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려 말 왜구침입기(1350~1392) 지방 정책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5284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충정왕 2년(1350) 시작된 왜구의 침입은 이후 약 반 세기동안 고려 지방 사회를 흔들어 놓았다. 고려사에서 흔히 이야기 하는 ‘경인년 이후의 왜구’가 바로 이시기이다. 12세기 이후부터 축...

      충정왕 2년(1350) 시작된 왜구의 침입은 이후 약 반 세기동안 고려 지방 사회를 흔들어 놓았다. 고려사에서 흔히 이야기 하는 ‘경인년 이후의 왜구’가 바로 이시기이다. 12세기 이후부터 축적된 고려의 정치·경제·사회적 모순은 14세기에 들어와서도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았고, 여기에 장기간 지속적인 왜구의 침입이 이어지면서 고려 지방 사회는 파괴되었다. 왜구 침입의 일차적인 목표는 고려의 지방사회를 약탈해 가는 것이었으므로 일본과 가까운 경상 남해안이나 그 외의 연안지역은 매우 큰 피해를 입게 되었다. 공민왕대에는 연해에서 30~50리 이내에는 백성이 살기 힘들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였고, 왜구극성기에는 내륙지역도 상황이 다르지 않았다.
      지방 사회가 입은 왜구의 피해정도는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전체 군현의 46.5%에 해당하는 지역이 침입을 받았고, 그 피해의 81%는 고려 남부지역인 양광·경상·전라도가 차지하고 있었다. 지방 사회의 상당수가 피해를 입으면서 이에 대한 여파로 지방 사회에는 문제점들이 여럿 나타나기 시작했다.
      왜구는 약탈과정에서 군사시설과 행정관청들을 불태우는 등 지방의 국가 시설들을 파괴했다. 군사·행정시설뿐만 아니라 일반 민가도 약탈하고 불태우는 등 민간의 피해도 더욱 컸다. 특히 사료의 특성상 일반민의 피해정도를 정확히 기술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상상하는 것보다 더욱 피해는 심각했을 것으로 보인다. 민간의 피해는 2차 피해를 양산했는데, 왜구침입으로 삶의 터전을 잃은 민들이 거주지를 떠나는 유망의 형태로 나타났다. 주민이 유망하게 되면서 군현이 기능을 상실하거나 혹은 군현의 치소를 이동해 겨우 명맥을 유지하는 상태가 되었다. 지방 군현의 기능 상실 혹은 변형은 고려의 지방통치와 세금 수취 등의 행정운영의 마비를 불러왔다.
      하지만 왜구를 방어하는 지방 군사력의 수준도 원 간섭기를 지나면서 유약해져 있던 상태였다. 지방을 지키는 진수군은 왜구의 침입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있지 못했고 수군은 없다시피 했으며 왜구 초기 수군운영을 통한 지방 방어는 주목받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지방의 피해는 더욱 커질 수밖에 없었고, 지방의 군사·행정에 구멍이 뚫리면서 화척의 가왜활동과 문제도 등장하고 있었다.
      이처럼 왜구침입기에는 다양한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었고 이에 대한 문제 해결은 당시 고려정부가 안고 있던 과제였다.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정치세력인 신흥유신은 성리학적 사상과 더불어 현실경험을 토대로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는 민에 접근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들은 국가의 기반은 민이고 민이 튼튼해야 국가가 튼튼해진다는 기본적인 사상에 의해 사회를 개혁하고자 했고 고려 말 왜구침입기의 지방정책에도 이들의 사상과 경험이 투영되었다.
      이 시기 지방정책은 군현·행정회복정책과 지방군제 정비정책, 그리고 지방민의 안정정책으로 구분해 살펴볼 수 있다. 먼저 지방 회복책으로는 공양왕대 감무 파견을 들 수 있다. 왜구침입기 공민왕~우왕대까지의 감무역할에는 왜구 방어라는 군사적 업무가 추가되었고 공양왕대는 왜구의 감소기를 맞아 지방사회의 회복을 목적으로 파견되었다. 감무파견과 더불어 지방사회의 회복을 위해 축성정책도 시행했다. 축성정책은 왜구방어와 주민의 안집을 목표로 시행되었고 공양왕대에는 어느 정도 효과가 나타났음을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왜구의 일차적인 목표였던 지방의 조운제도를 다시 회복하기도 했다.
      원 간섭기 이후 유명무실해진 지방군제도 왜구침입기 이후 지방정책 시행을 통해 다시 회복되었다. 공민왕대부터 정비하기 시작한 지방 육수군은 우왕 2년(1376) 기본적인 틀을 회복하기는 했지만 공양왕대를 거쳐 조선 초에 들어서야 지방사회를 방어하는 군사력으로 성장 할 수 있었다. 지방 수군의 경우 공민왕대 후반에 형성된 이후 우왕대 성장해 우왕 9년(1383)에는 각 지방에 수군만호부가 설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지방의 수군은 조선시대에도 지방군의 군사 기반이 되었다. 조선 남부 4개 도의 수군비율이 71%에 달하고 있는 사실은 이를 뒷받침해준다.
      마지막으로 지방민의 안정정책으로는 왜구피해에 따른 면세정책과 유망민의 안정화 정책을 시도했다. 신흥유신에게 민은 국가의 기반이므로 이들의 안정화에 더욱 노력했다. 민의 안정을 위해 지방사회의 안녕을 해치는 가왜활동을 방지하기 위해 화척민을 정착시키는 정책도 시행했다. 마지막으로는 각종 구휼정책을 통해 왜구피해를 입은 민들의 생활에 어려움이 없도록 지원했다.
      왜구침입기 나타난 지방 사회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지방 정책은 이후 조선초 지방통치의 기반으로도 이어지게 되었다. 따라서 이 시기 지방 정책에 대한 연구는 14세기 말~15세기 초 지방사 연구에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aegu(倭寇)’s invasion in the late Goryeo(高麗) Dynasty was huge damage for Goryeo’s local society. During the Waegu’s invasion(From King Chungjung(忠定王) to King Gongyang(恭讓王)), Goryeo’s local province was literally destroyed. A...

      Waegu(倭寇)’s invasion in the late Goryeo(高麗) Dynasty was huge damage for Goryeo’s local society. During the Waegu’s invasion(From King Chungjung(忠定王) to King Gongyang(恭讓王)), Goryeo’s local province was literally destroyed. According to 『Goryeosa(高麗史)』, People can not live within 30~50Ri(里, 1Ri is 0.393km) radius of the coast because of Waegu’s invasion. And inland area was no different to the coast.
      The problem of Goryeo’s local society was various. First of all, 46.5% of All local society had damage of Waegu’s invasion. And 81% of damage of Waege’s invasion were confined to Yanggwangdo(楊廣道), Gyungsangdo(慶尙道) and Jeonrado(全羅道).
      In the time of Waegu’s invasion, Waegu destoried government office and military installation. In addition, they destoried area of private houses. So Goryeo’s local society was damaged. This damage was more serious. Because Goryeo’s local defence system was nominal since the Yuan(元) Dynasty’s Interference. People leave place of residence, so local counties and prefectures were extinction or barely remained in existence. In addition, The Fake Waegu(假倭) from the groups of Hwachuck(禾尺) was a problem.
      Therefore, Resolve of these issues was major problem of the Goryeo government. New political power group appeared in this time. They were well-known Sinheungyusin(新興儒臣). They approached to people of the damaged of Waegu’s invasion based on Neo-Confucianism and experience. They were all trying to solve the local society problems and local policies were that.
      The local policies during the Waegu’s invasion is classified into three items. First, Restoration policy of administration. Second, Rearrangement policy of the local military. Third, Stable policy of region person.
      In the restoration police of administration, there are dispatch of Gammu(監務), building a castle and restoration of tax shipping system(漕運制度). And rearrangement policy of the local military was reorganization of the Jinsugoon(鎭戍軍) and the naval forces(水軍). Lastly, Stable policies of region person were tax exemption of Waegu’s damages, settlement of the wandering people and Hwachuck(禾尺), and the policy of relief.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1
      • 2. 왜구의 침입과 지방사회의 피해
      • 1) 고려 말 왜구의 침입과 초기의 피해 6
      • 2) 왜구 극성기 이후의 피해와 내륙지방 16
      • 3. 왜구침입기 지방사회의 문제점
      • 1. 머리말 1
      • 2. 왜구의 침입과 지방사회의 피해
      • 1) 고려 말 왜구의 침입과 초기의 피해 6
      • 2) 왜구 극성기 이후의 피해와 내륙지방 16
      • 3. 왜구침입기 지방사회의 문제점
      • 1) 고려 말 사회의 문제점 27
      • 2) 왜구침입기 지방사회의 문제와 실상 31
      • 3) 왜구침입기 신흥유신과 지방사회 42
      • 4. 왜구침입기 지방정책의 시행과 그 추이
      • 1) 군현·행정회복정책의 시행과 추이 51
      • 2) 지방군제 정비정책의 시행과 추이 60
      • 3) 지방민 안정정책의 시행과 추이 66
      • 5. 맺음말 73
      • 참고문헌 76
      • Abstract 8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