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高麗時代 戰功者 禮遇 硏究 = A Study on Granting the Privileges to Those Who Rendered Remarkable Services during War in the Goryeo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6705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려는 거란, 여진, 몽골, 홍건적, 왜구 등 외적과 끊임없이 전쟁을 치렀음에도 그 위기를 극복하여 500여 년의 왕조를 지탱해 왔다. 그 전쟁극복의 중심에는 바로 戰功者가 있었다. ‘戰功者...

      고려는 거란, 여진, 몽골, 홍건적, 왜구 등 외적과 끊임없이 전쟁을 치렀음에도 그 위기를 극복하여 500여 년의 왕조를 지탱해 왔다. 그 전쟁극복의 중심에는 바로 戰功者가 있었다. ‘戰功者’란 전투에서 공을 세운 사람을 의미한다. 고려시대에는 이 전공자에 대해 예우를 소홀히 하지 않았다. 예우는 전공자를 후대의 본보기가 되도록 하였고, 전쟁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원동력으로 작용하게 했다.
      전공자 예우내용을 검토하기 위해 먼저 전공자의 범주를 살펴보았다. 각 大小전투에서 승리를 이끈 사실이 기록된 인물은 당연히 전공자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사료 상에 전공내용 혹은 예우내용까지도 구체적으로 기록되어 있다면 그 인물은 전공자로 충분히 인정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거란․여진․몽골․홍건적․왜구 등과의 전쟁에서 활약한 전공자를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범주에 속하는 전공자를 중심으로 예우처리과정을 살펴보았다. 전공자 예우에 관한 업무는 고공사 및 이부․병부에서 담당하였다. 예우처리과정은 ‘병마사․도병마사 및 도평의사․병부의 1차 고공’ → ‘보고’ → ‘고공사의 2차 고공’ → ‘승인’ → ‘이부․병부예우실행’의 과정을 통해 전공자로서 예우하였다.
      예우내용은 크게 賞職과 物品을 賜與하는 것이었다. 이는 전공자 및 전공자 가족의 사회적 지위를 보장하고 이들에게 경제적 지원을 하는 것이었다. 먼저 전공자에 대한 賞職의 내용을 검토하였다. 상직은 官爵除授 및 陞進 또는 追贈을 하는 형태였다. 상직을 받으면 관직자는 승진을 통한 출세의 길을, 관직이 없는 자는 입사를 통해 관료로 진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 상직은 추증과 功陰의 형태로 전공자 가족에게도 제수되어 가문의 사회적 지위도 보장할 수 있었다.
      전공자에 대한 최고의 예우는 이들에게 공신호를 사여하는 것이었다. 이들을 공신으로 우대하며 그에 상응하는 각종 혜택 및 은전을 베풀기도 하였다.
      다음으로 전공자에 대한 物品賜與의 내용을 검토하였다. 사여된 물품 중 금․ 은, 비단, 베 등은 당시 화폐로 사용되고 세금으로도 바친 품목들이었다. 또, 차, 약, 술, 말, 활 등은 전공의 특성에 따라 전공자에 대한 위로 및 구호 물품으로 하사되었다. 즉, 전공자에 대해서는 포상금 및 지원금을 통해 그들의 경제생활에 조금이나마 扶助할 수 있게 하고, 때에 따라서는 지친 몸을 풀고 상처를 치료하도록 한 것이다.
      물품은 전공자 가족에게도 사여되었다. 대부분 전사자 가족에게 쌀, 베, 보리, 곡식과 같은 생필품과 토지를 지원하였다. 생필품들은 가족들의 생계를 돕는 의미를 가졌는데, 그 가치는 매우 큰 것이었다. 토지는 전공자의 공로를 치하하는 뜻이 강조되어 가족에게도 혜택이 돌아갔다.
      고려 전기는 상직중심의 포상이 이루어졌다. 그러던 것이 고려 후기에 이르러 물품사여 중심의 포상으로 그 흐름이 바뀌었다. 이는 예우내용이 고려 후기로 가면서 당시의 사회모순과 결부되어 변화된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런 움직임은 고려 전기부터 지속하였던 예우의 가치를 훼손시키지 않기 위해 고려왕조가 실행한 최대의 노력이었다. 즉, 전공자에 대한 예우는 고려 전시기에 걸쳐 꾸준히 이루어져 그 가치를 드높이고자 한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spite of its ceaseless involvement in wars against Khitan, Jurchen, Mongolia, Red Turban bandits and Japan, Goryeo overcame those crises and lasted for about 500 years. It was highly thanks to Jeongongjas(戰功者), or those who rendered remarkabl...

      In spite of its ceaseless involvement in wars against Khitan, Jurchen, Mongolia, Red Turban bandits and Japan, Goryeo overcame those crises and lasted for about 500 years. It was highly thanks to Jeongongjas(戰功者), or those who rendered remarkable services during those wars, that the nation could overcome all those crises. In the era of Goryeo, therefore, the nation treated Jeongongjas with exceptional respect. By doing so, it made them examples for future generations, leading them to serve as a driving force leading the people to cope with the crises of wars.
      In order to examine how Jeongongjas were treated, Jeongongjas were selected in the first place. Regardless of the scale of battles, those who were found through historical records to have won battles were, of course, Jeongongjas. Furthermore, if the way they led the battles to victory and the way they were treated were also recorded in detail, they could be amply acknowledged as Jeongongjas. Based on this, this study selected Jeongongjas who performed meritorious deeds during wars against Khitan, Jurchen, Mongolia, Red Turban bandits and Japan. After that, the study examined how the Jeongongjas were treated in their times. The Gogongsa, Board of Personal Affairs and Board of Military Affairs were in charge of granting the privileges to Jeongongjas. The process of granting the privileges wa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order: conducting the first examination into an official's contribution or flaw by Supreme Council of Defense Matters, Privy Council and Board of Military Affairs → reporting → conducting the second examination into the official's contribution or flaw by the Gogongsa → approving → granting the privileges by the Board of Personal Affairs and Board of Military Affairs.
      The content of the privileges for Jeongongjas and their families included securing their social status and offering financial support. Their social status was secured through Sangjik(賞職), which took the form of granting a title or rank and giving a promotion or coffering honors posthumously. Sangjik allowed officials to quickly climb the ladder of success through promotion and those without government posts to enter government service. Furthermore, it also gave government positions to Jeongongjas' family members through the collective conferment system of honors(추증) and the family inheritance system(공음), securing the families' social status.
      In order to secure Jeongongjas’ social statues, some of them were given special treatment and privileges as meritorious retainers. Calling Jeongongjas meritorious retainers amounted to treating them as the most honored beings.
      Financial support for Jeongongjas was carried out through granting goods. Of the goods, gold, silver, silk and hemp cloth were used as currency and collected in taxes. In the meantime, tea, medicines, alcohol, horses, and bows were offered to Jeongongjas as relief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That is, rewards or financial support were offered to Jeongongjas to assist them financially, and sometimes to help them treat their injuries and have a rest without any concern.
      Not only Jeongongjas but also their families were the beneficiaries of the financial support. The families of those killed in battle were mostly given necessities, such as rice, hemp cloth, barley, crops and land. The necessities, offered to support the livelihood of the families for their whole lives, were significant in quantity. Land, a sort of privileged merit land, was also granted to Jeongongjas' families. Granting land was more concerned with praising the remarkable services Jeongongjas made in battle.
      In the early era of Goryeo, Jeongongjas were largely rewarded through Sangjik. Then, in the late era of Goryeo, they were rewarded through the grant of goods. That is, the privileges for Jeongongjas changed due to contradictory social conditions in the late era of Goryeo. Considering difficult situation at the time, that change was practical and useful. That was the best effort the Goryeo Dynasty made not to damage the value of the respectful treatment for Jeongongjas which had continued from the early era of Goryeo. That is, throughout the era of Goryeo, Jeongongjas were treated with exceptional respect to make them good examples for the people in times of wa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Ⅱ. 전공자의 범주와 처리절차 5
      • 1. 전공자의 범주 5
      • 2. 전공자의 처리절차 8
      • Ⅰ. 서 론 1
      • Ⅱ. 전공자의 범주와 처리절차 5
      • 1. 전공자의 범주 5
      • 2. 전공자의 처리절차 8
      • Ⅲ. 賞 職 12
      • 1. 전공자 賞職 12
      • 2. 전공자 가족 賞職 21
      • 3. 功臣號賜與 26
      • 4. 賞職의 변질 31
      • Ⅳ. 物品賜與 34
      • 1. 전공자 物品賜與 34
      • 2. 전공자 가족 物品賜與 40
      • 3. 物品賜與의 증가 45
      • Ⅴ. 결 론 49
      • 참고문헌 52
      • Abstract 58
      • 부록 6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