前主로 보고, 자신을 고려의 後主로 지칭하였던 것이다. 이로써 고려는 금덕인 신라를 승계한 수덕의 왕조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것이다.
      태조는 수덕의 오운을 가진 고려의 완성을 위하여 수덕의 기운이 강한 서경경영을 중시하였다. 그리고 定宗은 서경으로 천도를 계획하였다. 成宗과 靖宗은 서경중심의 서경의 10월치제-개경의 11월 치제를 제정하였다. 10월은 수덕이 시작하는 달이므로, 서경에서 10월치제를 행한다는 것은 이 지역의 수덕의 기운을 중시하겠다는 것으로 파악된다. 인종은 이러한 체제를 완성하고자 서경으로 천도를 계획하였다. 인종은 서경에서 유신지교를 반포하였고, 그 내용은 기존의 것보다 더 혁신적인 것이었다. 즉 인종은 서경천도를 통하여 새로운 고려를 내세우고 그 속에서 왕권강화를 도모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실천하기 위하여 인종은 민심확보 차원에서 인간이 지닌 불안감과 내면적 두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무당들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였다. 그러나 서경은 묘청의 반란이라는 부정적 인식으로 인하여 수도로서의 위상은 더 이상 이어가지 못하였다.
      다음은 고려후기 延基사상의 발전과 개경중심체제의 형성을 정리하였다. 이 시기 자주 등장하는 연기사상은 개경중심체제를 강화하는 비보풍수에서 비롯하였다. 이는 터가 명당이 되지 못할 자리라도 비보를 함으로써 명당으로 거듭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의종 11년인 1157년에는 개경 궁궐 주변에 壽德宮, 安昌宮, 靜和宮, 瑞豊宮, 太平亭, 觀瀾亭, 養怡亭 등을 건립하였고, 다음해에는 白州 重興闕을 창건하는 등 개경 중심의 비보를 적극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삼소제도가 등장하는 것도 이와 관련된다. 삼소지를 통한 개경중심체제는 충렬왕대에도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연기사상으로 또 주목할 것은 산천비보도감이다. 이는 신종이 술사들을 모아 국내의 산천을 비보하여 왕업을 연장하는 의도에서 만든 것으로, 풍수지리뿐만 아니라 불교를 통해서도 개경의 연기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한편 이러한 개경중심체제는 다양한 측면에서 이완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현실적으로 왕권을 둘러싼 정치세력의 갈등 등이 초래되어 풍수 등에 도참적 성격이 본격적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여말선초 한양천도론의 전개와 풍수지리사상의 정비에 대해 정리하였다. 공민왕은 반원정치와 함께 천도를 하고자 하였다. 공민왕의 심중에는 남경이 있었다. 남경천도 논의를 공민왕 5년에 시행했다는 점도 이러한 정황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공민왕의 남경천도의 의도는 보우의 한양천도주장에서 엿볼 수 있다. 그는 표면적으로는 남경천도를 통하여 9산선문의 기능을 회복하고자 하였지만, 그가 담선법회 등을 강조하는 것에서 도선의 비보풍수의 회복을 통해 불교의 중흥을 꾀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점은 국왕권의 강화와도 직결되는 것이므로 공민왕의 의중과 일치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왜구의 침입으로 남경천도론은 중단되었고, 그 대체지로 부각된 지역이 삼소였다. 그러나 이곳은 피난지였기 때문에 천도지로서는 적합하지 못하였다. 즉 우왕대 북계가 물살이 빨라서 조운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은 이를 잘 대변해준다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천도지에 대한 이견은 도선뿐만 아니라 태조에 대한 부정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공양왕은 한양천도를 본격적으로 내세우면서 태조의 비보풍수를 중심으로 이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그는 불교를 중시하여 연복사를 중창하고 담선법회를 설행하였다. 이점은 고려 태조의 왕조창건의 기치와 일치되는 것이고, 공민왕은 이로써 고려를 새롭게 정립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 시기에 단행한 경기제의 확대는 이점을 실현하고자 하는 정책이었다.
      한양천도는 조선왕조에 들어와서도 왕자의 난, 하륜의 무악천도론 등이 대두되어 한동안 논란의 중심에 있었지만 태종 5년에 단행되었다. 그리고 고려적 색채를 배제하기 위한 여러 정책을 시행하였다. 먼저 불교를 탄압하였다. 이점은 풍수와 불교의 습합 부분을 끊기 위한 것이었다. 태조는 조계종의 승려들이 요구한 담선법회 개설을 거부하였다. 태종은 한양의 비보사찰을 부정하여 이 사찰에 속한 전지와 노비를 한양의 오교양종으로 옮길 것을 주장하였다. 다음은 풍수지리서에 대한 정비를 본격적으로 하였다. 도선의 풍수지리사상을 ‘비기류’ 또는 ’지리서‘라는 이름으로 사용하거나 이견을 표출하여 시비의 대상이 되게 하였다. 이는 성리학 중심의 정치질서를 확립하고자 하는 것이었고, 한편으로 풍수에 관련한 정보를 국왕이 독점하기 위해서였다.

      주요어: 풍수지리사상, 천도, 왕권강화, 음양오행설, 비보, 서경, 개경, 남경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성과 1
      • 2. 연구방향 8
      • Ⅱ. 고려시대 풍수지리사상의 이해 방향 15
      • Ⅰ. 서론 1
      • 1. 연구성과 1
      • 2. 연구방향 8
      • Ⅱ. 고려시대 풍수지리사상의 이해 방향 15
      • 1. 풍수지리사상의 개념 15
      • 1) 古典에 언급한 풍수지리사상 16
      • 2) 풍수지리사상과 도읍지 선정 22
      • 2. 裨補壓勝의 개념과 비보 풍수 28
      • 1) 裨補壓勝의 개념 28
      • 2) 비보의 영역과 방법 29
      • 3. 고려시대 풍수지리사상의 특징 31
      • 1) 풍수지리사상의 특징 31
      • 2) 시대별 풍수특징 비교 33
      • 4. 개경과 서경・남경의 풍수지리적 해석 37
      • Ⅲ. 나말여초 풍수지리사상의 형성 과정 48
      • 1. 풍수지리사상의 형성 배경 48
      • 1) 고대인의 세계관 48
      • 2) 『佛說地心陁羅尼經』과 풍수지리사상 51
      • 3) 밀교와 풍수사상 56
      • 2. 풍수지리사상의 형성과 전개 57
      • 1) 당말·송초 신유학의 전개와 『周易』의 재해석 59
      • 2) 도선의 풍수지리사상의 형성과 전개 63
      • Ⅳ. 고려전기 서경천도론의 전개와 풍수지리사상 77
      • 1. 서경천도론의 전개 77
      • 1) 서경천도론의 발생 77
      • 2) 서경천도론의 추이 86
      • 2. 인종대 서경천도와 풍수지리사상 90
      • Ⅴ. 고려후기 延基思想의 발전과 개경중심체제의 형성 106
      • 1. 연기사상의 발전과 그 방향 106
      • 2. 개경중심체제의 형성과 궁궐의 정비 118
      • 3. 개경중심체제의 이완과 그 추이 130
      • Ⅵ. 여말선초 한양천도론의 전개와 풍수지리사상의 정비 137
      • 1. 고려말 한양천도론의 전개 과정 137
      • 1) 공민왕·우왕대의 한양천도론과 삼소 137
      • 2) 공양왕대의 한양천도론과 비보풍수 152
      • 2. 조선초 한양천도와 풍수지리사상의 정비 157
      • 1) 도선의 풍수사상에 대한 인식과 갈등 157
      • 2) 한양천도와 풍수지리사상의 정비 166
      • Ⅶ. 결론 175
      • 참고문헌 181
      • Abstract 188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金勝東, 金勝東, "易思想辭典", 부산대학교 출판부, 1998

      2 金光彦, 金光彦, "韓國의 住居民俗誌", 民音社, 1988

      3 홍영의, "고려말 정치사 연구", 혜안, 2005

      4 徐閏吉, "韓國密敎思想史硏究", 불광출판부, 1994

      5 하현강, "「고려 서경의 행정구조」", 「고려 서경의 행정구조」한국사연구5, 1970

      6 金龍南, "성리학, 유불도의 만남", 운주사, 2003

      7 韓㳓劤, "朝鮮時代思想史硏究論攷", 한국학술정보, 2001

      8 李龍範, "「風水地理說」, 한국사6", 국사편찬위원회, 1983

      9 朴菖熙, "「李奎報의 「東明王篇」詩」", 「李奎報의 「東明王篇」詩」歷史敎育11・12합집, 1969

      10 李廷柱, "麗末鮮初 儒學者의 佛敎觀",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1 金勝東, 金勝東, "易思想辭典", 부산대학교 출판부, 1998

      2 金光彦, 金光彦, "韓國의 住居民俗誌", 民音社, 1988

      3 홍영의, "고려말 정치사 연구", 혜안, 2005

      4 徐閏吉, "韓國密敎思想史硏究", 불광출판부, 1994

      5 하현강, "「고려 서경의 행정구조」", 「고려 서경의 행정구조」한국사연구5, 1970

      6 金龍南, "성리학, 유불도의 만남", 운주사, 2003

      7 韓㳓劤, "朝鮮時代思想史硏究論攷", 한국학술정보, 2001

      8 李龍範, "「風水地理說」, 한국사6", 국사편찬위원회, 1983

      9 朴菖熙, "「李奎報의 「東明王篇」詩」", 「李奎報의 「東明王篇」詩」歷史敎育11・12합집, 1969

      10 李廷柱, "麗末鮮初 儒學者의 佛敎觀",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11 나각순, "「고려시대 남경의 도시시설」", 「고려시대 남경의 도시시설」성대사림12 13, 1997

      12 韓東錫, "宇宙變化의 原理, 행림출판", (초판 1966), 1991

      13 김창현, "「고려의 운수관과 도읍 경영」", 「고려의 운수관과 도읍 경영」韓國史學報15, 2003

      14 나각순, "「고려말 南京復置와 漢陽遷都」", 「고려말 南京復置와 漢陽遷都」강원사학17 18, 2002

      15 채웅석, "「명종대 권력구조와 정치운영」", 「명종대 권력구조와 정치운영」역사와 현실17, 1995

      16 金相鉉, "「新羅 中代 專制王權과 華嚴宗」", 「新羅 中代 專制王權과 華嚴宗」東方學志44, 1984

      17 장지연, "「개경과 한양의 도성구성 비교」", 「개경과 한양의 도성구성 비교」서울학연구15, 2000

      18 김현라, "「高麗·宋의 戶婚法과 良賤秩序」", 「高麗 宋의 戶婚法과 良賤秩序」역사와 세계48, 2015

      19 朴憲榮, "道詵國師의 風水地理思想 硏究", 圓光大學校 博士學位論文, 2007

      20 都賢喆, "高麗末 士大夫의 政治思想硏究", 一潮閣, 1999

      21 윤경진, "「고려의 건국과 고구려계승의식」", 「고려의 건국과 고구려계승의식」한국문화68, 2014

      22 金榮官, "「胡瑗의 교육활동과 宋學의 형성」", 중앙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11

      23 남동신, "「한국 고대불교의 국가관·사회관」", 「한국 고대불교의 국가관 사회관」역사비평, 1993

      24 하현강, "「高麗西京考」歷史學報35·36합집", 「高麗西京考」歷史學報35 36합집, 1967

      25 馬宗樂, "「고려시대 風水圖讖과 儒敎의 교섭」", 「고려시대 風水圖讖과 儒敎의 교섭」한국중세사연구21, 2006

      26 이태진, "「金致陽亂의 性格」韓國史硏究17", 「金致陽亂의 性格」韓國史硏究17, 1977

      27 이익주, "「고려말 신흥유신의 성장과 조선건국」", 「고려말 신흥유신의 성장과 조선건국」역사와 현실29, 1998

      28 박종기, "「고려시대 남경지역의 개발과 경기제」", 「고려시대 남경지역의 개발과 경기제」서울역사박물관 연구논문집1, 2003

      29 이정란, "「高麗 王家의 龍孫意識과 왕권의 변동」", 「高麗 王家의 龍孫意識과 왕권의 변동」한국사학보55, 2014

      30 박종덕, "「고려시대 風水地理思想의 이해 방향 」", 「고려시대 風水地理思想의 이해 방향 」역사와 경계105, 2017

      31 李範稷, "韓國中世禮思想硏究-五禮를 中心으로", 一潮閣, 1991

      32 김병인, "「高麗 睿宗·仁宗代 政治勢力 비교연구」", 「高麗 睿宗 仁宗代 政治勢力 비교연구」전남사학17, 2001

      33 정수아, "「高麗中期 改革政治와 北宋新法의 受用」",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34 김창현, "「고려초기 서경의 행정체계와 도시구조」", 「고려초기 서경의 행정체계와 도시구조」한국사연구137, 2007

      35 윤홍기, "「한국 풍수지리설과 불교신앙과의 관계」", 「한국 풍수지리설과 불교신앙과의 관계」역사민속학13, 2001

      36 박종덕, "「羅末麗初 풍수지리사상의 기반과 형성」", 「羅末麗初 풍수지리사상의 기반과 형성」한국민족문화연구64, 2017

      37 成東桓, "「風水 地氣論에 대한 文獻考證學的 硏究」", 「風水 地氣論에 대한 文獻考證學的 硏究」地理學論叢19, 1992

      38 徐永大, "「도교 및 풍수지리 도참사상」한국사16", 국사편찬위원회, 1994

      39 박종덕, "「고려 인종대 서경천도론과 풍수지리사상」", 「고려 인종대 서경천도론과 풍수지리사상」역사와 세계54, 2018

      40 金塘澤, "「詳定古今禮文의 편찬시기와 그 의도」", 「詳定古今禮文의 편찬시기와 그 의도」湖南文化硏究21, 1992

      41 南仁國, "「高麗 仁宗代 政治支配勢力의 性分과 動向」", 「高麗 仁宗代 政治支配勢力의 性分과 動向」歷史敎育論集15, 1990

      42 崔柄憲, "「高麗時代의 五行的 歷史觀」韓國學報13", 「高麗時代의 五行的 歷史觀」韓國學報13, 1978

      43 김호동, "「성리학 보급에 따른 풍수도참사상의 변용」", 「성리학 보급에 따른 풍수도참사상의 변용」한국중세사연구21, 2006

      44 李成珪, "「諸子의 學과 思想의 理解」講座 中國史Ⅰ", 지식산업사, 1989

      45 김기덕, "「高麗時代 開京과 西京의 風水地理와 違都論」", 「高麗時代 開京과 西京의 風水地理와 違都論」 한국사연구 127, 2004

      46 김두진, "「신라말 풍수지리설의 참모습과 그 후의 변용」", 「신라말 풍수지리설의 참모습과 그 후의 변용」 광장 통권 176호, 1988

      47 盧道陽, "「韓國文化의 地理的 背景」 韓國文化史大系1", 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1970

      48 장지연, "「高麗~朝鮮初 書經 「無逸篇」과 「洪範篇」", 「高麗~朝鮮初 書經 「無逸篇」과 「洪範篇」 이해의 변화」사학연구112, 2013

      49 김현라, "「고려 忠烈王代의 麗·元關係의 형성과 그 특징」", 「고려 忠烈王代의 麗 元關係의 형성과 그 특징」지역과 역사24, 2009

      50 이재범, "「궁예·왕건 정권의 역사적 연속성에 관한 고찰」", 「궁예 왕건 정권의 역사적 연속성에 관한 고찰」士林24, 2005

      51 朴容淑, "韓國의 始源思想-原型硏究를위한 方法序說-", 文藝出版社, 1985

      52 한정수, "「고려시대 君主觀의 二元的 이해와 정치적 상징」", 「고려시대 君主觀의 二元的 이해와 정치적 상징」「國史館論叢106, 2005

      53 김인호, "「원간섭기 이상적 인간형의 역사상 추구와 형태」", 「원간섭기 이상적 인간형의 역사상 추구와 형태」역사와 현실49, 2003

      54 洪承基, "「高麗初期 政治와 風水地理」 한국사시민강좌", 「高麗初期 政治와 風水地理」 한국사시민강좌 14, 1994

      55 金一權, "「한국고대인의 천문우주관」강좌 한국고대사8",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2002

      56 채웅석, "「의종대 정국의 추이와 정치운영」역사와현실9", 「의종대 정국의 추이와 정치운영」역사와현실9, 1993

      57 이인호, "「고려시대 무당ㆍ술사(術士)의 사회적 기능과 배척」", 「고려시대 무당ㆍ술사(術士)의 사회적 기능과 배척」역사와 실학55, 2014

      58 蔡尙植, "「佛敎思想論」金容燮敎授停年紀念韓國史學論叢1", 지식산업사, 1997

      59 김기덕, 김기덕, "「한국의 토속적 자연관과 터문화」韓國思想史學23", 「한국의 토속적 자연관과 터문화」韓國思想史學23, 2004

      60 채상식, "「義天의 불교통합 시도와 그 추이」한국민족문화57", 「義天의 불교통합 시도와 그 추이」한국민족문화57, 2017

      61 邊太燮, "「韓國古代의 繼世思想과 祖上崇拜信仰」歷史敎育3", 「韓國古代의 繼世思想과 祖上崇拜信仰」歷史敎育3, 1958

      62 崔元碩, "「道詵風水의 본질에 관한 몇 가지 論究」應用地理17,", 「道詵風水의 본질에 관한 몇 가지 論究」應用地理17, 1994

      63 宗梵, "「太古普愚의 禪風에 관한 硏究」中央僧伽大學論文集3", 「太古普愚의 禪風에 관한 硏究」中央僧伽大學論文集3, 1994

      64 金基德, 金基德, "「高麗時代 開京의 風水地理的 考察」 韓國思想史學 17", 「高麗時代 開京의 風水地理的 考察」 韓國思想史學 17, 2001

      65 권선정, "「풍수 진산·주산의 정상화와 타자화」문화역사지리 28", 「풍수 진산 주산의 정상화와 타자화」문화역사지리 28, 2016

      66 성동환, 조성호, "「신라말 구산선문 사찰의 입지 연구- 풍수적 측면을 중심으로」", 「신라말 구산선문 사찰의 입지 연구- 풍수적 측면을 중심으로」한국 지 리학회지 6(3), 2000

      67 成東桓, "「羅末麗初 禪宗系列 寺刹의 立地硏究 : 九山禪門의 風水的 解釋」", 대구효성가 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68 金杜珍, "「羅末麗初 桐裏山門의 成立과 그 思想-風水地理說에 대한 再檢討-」", 「羅末麗初 桐裏山門의 成立과 그 思想-風水地理說에 대한 再檢討-」東方學志 57, 1988

      69 鄭求福, "「高句麗의 ‘高麗’國號에 대한 一考: 三國史記의 기록과 관련하여」", 「高句麗의 ‘高麗’國號에 대한 一考: 三國史記의 기록과 관련하여」호서사학 19 20합집, 1992

      70 張日圭, "「신라 말 고려 초 禪僧의 시기별 지역별 활동 추이와 山門 형성 과정」", 「신라 말 고려 초 禪僧의 시기별 지역별 활동 추이와 山門 형성 과정」新羅史 學報39, 2017

      71 李丙燾, "高麗時代의 硏究-특히 圖讖思想의 發展을 中心으로-, 乙酉文化社", (아 세아문화사, 1980), 1948

      72 권순형, "「고려중기 남경에 대한 일고찰: 문종~인종대를 중심으로」향토서울49", 「고려중기 남경에 대한 일고찰: 문종~인종대를 중심으로」향토서울49, 1990

      73 全永燮, "「唐宋元·高麗의 恤刑立法原則과 刑政認識-휼형사상의 原流와 관련하여-」", 「唐宋元 高麗의 恤刑立法原則과 刑政認識-휼형사상의 原流와 관련하여-」中國 史硏究77, 2012

      74 朴時翼, "「風水地理說發生背景에 關한 分析硏究-建築에의 合理的인 適用을 爲하여-」", 高麗大學校 博士學位論文, 1987

      75 崔柄憲, "「道詵의 生涯와 羅末麗初의 風水地理說-禪宗과 風水地理說의 관계를 중심으로 -」", 「道詵의 生涯와 羅末麗初의 風水地理說-禪宗과 風水地理說의 관계를 중심으로 -」 韓國史硏究 11, 1975

      76 安永倍, "「高麗 朝鮮前期 理氣派風水 硏究-地理新書 洞林照膽 地理新法의 流行을 中心으로 -」",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77 鄭淸柱, "「新羅末·高麗初 豪族의 形成과 變化에 대한 一考察-平山朴氏의 一家門의 實例 檢討-」", 「新羅末 高麗初 豪族의 形成과 變化에 대한 一考察-平山朴氏의 一家門의 實例 檢討-」歷史學報118, 1988

      78 나희라, "「신라 초기 천신 신앙과 산악 숭배-종교문화의 측면에서 본 사회 통합과 지배체 제의 정비-」", 「신라 초기 천신 신앙과 산악 숭배-종교문화의 측면에서 본 사회 통합과 지배체 제의 정비-」한국고대사연구82, 2016

      79 千寅鎬, 孫溱秀, "「風水的 측면에서 본 통일 한반도 首都立地 검토 -長湍지역을 중심으 로-」문화역사지리28,", 「風水的 측면에서 본 통일 한반도 首都立地 검토 -長湍지역을 중심으 로-」문화역사지리28, 2016

      80 韓㳓劤, "「朝鮮王朝初期에 있어서의 儒敎理念의 實踐과 信仰・宗敎-祀祭問題를 中心으 로-」한국사론3",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76

      81 任東權, "「三國時代의 巫, 占俗」白山學報3, ,. 盧道陽, 「韓國文化의 地理的背景」 韓國文化史大系Ⅰ", 高麗大民族文化硏究所, 1970, 1967

      82 洪承基, "「高麗前期 奴婢政策에 관한 一考察-國王과 貴族의 政治的 利害와 이에 따른 노비에 대한 입장의 차이」", 「高麗前期 奴婢政策에 관한 一考察-國王과 貴族의 政治的 利害와 이에 따른 노비에 대한 입장의 차이」震檀學報51, 1981

      83 김기덕, "「韓國 中世社會에 있어 風水ㆍ圖讖思想의 전개과정-高麗初期에서 朝鮮初期까지 遷都論議를 중심으로」", 「韓國 中世社會에 있어 風水ㆍ圖讖思想의 전개과정-高麗初期에서 朝鮮初期까지 遷都論議를 중심으로」 한국중세사연구 21,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