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姚鼐散文硏究 = (A)study on Yaonai's pro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2302991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全南大學校, 199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전남대학교 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 1996

      • 발행연도

        1996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824.6 판사항(4)

      • DDC

        895.145 판사항(19)

      • 발행국(도시)

        광주

      • 형태사항

        vii,358p. ; 26cm.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요내(1731-1815)는 桐城派를 완성한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의 주된 공헌은 문장의 기능을 도덕의 범주에 묶어 두려는 기존의 전통적 관념에서 탈피하여 문장을 문학성을 면 예술성 작품으로 인...

      요내(1731-1815)는 桐城派를 완성한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의 주된 공헌은 문장의 기능을 도덕의 범주에 묶어 두려는 기존의 전통적 관념에서 탈피하여 문장을 문학성을 면 예술성 작품으로 인식했다는 점이다.
      요내의 생활은 크게 삼단계로 나누어 진다. 즉 成學의 과정, 入仕와 辭職, 敎育과 著述 등이다. 요내는 관직을 갖기 이전인 30세에 <副都統朱公墓誌銘幷序>를 쓴 것을 필두로 하여, 32세에는 <聖駕南巡賦>를 지었고, 이듬해에 禮部試에 급제하여 관직생활을 시작하였다. 관직기간에 쓴 문장은 35세의 <張冠瓊遺文序>와 辭職하기 2년 전인 42세에 쓴 <答翁學士書>, 그리고 京師를 떠나면서 四庫館에서 함께 編纂事業을 맡았던 程魚門에재 남긴 <贈程魚門序> 등 통틀어 대체로 이십여 편에 불과하다. 다시 말하면 그의 詩나 經學에 관한 부분은 차치하고서 文章에 관한 부분은 辭職 이후 書院에서 교직생활을 하면서 지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요내의 산문이론과 그의 산문작품은 《惜抱軒文集·文後集》과 《姚姬傳尺牘》에 담겨 있다. 요내의 사상과 학술관에 관한 내용은 第三章에서 다루었고. 散文理論에 관한 내용은 第四章에서, 작품의 분석에 관한 내용은 第五章에서, 그리고 요내 산문이론의 傳承과 散文에 대한 평가는 第六章에서 다루었고, 그리고 第七章은 앞장에서 다룬 내용들을 종합하여 結論으로 삼았다.
      요내의 사상과 학술관은 산문이론의 전반에 걸쳐 매우 긴밀한 연계를 맺고 있다 「擇善而從」의 사상적인 측면에서 「當理切事」는 산문창작론에서 중요한 근거로 작용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요내는 程朱理學의 신봉하는 宋學家였지만, 결코 漢學을 무시하지 않았으며, 漢學의 연구방법으로 활용되는 考證을 문장에 導入함으로써 文章의 簡潔함과 韻味를 이루었다. 古文과 時文에 대한 태도도 三者合一의 精神과 부합되게 신축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이는 時文을 통해 古文의 영역을 확대하고 아울러 동성파 산문의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발휘되었다는 데에 그 의의를 갖는다.
      요내의 산문이론은 크게 創作原論, 創作實踐論, 風格論. 文體論으로 구성되어 있다. 創作原論에는 漢學과 宋學이 대립한 時代的 思潮를 반영한 「義理·考證·文章」의 三者合一, 봉건정통의 유가들이 중시한 道와 文藝家들이 중시한 문학의 예술적인 측면을 추구한 「道與藝合」, 천부적인 재능과 인위적인 노력의 합일을 중시한 「天與人一」이 있다. 게다가 「定法과 無定法」, 「意와 氣」를 논한 것은 문장의 참신성을 추구하는 내용이라는 점에서, 그리고 창작의 여덟가지 요소를 제시한 것은 문장의 내용과 형식을 구체화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고 하겠다.
      創作實踐論은 道德의 修養, 多讀과 多作, 模擬와 태화, 題目의 重視 등이다. 이 중에서 道德을 修養해야 한다는 것은 「文如其人」의 관점에서 발휘한 것으로 봉건정통의 문인 입장을 유감없이 발휘한 것이다. 多讀과 多作이나 模擬와 태화등은 贊反의 兩論이 존재하지만, 오늘날까지 學習과 創作의 기본방법으로 적용되고 있는 이론이다. 그런데 題目의 重視는 비록 자신의 創作實踐과 부합되지는 않지만 좋은 문장을 짓는 필수조건으로 그의 문학에 대한 인식을 엿보게 하는 대목이기도 하다.
      風格論과 文體論은 요내의 여러가지 文學理論 가운데서 가장 탁월한 理論으로 인정받는 것이다. 이 두 가지 理論은 물론 기존 文論家들의 理論을 바탕으로 제기된 것이지만, 공통된 특징은 分類의 繁雜함에서 簡約함으로의 이동이라 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簡約化가 單純化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簡約한 가운데서도 제반 要素와 條件를 포괄하고 있다. 風格論의 경우, 陽剛과 陰柔의 관계에서 형성될 수 있는 풍격의 종류를 億萬으로 표현한 것은 簡約한 가운데 多樣함이 있고 다양한 가운데 간약함을 말한 것으로서 합일과 창신의 의미를 모두 함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文體論은 그의 문학관을 반영한 문체 분류다. 130여 종류에 이르는 다양한 문체에서 약 십분의 일에 해당하는 13분류로 간략화시키고 그 특성을 부각시켜 문체 분류의 혁신을 이루었는데, 그 영향은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물론 분류상의 오류와 결점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나 현재도 문체 방면에서 그 보다 완벽한 이론의 창출이 어렵다는 점에서 그의 문학관의 합리성을 보여준다.
      요내의 산문작품은 세가지 방면에서 분석이 가능하다. 첫째는 作品의 內容分析이다. 요내의 작품은 議論性·敍事性·抒情性·寫景性으로 나누어진다. 議論性 散文은 그 주제가 대부분 군신에 대한 것, 교유에 대한 것, 정녀에 대한 것, 사론 등으로, 범위가 비교적 협소하다. 그러나 두드러진 특징은 「借古喩今」의 수법이 활용된 史論의 독창성이다. 자신의 명확한 논리로 당송팔대가의 작품에 대해서도 거리낌없이 그들의 논지를 반박하는 태도를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敍事性 散文은 주로 傳狀類나 碑誌類가 많은데. 개인의 행적과 대민치적 등 봉건통치에 부합되는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서사성 산문의 경우는 특히 서사 가운데 의론을 겸하는 문장이 대부분인 것도 하나의 특징으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抒情性 散文은 그다지 많지 않다. 단지 傳狀類나 碑誌類의 「銘曰」에 수록된 운문형식의 문장인데, 이 가운데서도 가족이나 친척 그리고 친한 친구에 대한 「銘」에서 찾아 볼 수 있을 뿐이다. 그의 작품 가운데 예술적 특성이 가장 두드러진 것은 <登泰山記>, <游媚筆泉記>등을 중심으로 한 寫景文이다. 요내는 자신이 散文家이면서도 변구적 성분이나 비유법 기타 언어적 수사를 적절하게 활용하여 문장의 아름다움을 추구하였는데, 이러한 점은 예술적 감각을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이기도 하다.
      둘째는 作品의 形式分析이다. 형식적인 측면은 散文의 구성방식, 수사기교. 언어운용 등을 대상으로 고찰하였다. 서사성이나 사경성 작품은 대체로 그 구성이 단순하고, 의론성 산문은 다양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돋보이는 구성 방식은 先斷後論이다. 이러한 구성방식은 해박한 지식과 논리에 대한 자신이 붙지 않으면 활용하기 어려운 것이다. 수사기교와 언어의 운용은 주로 사경성 산문에서 많이 보인다. 그런 만큼 사경성 산문의 요내의 작품 가운데 가장 예술성이 두드러진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서의 수사와 언어는 騈文이나 臺閣體 문장에서 쓰이는 조탁을 위주로 하는 수식이 아니라 文意를 보다 정확히 전달하기 위한 불가피한 경우만 사용한 것으로 수식을 위한 수식과는 차원이 다른 것이라 하겠다.
      세째는 요내의 산문의 風格에 대한 것이다. 앞에서 살펴본 사회적 상황, 수사나 언어의 운용의 결과는 자연스럽게 음유적인 풍격으로 귀결되는 것이다. 그의 風格趣向은 陽剛이었지만 작품에 드러난 풍격은 평담과 아결, 운미와 함축 등으로 요약된다. 이는 요내 자신의 성격이나 왕사정의 神韻이라든가 원매의 性靈說처럼 당시 사회적 현상과도 관계가 있다. 문장이 아결하기 때문에 평당함을 느낄 수 있고, 함축되어 있기 때문에 韻味가 드러나는 것이다. 이러한 용어는 사실 동일한 의미를 담고 있는 것으로서 불가분의 관계라 할 수 있다. 아울러 그가 주장한 「天與人一」의 이론, 「文之精」의 중시, 「無定法」의 추구 등을 반영한 산물이라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그리고 第六章은 요내에 대한 評價로 구성되어 있는데, 散文理論의 傳承과 散文作品에 대한 評價로 구분된다. 요내의 散文理論은 집대성적인 성격을 띤 것인데, 四大弟子인 梅曾亮·方東樹·管同·姚瑩 등에게 종합적이 아니라 분할적인 방법으로 전승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사상은 요내처럼 漢·宋의 兼長이 아니라 宋學 만을 고수하였고. 風格도 陽剛과 陰柔의 두 가지 측면이 동시에 수용된 것이 아니라 陽剛이든 陰柔든 그 風格이 확연히 구분되는 현상을 보였다. 修辭法도 梅曾亮처럼 騈體를 잘 활용한 경우가 있는가 管同처럼 散體만을 고집한 경우도 있다. 요내의 散文에 대해서는 대부분 「氣」와 「味」에 뛰어났다든가 「韻味」가 훌륭하다는 내용으로 평가하고 있는데, 이는 그의 성격과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그의 실제 작품과 크게 어긋나지 않는 평가라 생각된다.
      사실 요내의 산문작품은 대부분 傳狀類나 碑誌類가 많아 敍事性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문학성 산문에 속하는 寫景性 산문조차도 경치만을 묘사하고 있거나 감정을 기탁한 작품일지라도 그 내용이 함축적으로 표현되어 있어 문학적인 가치가 높다고는 볼 수 없다. 따라서 요내의 산문작품은 산문이론처럼 좋은 평가를 받을 만큼 훌륭하다고는 볼 수 없으나, 적어도 문장의 아결함과 특유의 함축적인 수법을 잘 활용하여 산문의 平淡性과 韻味가 효과적으로 드러나 있다는 점이 특징이라 할수있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요내의 산문이론은 집대성적인 가치를 지난 것으로서 그의 작품은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엄밀한 의미에서 그의 작품은 이론에 미치지 못하며, 이론과 실제가 부합되지 않는다. 이는 사실 요내가 산문작가로서의 활동보다는 산문의 이론으로 학생들을 가르치는 선생으로서의 역할이 더욱 두드러졌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설사 요내의 모든 작품이 人口에 膾炙 하는 것은 아닐지라도, 그 이론과 예술적 특성이 어우러진 성공적인 작품은 역사의 변천과 시대의 유구한 흐름에 의해서 그 광채가 줄어들거나 약화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요내의 산문에 대하여 정확한 분석을 거치지 않고 동성문파의 부정적인 측면에 입각하여 일괄적으로 매도하기 보다는, 이를 보다 진지하고 합리적으로 검토하고 수용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이러한 노력이 선행될 때, 요내의 散文理論의 가치와 작품의 특성이 제대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지금까지 요내의 散文理論과 作品에 대한 올바른 理解와 評價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앞으로는 요내산문을 중심으로 현대와 가장 근접한 동성문파 산문의 가치를 제대로 규명함으로써, 詩·小說·戱曲 등과 마찬가지로 중국문학의 균형적인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散文도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erious view of admistrating the state affairs and pragmatism was taken in the academic current of Ching-dynasty. So the main flow of learning was a practical learning and disregarded unpractical discussion. As a result of it, the confucian school o...

      A serious view of admistrating the state affairs and pragmatism was taken in the academic current of Ching-dynasty. So the main flow of learning was a practical learning and disregarded unpractical discussion. As a result of it, the confucian school of ideal philosophy of Song conflicted with the practical philosophy of Han. So the Ching-dynasty. reconciled them by encouraging the learning of Han. in order to clean up the dissatisfactions about politics of the scholars in those days, while it developed the confucian school of ideal philosophy of Song. After that the academic tendency of Ching-dynasty went straight to reactionism. Under this situation The Classics Movement came out again.
      In early Ching-dynasty several great prose writers engaged in The Classics Movement representated the prose writing of that period. but failed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system of prose writing movement. So they should have waited for appearance of the Tong-Cheng School being led by Fang-Bao(方苞), Liu-Da Kuei (류대괴). Yao-Nai(요내) and so on.
      Among the Tong-Cheng School. Yao-Nai is the most important scholar and the Tong-Cheng School theory of literature was systemized and completed by him.
      Yao-Nai had both the major part of Fang-Bao and Liu-Dakuei's character of confucian philosophy and fine composition. If we study his theory and works of prose, we can catch the main essence of the Tong-Cheng school and seize the main line of prose writing of Ching-dynasty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systemizing prose's theory and works of Yaonai who was the master of Tong-Cheng school through inspecting ≪Xi Bao Xuan Wen Ji(惜抱軒文集)≫ and ≪Xi-Bao Chi Du(惜抱拓牘)≫.
      This thesis consists of seven chapters. In the first chapter I dealt with the theory of Tong-Cheng School focused on the current of learning of Ching-dynasty and learning of Fang-Bao. Liu-Dakuei. In chapter II, I managed Yao-Nai's life and his works. Chapter III explains Thought & Academic Outlook Yao-Nai's. Chapter lV explains The theory of prose (散文理論). subdivided into four parts, they are The principles theory of write (創作原理論). The practice theory of write (創作實踐論). The theory of style (風格論). The theory of writings style (文體論). Specially, the theory of write are formed of The theory of equal merge on three factors(三者合一重說). The unity of the way and art(道與藝合), and The unity of heaven and man(天與人一).
      Chapter V explains The analyse of prose works (散文作品分析), subdivided into three parts, they are analysis of prose's content(散文內容), prose's form(散文形式), prose's style(散文風格). In the analysis of prose's content(散文內容), again subdivided into four parts, they are discussible prose, narrative prose, lyric prose, describe the scenery's prose. And in the analysis of prose's form(散文形式), again subdivided into three parts, they are pattern of compose(構成方式), technique of rhetoric(修辭技巧), put to use of language(言語運用) in the prose. Finally, in the analysis of prose's style (散文風格). again subdivided into three parts, they are Yaonai's preference of style, pedestrian and elegance, lingering charm and implicit.
      Chapter VI deals with the pass on Yaonai's theory of prose, and the evaluate of Yaonai's of prose works.
      Finally, chapter VI concludes the main issues discussed in the former chapt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國文抄錄> = iv
      • 第一章 序論 = 1
      • 第一節 問題提起 = 1
      • 第二節 旣存의 硏究槪況 = 5
      • 목차
      • <國文抄錄> = iv
      • 第一章 序論 = 1
      • 第一節 問題提起 = 1
      • 第二節 旣存의 硏究槪況 = 5
      • 第三節 硏究目的과 方法 = 8
      • 第二章 요내의 生涯 = 12
      • 第一節 出生과 家系 = 12
      • 第二節 成學의 過程 = 14
      • 第三節 入仕와 辭職 = 19
      • 第四節 敎育과 著述 = 24
      • 第三章 요내의 思想과 學術觀 = 29
      • 第一節 요내의 思想 = 29
      • 1. 「擇善而從」 = 29
      • 2. 「當理切事」 = 32
      • 第二節 요내의 學術觀 = 36
      • 1. 宋學과 義理 = 37
      • 2. 漢學과 考證 = 45
      • 3. 古文과 時文 = 51
      • 第四章 요내 散文理論 分析 = 62
      • 第一節 創作原理論 = 62
      • 1. 合一追求의 理論 = 62
      • 1) 「義理·考證·辭章」의 合一 = 63
      • 2) 「道與藝合」과 「天與人一」 = 83
      • 2. 創新追求의 理論 = 92
      • 1) 定法과 無定法 = 94
      • 2) 意와 氣 = 102
      • 3. 創作要素의 理論 = 106
      • 1) 文之精과 文之粗 = 107
      • 2) 八要素 = 111
      • 第二節 創作實踐論 = 122
      • 1. 道德의 修養 = 122
      • 2. 題目의 重視 = 127
      • 3. 多讀과 多作 = 130
      • 4. 模擬와 태화 = 136
      • 第三節 風格論 = 141
      • 1. 風格論의 淵源 = 142
      • 2. 요내의 風格認識 = 149
      • 1) 自然現象에 比喩 = 149
      • 2) 作家個性에 比喩 = 152
      • 3. 요내 風格論의 特徵 = 159
      • 1) 風格의 簡約化 = 159
      • 2) 風格의 形象化 = 161
      • 3) 風格의 對立統一 = 163
      • 第四節 文體論 = 169
      • 1. 文體論의 淵源 = 169
      • 2. 文體의 13類型 = 173
      • 3. 요내 文體論의 特徵 = 192
      • 1) 文體의 簡略化 = 193
      • 2) 論辨類의 首位 = 197
      • 3) 贈序類의 新設 = 198
      • 4) 辭賦類의 附加 = 198
      • 4. 文體分類의 問題點 = 199
      • 第五章 요내 散文作品 分析 = 202
      • 第一節 散文의 內容分析 = 202
      • 1. 議論性 散文 = 205
      • 1) 臣下論 = 206
      • 2) 交遊論 = 217
      • 3) 貞女論 = 220
      • 4) 史論 = 227
      • 2. 敍事性 散文 = 231
      • 1) 忠節과 孝道 = 231
      • 2) 愛民奉仕 = 237
      • 3) 對民治績 = 240
      • 3. 抒情性 散文 = 248
      • 1) 懷念 = 249
      • 2) 哀悼 = 255
      • 4. 寫景性 散文 = 260
      • 1) 山水描寫 = 261
      • 2) 感情寄托 = 269
      • 第二節 散文의 形式分析 = 279
      • 1. 散文의 構成方式 = 279
      • 2. 散文의 修辭技巧 = 288
      • 3. 散文의 言語運用 = 301
      • 1) 疊字와 頂眞 = 301
      • 2) 虛字의 運用 = 302
      • 3) 長短句의 運用 = 304
      • 第三節 요내의 散文風格 = 309
      • 1. 요내의 風格趣向 = 309
      • 2. 平淡과 雅潔 = 312
      • 3. 韻味와 含蓄 = 320
      • 第六章 요내 散文의 傳承과 評價 = 329
      • 第一節 요내 散文理論의 傳承 = 329
      • 第二節 요내 散文에 대한 評價 = 339
      • 第七章 結論 = 347
      • ※ 參考文獻 = 351
      • ※ Abstract = 35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