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영남지역 寺刹 所藏 冊板의 분석 = A Study Woodblocks in Buddhist Temples in the yeongn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64102

      • 저자
      • 발행사항

        대구 :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 (석사)-- 경북대학교 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2019. 8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070.509519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대구

      • 형태사항

        vii , 289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남권희
        참고문헌 수록

      • UCI식별코드

        I804:22001-000000095862

      • 소장기관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조선시대 영남지역 所在 사찰에 所藏된 冊板에 대한 연구로, 소장 책판을 지역별, 시기별, 간행참여자별로 분석하고 사찰에 소장된 책판들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 지역...

      본 논문은 조선시대 영남지역 所在 사찰에 所藏된 冊板에 대한 연구로, 소장 책판을 지역별, 시기별, 간행참여자별로 분석하고 사찰에 소장된 책판들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 지역은 크게 대구와 경북, 부산과 경남 두 지역으로 나누었다.
      대구‧경북 사찰 소장 불교책판은 91종 2,626판이 소장되어 있고 이 가운데 가장 다양한 종류의 책판이 소장된 지역은 청도지역으로 운문사를 포함한 3개 사찰에 총 20종(21.9%)의 책판이 소장되어 있다. 대구‧경북지역 사찰 소장 유교책판은 11개 지역 13개 사찰에 31종 781판이 소장되어 있고 이 가운데 상주지역에 소장된 유교책판이 5종 374판(59.4%)으로 가장 많이 소장되어 있다.
      주제별로 대구‧경북지역 사찰에 소장 불교책판을 분석해보면 경전류 책판이 22종(24.1%)으로 가장 많이 소장되어 있고, 다음으로 의식·의례에 사용되는 예참류 책판이 19종(20.8%)이 소장되어 있다. 판각시기별로 대구‧경북지역에 소장된 불교책판들은 18세기에 판각된 책판이 24종(26%)으로 가장 많이 소장되어 있으며 17세기에 판각된 책판이 18종(19.7%), 16세기에 판각된 책판이 13종(14.2%) 소장되어 있다. 주제별로 시문집이 17종(53%)으로 가장 많이 소장되어있다. 다음으로 능화판 및 기타 책판이 7종(21%), 초학자들의 한문을 학습시키기 위한 소학류 경전이 4종(12.5%) 소장되어 있다.
      대구‧경북지역 사찰 소장 불교책판들은 18세기에 판각된 책판이 24종(26%)으로 가장 많이 소장되어 있으며 17세기에 판각된 책판이 18종(19.7%), 16세기에 판각된 책판이 13종(14.2%) 소장되어 있다. 유교책판은 11개 지역 13개 사찰에 31종 781판이 소장되어 있고 이 가운데 상주지역에 소장된 유교책판이 5종 374판(59.4%)으로 가장 많이 소장되어 있다. 판각시기는 17세기와 18세기에 집중되어 있으며 17세기에 판각되어 소장된 책판이 7종(21.8%), 18세기에 판각되어 소장된 책판이 7종(21.8%) 소장되어 있다.
      부산지역 소재 사찰은 범어사와 복천사 2곳이며 경남 지역은 총 18개 사찰이다. 위의 사찰들에 소장된 책판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역적으로 대구‧경북 사찰 소장 불교책판은 91종 2,626판이 소장되어 있고 이 가운데 가장 다양한 종류의 책판이 소장된 지역은 청도지역으로 운문사를 포함한 3개 사찰에 총 20종(21.9%)의 책판이 소장되어 있다.
      부산‧경남지역 사찰 소장 불교책판은 부산‧경남지역 사찰 소장 불교책판은 총 318종 9,763판으로 단연 해인사에 소장된 불교책판이 주를 이룬다. 전체 종수의 41.8%, 총 책판수의 60.4%가 합천 해인사에 소장되어 있다. 다음으로 다양한 책판을 소장하고 있는 곳은 양산 통도사가 54종(16.9%), 하동의 쌍계사가 28종(8.8%)이 소장되어 있다. 유교책판의 경우 8개 지역 9개 사찰에서 60종 5,330판을 소장하고 있으며 해인사는 국내최대의 책판수장고답게 유교책판의 경우도 경남지방 유교책판의 87.7%, 영남지방 전체 유교책판의 76.5%를 소장하고 있어 그 종수와 판수에서 다른 사찰과 많은 차이를 보인다.
      부산‧경남지역의 사찰에서 소장하고 있는 책판을 주제별로 살펴 볼 경우 경북과 비슷한 양상으로 경전류 책판이 86종(27%)으로 가장 많이 소장되어 있으며, 다음으로 의식 및 의례와 관련된 예참류 책판이 67종(21%)이 소장되어 있다. 유교책판의 경우 60종으로 대구·경북지역과 비교하여 2배 이상의 유가책판이 소장되어 있으며 책판의 종류는 대구‧경북지역과 동일하게 문집류 책판이 34종(56.6%)으로 주를 이루고 있다.
      부산‧경남지역에 소장된 불교책판의 경우 해인사에 소장된 국보 206호(1∼28호) 28종의 책판과 보물 734호(1∼26호) 26종의 고려시대 책판이 소장되어 있어 15세기 이전 판각된 책판의 소장비율이 17.2% 매우 높게 나타난다. 조선시대를 살펴보면 17세기에 판각된 책판이 66종(20.7%)으로 가장 많이 소장되어 있으며 18세기 판각된 책판이 47종(14.7%)이 소장되어 있다. 유교책판의 판각시기는 경북지역과 마찬가지로 18세기에 집중되어 있으며 18세기에 판각되어 소장된 책판이 19종(31.6%)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사찰에 소장된 책판들은 16∼19세기에 판각된 책판들이 주로 소장되어 있으며 대규모 개판불사를 통해 판각된 책판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또한 17∼18세기 출간된 개인문집의 상당수가 사찰에 소장되어 있는 것도 확인된다. 그 실례를 본 논문에서는 영남 지역 소재 50개소의 사찰에 한정하여 검토하였다. 추후 조사 범위를 확대하여 전국의 사찰을 대상으로 불교책판의 소장 특징 및 유교 책판의 제작과 서적 인출에 대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woodblocks housed in buddhist temples in the Yeongnam area. It is designed to analyze the bookshelves in their collection by region, timing and publication subject, and examine the motives, history and background of the bo...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woodblocks housed in buddhist temples in the Yeongnam area. It is designed to analyze the bookshelves in their collection by region, timing and publication subject, and examine the motives, history and background of the bookshelf was made at the temple. To achieve this goal, th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and recently reported woodblock-printed investigation reports related to Buddhist book boards were analyzed, while missing data were conducted on-site surveys.
      Records of Buddhist booklets are hard to identify through book lists made during the Joseon Dynasty. However, Nupango(鏤板考) compiled by Seo Yoo-gu(徐有榘) and others in 1796 at the order of King Jeongjo(正祖), contains 12 Buddhist books that are housed in Haeinsa Temple and at Bohyeon Temple on Mount Myohyang. Information on the publication and collection of Buddhist books is not available on the list of other books compiled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refore, the current status of the temples in the possession of the bookshelves was compiled by referring to the four kinds of investigation reports conducted in modern times.
      The National Inspection Office led the investigation in 1987, while the woodblock-printed data (1-4)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were found between 2005 and 2007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According to a survey conducted by the Buddhist Cultural Properties Research Institute, the Korean temple's cultural assets (5-12) are woodblocks of the temple's heads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which were investigated from 2015-2017, showing a time difference of 30 years. First, Korea's temple cultural assets (5-12) were included as basic data, and the missing data were added through woodblock-printed materials (1-4) in the Gyeongbuk area, woodblock-printed materials (1-3) in the Gyeongnam area, and a list of heads of national inspection sites.
      Buddhist bookshelves at the temple in Daegu confirmed that there were three different types of Buddhist books, including Donghwa Temple, which was sold in 1866, and Pagan Temple, which was sold in 1648. In the early Joseon period, books were led by Gangyungdogam(刊經都監) or Jujaso(鑄字所), an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subjects were transferred to local government offices or individual literary circles. This phenomenon is due to this phenomenon, which has activated the spread of books due to the advancement of forests into central politics, the inflow of Chinese literature and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publishing. it can be said that temples still take up the portion of Joseon's printed publishing culture. The publishing and printing culture of Goryeo Buddhist temples, which originated from Mugujonggwangdaedaranigyong(無垢淨光大陀羅尼經) and succeeded to Chest Seal Dharani(寶篋印陀羅尼) and The First Tripitaka Koreana(初雕大藏經), continued even after entering Joseon.
      However, after the 16th century, not only Buddhism-related books were published in Buddhist temples, but also in biblical elementary school textbooks, history books, and private books were continuously published under financial sponsorship by local government offices and the public. Many of the personal literary books published in the 16th-19th century were withdrawn from temple editions, and the examples were reviewed only for inspections of 50 sites in Yeongnam area in this paper. Further expansion of the scope of the investigation will be deemed necessary for the analysis of the production and book withdrawal of Confucian woodblocks for temples across the country, which will be promised lat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I. 서 론 01
      • 1. 연구의 목적 01
      • 2. 연구의 방법과 한계 03
      • <목 차>
      • I. 서 론 01
      • 1. 연구의 목적 01
      • 2. 연구의 방법과 한계 03
      • 3. 선행연구의 개요 05
      • II. 대구‧경북지역 寺刹 所藏 冊板 08
      • 1. 大丘 桐華寺, 龍淵寺, 把溪寺 08
      • 2. 慶州 祇林寺 20
      • 3. 龜尾 桃李寺, 水多寺 25
      • 4. 金泉 敲防寺, 直指寺 29
      • 5. 聞慶 鳳巖寺 37
      • 6. 尙州 南長寺, 北長寺 38
      • 7. 星州 深源寺 47
      • 8. 安東 鳳停寺, 龍潭寺 48
      • 9. 榮州 浮石寺 60
      • 10. 永川 銀海寺 68
      • 11. 醴泉 龍門寺 77
      • 12. 蔚珍 佛影寺 78
      • 13. 義城 孤雲寺 79
      • 14. 淸道 湧泉寺, 雲門寺, 磧川寺 80
      • 15. 浦項 寶鏡寺 95
      • 16. 河陽 環城寺 96
      • III. 부산‧경남지역 寺刹 所藏 冊板 100
      • 1. 釜山 梵魚寺, 福泉寺 100
      • 2. 固城 玉泉寺, 雲興寺, 藏義寺 110
      • 3. 金海 銀河寺 124
      • 4. 南海 龍門寺, 花芳寺 125
      • 5. 密陽 表忠寺 130
      • 6. 山淸 栗谷寺 136
      • 7. 梁山 通度寺 137
      • 8. 蔚山 石南寺, 新興寺 170
      • 9. 昌寧 觀龍寺 176
      • 10. 統營 安靜寺, 龍華寺 178
      • 11. 河東 雙溪寺 182
      • 12. 咸陽 碧松寺 197
      • 13. 陜川 白蓮庵, 海印寺 200
      • IV. 영남지역 寺刹 所藏 佛敎冊板 분석 232
      • 1. 지역벽 분석 232
      • 2. 주제별 분석 234
      • 3. 판각시기별 분석 236
      • Ⅴ. 영남지역 寺刹 所藏 儒家冊板 분석 239
      • 1. 지역벽 분석 239
      • 2. 주제별 분석 241
      • 3. 판각시기별 분석 242
      • Ⅵ. 결 론 244
      • 참고문헌 247
      • Abstract 250
      • <부록> 영남지역 寺刹 所藏 冊板目錄 25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